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에 따른 소득분위별 교육투자수익 실증분석

        임정준(Ihm, Jung-Joon)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본 연구는 청년층 여성의 고등교육투자가 급증하면서 노동시장 진출이 확대되는 추세를 반영하여 여성교육의 투자수익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성임금근로자의 경우 남성근로자에 비해 소득의 분산이 더 크고, 고학력 여성과 저학력 여성간의 소득격차가 남성에 비해 더 크게 발생하는 현상에 착안하여 소득분위별로 교육투자에 대한 수익을 분석하는 분위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청년패널자료(2001-2006)를 사용하였으며 소득분위별로 여성교육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의 교육투자수익률(11.0%)은 남성의 교육투자수익률(8.8%) 에 비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 여성의 고학력화와 전문기술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 직결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여성인적자본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분위회귀분석 추정결과를 보면, 여성의 경우 교육이외에 관찰되지 않는(unobserved) 요인이 소득분위별로 미치는 영향은 남성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교육수준(대졸)에서도 졸업대학의 서열, 대학전공, 여성개인의 선천적 능력에 따라 여성임금근로자의 소득수준이 결정되는 정도가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으로 추론되었다. 향후 여성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 및 정부기관 담당자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on their labor income by their quantiles.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of women"s labor income was too heterogeneous to estimate return to education. Based upon 2001 through 2006 Youth Panel data set, quantile regression was introduced to resolve the heterogeneity of women"s income distribution. The result is that quantile regression model was quite effective to reveal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wage distribution for female workers. Its results pointed out that the local labor market for women would be defined as a segmented labor market consisting largely of both highly-educated, high income group and less educated, low income group.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such as a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seemed to have more effect on returns to education for women than those for men.

      • KCI등재후보

        고등교육투자가 여성의 비금전적 사적수익에 미치는 효과분석

        정한나(Han-Na Jung),임정준(Jung-Joon Ih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2

        국내외적으로 교육수익추정에 대한 연구가 노동시장의 임금과 같은 금전적 수익추정에서 비금전적 수익에 대한 추정연구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의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성에 비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비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여성을 대상으로 비금전적 교육수익을 분석하는 작업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 개인 및 가정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금전적 사적 수익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11차년도 자료(2008년)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건강, 생활만족도, 및 합리적인 소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일수록 정기검진을 받을 가능성과 건강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고등교육은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월평균 생활비에서 식비, 교육비, 문화비, 기부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한 결과 합리적인 소비에 대한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처럼 대학교육의 비금전적 수익에 대한 규명은 금전적 소득외의 다른 측면에서 교육에 따른 불평등이 심화되어 사회적 형평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므로 정부는 교육분야의 투자 배분시 교육의 잠재적인 사회기여도를 고려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여성의 고등교육 기회확충을 검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As women’s college enrollment rates have been on the rise and the demand for a highly -educated female labor force is growing in the local labor market, academic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productive higher education for women would be. Recently, the  primary issue has been whether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should be limited to  monetary estimation or expanded beyond an income-based approach. For the purpose  of making sure that there would be more than monetary returns on an individual and  family level, the study used the eleventh wave (2008)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by employing the Logit Model. It was found that the more educated female workers became, the more efficient they  tend to be in terms of fitness, life satisfa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The level of  education, which served as an indicator of reasonable consumption, was also in line with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would feel happy about their wedding.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should be encouraged to seek more equal opportunities to invest in  higher education, especially for those low-income households.

      • KCI등재

        한국의 치의학교육 학제에 관한 연구

        박보영 ( Bo Young Park ),방원일 ( Won-il Bhang ),이지현 ( Jihyun Lee ),임정준 ( Jung Joon Ihm ),권호범 ( Ho Beom Kwon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9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3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dental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improvement. Methods: We looked into dent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rived criteria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dental education systems in Korea. Using analytical methods, we compar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education system, and suggested core areas of improvement. Results: Considering the demands placed on the Korean dental education sector, it is desirable to have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preliminary and main courses, comprehensive training linking the basic medicine and clinical practice, and complete career guidance. Conclusions: A good dental education system is one that meets the educational goals set by a dental school. If the goal is to train a student to be a good dental practitioner, a 2+4 or 4+4 system is recommended, while a 3+4 model is more suitable when the objective is to train students to be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