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FD를 이용한 DMFC 유로설계의 성능 평가

        임종구,( Danilov A. Valery ),조용훈,문일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최근 고유가로 인해 신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신에너지 중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고 일부분의 경우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아서 연구에 많은 시간과 연구비가 필요하다. 특히 연료가 흘러가는 유로의 경우 형상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에도 불구하고 실험적으로 유로 내에서의 현상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간과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동해석 기법 중 유한 체적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범용 CFD인 FLUENT(ver. 6.1)를 이용하여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구성요소인 산화극과 환원극의 유로 내에서의 연료의 질량, 운동량, 에너지의 계산을 통해 속도, 압력, 농도 구배를 계산하였다. 사용된 모델은 전극면적 40cm2 전지로서 유로의 깊이와 넓이는 1mm로 설정하였다. 또한 FLUENT에서 제공하는 기본 지배방정식에 몇 가지 source term과 sink term을 추가, 수정하고 UDF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식을 적용한 새로운 subroutine 을 만들어 전류밀도의 분포와 과전압을 계산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다양한 유로 디자인에 적용하여 이에 따른 연료전지의 성능 변화를 평가하였다.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0권 제2호 2004년

      • PEI 지표를 이용한 CO2 저감 공정 평가

        임종구,김지용,문일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최근 환경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온실 가스 배출에 대한 사회적인 기준과 배출 규제의 강도가 증가하고 온실 가스 저감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CO2 저감기술들은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수득 또는 다른 물질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CO2 배출량과 온실 가스 처리비용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공정에서의 다양한 CO2 저감 공정을 PEI(Potential Enviro nmental Impact)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대상 공정을 포함하여 공정 모사를 수행하였다. 본 모사에 사용한 기초 자료로써 화력발전소의 운영 데이터, 화력발전소에 적용된 CO2 저감 공정에 관한 자료, 각 저감 공정의 CO2 저감 비율, 증가된 운영 비용 및 투자 비용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각 기술의 가능성, CO2 배출 규제 등의 다양한 영향 인자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자료 등을 기초로 하여 대상 공정에 적용된 여러 CO2 저감 공정들을 하나의 값인 PEI 지표로써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대상 공정에 가장 효율적인 CO2 저감 공정의 선별과 그 공정의 최적 운전 조건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일과제로서의 갈등극복 사례연구-칼뱅의 제네바 사역을 중심으로

        임종구 기독교통일학회 2023 기독교와 통일 Vol.14 No.2

        This study examines the topic of how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nflict as a unifying issue, focusing on Calvin's ministry in Geneva. This study will first analyse the efforts of the Holy Roman Empire and the Swiss city-stat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nflict, and then move on to the conflicts in East Asia and North and South Korea, and conclude with suggestions on how Calvin's example of overcoming conflict in Geneva can be applied to unification in Korea. The implications of Calvin's efforts to overcome conflict in Geneva for the Korean church are as follows. First, Calvin legislated the problem of the growing conflict; second, he proceeded with the problem of unification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s. Third, unification efforts become effective when concrete efforts to heal and resolve various issues of conflict are combined. Fourth, Calvin worked closely with various groups and even the city council and the city councils of neighbouring cities to resolve conflicts. Applying these lessons from Geneva's example of conflict resolution to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help solve many of the problems of conflict on the road to reunification. 본 연구에서는 통일과제로서 갈등의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의 주제를 놓고 칼뱅의 제네바에서의 사역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신성로마제국과 스위스 각 도시국가 간 갈등의 문제에 대한 갈등극복의 노력을 분석한 후, 동아시아와 남북한의 갈등과 극복의 장으로 옮겨와 갈등 극복사례로서의 칼뱅의 제네바 사례가 한국에서의 통일에 있어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를 대안과 결론으로서 제시할 것이다. 제네바에서의 칼뱅의 갈등극복을 위한 노력에서 한국교회가 주목할만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칼뱅은 갈등의 문제를 법제화했다는 점이다. 둘째, 통일의 문제를 다양한 소통을 통하여 진행했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갈등의 문제에 대하여 치유하고 해결하는 구체적인 노력이 합해질 때 통일을 위한 노력에 실효성이 있게 된다는 점이다. 넷째, 칼뱅은 갈등극복을 위해 다양한 모임과 심지어 시의회 및 이웃 도시의 시의회와 긴밀하게 연대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제네바의 갈등 극복사례의 교훈을 한반도 통일에 적용한다면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수많은 갈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 비교연구 -츠빙글리와 칼뱅을 중심으로

        임종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10 No.-

        본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을 츠빙글리와 칼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전연구의 차원에서 제1, 2차 성찬논쟁을 살핀 후 1525년에 츠빙글리에 의해 시작된 개혁교회의 첫 성찬이후 칼뱅에 의해서 성경적인 성례가 정착되는 과정을 츠빙글리와 칼뱅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살피는 것으로 전개할 것이다. 츠빙글리의 성찬론은 1528년의 베른에서의 첫 번째 설교에서 집대성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성찬론은 사도신경에서 나왔다고 말하면서 루터파의 성자의 인성의 편재를 비판한다. 츠빙글리가 개혁신학에서 기여한 것은 루터의 종교개혁이 온전히 성경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분명하게 반대하고 개혁신학의 성찬론의 정초를 놓았다는 점이다. 1525년에 처음으로 행하여진 취리히의 개혁된 성찬론은 회중이 떡과 잔을 받는 이중배찬이 시행되었고, 떡에 경배하지도 절하지도 않았으며 무릎을 꿇고 받은 것이 아니라 서서 받았다. 한편 칼뱅의 성찬론의 특징은 말씀과 성례를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츠빙글리가 성례를 도구로 보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가 되며, 칼뱅은 성례를 은혜의 방편에 편입시킨다. 또한 칼뱅은 성령의 역사를 입한다. 그러므로 칼뱅은 루터의 그리스도의 임재라는 초기의 사상을 가져오되 육체적 임재를 거부하면서 영적 임재와 연합으로 나아가며, 츠빙글리의 문자적 상징론과 기념이라는 개념의 한계를 넘어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게 하신다는 연합과 효력을 주장한다. 1525년에 취리히에서 첫 개혁교회의 성찬이 시행되었다면 1541년에 제네바에서 올바른 성찬이 비로소 시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츠빙글리에 배경을 둔 베른 모델은 칼뱅에 의해서 제네바 모델과 충돌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은 성찬에서의 무교병의 사용과 성찬에 참여하는 자의 자격에 대한 부분, 성찬의 시행 횟수에 대하여 충돌을 일으켰다. 칼뱅과 제네바는 1541년에 제네바 모델을 완성하고 취리히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러나 1549년 취리히 일치신조를 통해서 성찬론의 회복을 도모한다. 칼뱅은 츠빙글리의 어깨를 넘어선다. 한국교회에서의 성찬론은 초라하다. 개혁교회,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말할 것도 없고, 개혁교회의 성찬론이 올바르게 목회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다고 말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혁신학의 성찬론을 재정립하고 현대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former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1st and 2nd sacramental debates in terms of preliminary research, after the first communion in the Reformed Church started by Zwingli in 1525,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iblical sacrament by Calvin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Zwingli and Calvin. will unfold Zwingli’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can be found compiled in his first sermon in Bern in 1528. He criticizes the omnipresence of the Lutheran saint’s personality, saying that his doctrine of the Eucharist came from the Apostles’ Creed. Zwingli’s contribution to Reformed theology is that he clearly opposed Luther’s Reformation to the part that did not fully reach the Bibl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ucharist of Reformed theology. Zurich’s reformed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which was first conducted in 1525, was practiced in which the congregation received the bread and the cup.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of Calvin’s doctrine of the Eucharist is that it connects the Word and the sacrament. This is in contrast to Zwingli’s not seeing the sacrament as an instrument, and Calvin incorporates the sacrament into the means of grace. Also, Calvin introduce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Calvin brought Luther’s early idea of the presence of Christ, but rejecting the physical presence, moving toward spiritual presence and unity, and going beyond the limits of Zwingli’s literal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commemoration, to participate in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It asserts unity and efficacy. If the first Reformed communion was performed in Zurich in 1525,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oper communion was performed in Geneva in 1541. The Bern model based in Zwingli clashes with the Geneva model by Calvin. A representative case is the use of unleavened bread in the sacrament, the qualification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acrament. Calvin and Geneva completed the Geneva model in 1541 and walked a different path from Zurich. However, through the Zurich Unity Creed in 1549, the doctrine of Eucharist was restored. Calvin rises above Zwingli’s shoulders.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Korean churches is shabby. Not to mention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no one will say that the Reformed Church’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s being properly practiced in the ministry fie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on how to redefine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Reformed theology and apply it to the modern church.

      • KCI등재

        CLSM의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 적용

        임종구,김연중,천병식 한국지반공학회 2011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27 No.1

        CLSM의 플로우 및 강도특성은 비회, 매립회, 시멘트, 수량 등과 같은 배합비에 크게 의존하므로, 각 구성요소들의 배합비와 플로우 및 강도값에 대한 역학적 관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따라서 CLSM의 구성성분 비율에 대한 플로우 및 압축강도값을 도출할 수 있는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학습을 통해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를 실험을 통하지 않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CLSM의 플로우 및 일축압축강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인공신경망모델에는 BPNN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 인공신경망 학습효율 및 예측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은닉층, 모멘텀상수, 목표시스템 오차값, 은닉층의 노드 수와 학습률을 변화시키면서 학습하여 각각의 변화에 따른 인공신경망 모델의 학습효율 및 예측능력을 평가하고 인공신경망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모델 구축 시에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자료에 대해 예측을 실시하여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이를 기준으로 CLSM의 플로우 및 압축강도 산정에 적합한 최적인공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장로교회 여성안수 논쟁사 연구

        임종구 한국개혁신학회 2023 한국개혁신학 Vol.79 No.-

        abstract Research 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omen's Ordination Controversy Lim, Jong-Gu Assistant Professor of Histrical Theology, Daeshin University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 issue of women's ordin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theological identity of each denomination. In recent years, this issue has been debated again, especially by conservative denomination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ebate on women's ordination in the Presbyterian Church (Korea) and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debate on women's ordination in the Korean church. Therefore,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women's ordin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lementarianism and egalitarianism, followed by the trend of women's ordination in overseas churches in the third part, and the trend of women's ordination in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part. It can be said that women's ordination in the Korean church has already reached its peak. The denominations that have the theological soil to allow women's ordination have already moved towards allowing it, and the debate on women's ordination has reached a point where there are enough positions to allow and disallow it. All that remains is the choice to hold on to denominational identity and theological continuity or to abandon it. Each denomination needs to engage in healthy discussion and debate on the issue of women's ordination, respecting the theological positions of other denominations, but within the context of denominational theology and denominational identity. Key words: Korean presbyterian church. Women’s ordination, Egalitarian, Complementarian, Denominational identity.

      • KCI등재

        한국장로교회 초기 직분론 고찰: 1891년∼1934년까지의 헌법 변천을 중심으로

        임종구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Office Doctrin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and present lessons and alternatives to the Korean church today. Tracking the Office Doctrin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also related to the order of missionaries' arrival in Korea,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North Presbyterian Church's norms and regulations (1891) to the 1934 Constitutio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influenced by the Nebius missionary polic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which led missionary work in the early days. However, with policies covering missionaries in each country, the theory of Office Doctrine has become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sistent, and in particular, the field and the constitution have not resolved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nd statements about pastor positions. The proposal to submit t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rough this study should explain the three types of permanent posts: pastor, elder, and deacon, and clearly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pastor and elder logic.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frost system, senior system, and honor system, and to describe the scope and authority of female ministers. Kwak An-ryeon, who was involved in the 1922 Constitution, did not follow Charles Hodge's ’What is Presbyterian Law as Defined by the church Courts?’ and introduced the constitution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failing to resolve the difference from the constitution that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had already applied to the field. In this regard, analysis and reflec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time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onstitu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장로교회의 초기 직분론을 살펴보고 오늘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과 대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한국장로교회의 직분론을 추적하면 선교사들의 한국도착 순서와도 관련이 있는데 미국북장로교회선교회 규범과 세칙(1891)으로부터 선교사공의회, 합동 공의회, 조선독노회,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찰스 하지 교회 정치문답조례(1917), 1922년 헌법, 1929년 헌법, 1934년 헌법까지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직분론을 9개의 분류로 나누고 그 특징과 영향,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한국장로교회는 초기 선교를 주도했던 미국 북장로교회의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미국 북장로교회가 각국 선교부를 포괄하는 정책을 펼치면서 직분론은 일관성을 유지하기보다는 보완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고, 특히 목사직에 대한 이해와 진술에 있어 현장과 헌법은 상이점을 해소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장로교회에 제출하는 제안은 항존직을 목사, 장로, 집사의 3종으로 설명하고 목사직과 장로직의 차이점을 분명히 서술해야 한다. 또한 서리제도와 원로제도, 명예제도를 정비하고 여성사역자에 대한 범위와 권한을 기술할 필요가 있다. 1922년의 헌법에 관여한 곽안련은 찰스 하지의 교회정치문답조례를 따르지 않고 미국남장로교회의 헌법을 도입함으로써 미국북장로교회가 이미 현장에 적용했던 헌법과 상이성을 해소하지 못했다. 이 부분에 대해 한국장로교회헌법 100년을 맞는 시점에서 분석과 성찰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RCPG를 통해 본 16세기 제네바교회 목사임직 연구

        임종구(Jong Gu L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7 갱신과 부흥 Vol.15 No.-

        1509년에 출생해서 1564년에 죽기까지 칼빈은 생애의 전반부 28년을 제네바를 위한 준비의 기간으로, 나머지 생애의 후반부 28년을 제네바에서의 교회건설에 투신하였다. 불시착과도 같았던 1536 년의 첫 체류는 추방, 복귀, 투쟁, 건설이라는 굴곡진 연대기를 형성 하지만, 이 프랑스 망명 지식인의 분투는 르네상스를 펄크럼 (fulcrum) 삼아 근대사회를 여는 ‘촉진자(Facilitator)’가 되었다. 개혁자는 유년시절 모친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파리의 유학생활을 통해 인문주의의 모유를 먹고 성장했으며,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로 교회건설의 전장(戰場)에서 거대한 종교권력이 주는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고 가장 이상적인 기독교 도시의 건설을 위한 용기 있는 생애를 살았다.그러나 개혁자의 신학과 업적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근대를 열었던 개척자로 평가되는가 하면 제네바의 독재자라는 일방적인 시선으로 조명되기도 한다. 그는 지나치게 숭상되기도 하고 때로 가혹하게 폄하되기도 했다. 이 제네바의 사람은 책사이자 목사였다. 그러나 교회와 국가, 자유와 관용, 신학과 윤리에서 개혁자의 이상과 제네바의 현실은 그의 고단했던 교회건설의 딜레마를 보게 한다. 그렇다면 개혁자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무엇인가? 그의 신학과 사상은 오늘 현대사회와 교회를 향해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가? 소위 ‘칼빈주의’가 한국교회에서 스콜라주의(Scholasticism)로 고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더 넓은 개혁주의의 지평으로 나아가기 위한 대안이자 균형 잡힌 연구로서 제네바 목사회(CPG)의 회의록 (RCPG)연구는 필연적 요청이었다. 『제네바 목사회 회의록』은 급박했던 이 도시의 개혁과 투쟁을 조간신문처럼 적나라하게 보도하고 있다. 불쑥 불쑥 튀어나오는 사건들과 긴박했던 기소문과 공개 질의서에서 기독교강요에서와는 다른 현장의 긴박감과 칼빈텍스트에만 길들여졌던 이들에게는 다소 당혹스런 현실들이 전개되어진다. 『기독교 강요』가 제네바의 신학이 라면 목사회 회의록은 제네바의 현장이라고 할 것이다. Calvin was born in 1507 and died in 1564. He spent the first half of his life, 28 years, getting himself ready for Geneva and spent the second half of his life, 28 years, getting involved in the church construction. His first stay in Geneva in 1536 like an emergency landing was filled with ups and downs such as his deportation, return, struggle and construction. However, Calvin, the French exile, considered Renaissance as a fulcrum and contributed himself to a facilitator opening the gate of the modern society. The reformer was brought up without his mother in his childhood, but he could be fed and grown by humanism while studying in Paris. Besides, he grew up to be a humanist and theologian, and overcame the fear of death given by the huge religious authority in the battlefield of the church construction. He was also dedicated to establishing the most ideal christian city. Nevertheless, Calvin’s theology and works are estimated in different points of view. For examples, he is considered as a frontier opening the modern era while he is regarded as a dictator in Geneva. He is not only highly admired but also severely underestimated. Calvin was a policy maker and minister. Calvin s ideal and Geneva’s reality in the church and the state, freedom and tolerance and theology and ethics reveals that he was in the dilemma of his church construction. If so, what is the just estimation about Calvin? What messages are conveyed in his theology and thoughts toward present societies and churches? As Calvinism adheres to Scholasticism and Sorbonneism in Korean churches, the research on RCPG of CPG is an alternative to reach reformism more widely and it is also inevitable demand for a well-balanced study. The RCPG plainly reveals Geneva’s Reformation and its struggle just like a morning newspaper. Unexpected events, urgent prosecution letters as well as the tension in the scene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of Institute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the public written question make a bit embarrassed those who get used to Calvin texts. Supposing that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is the theology of Geneva, RCPG is the scene of Gene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