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식품소재화를 위한 Calendula officinalis L. 꽃잎의 항피부노화 기능성 규명 및 비효소적 연화 기술 연구

        임석원(Seokwon Lim),최성빈(Sungbin Choi),이범주(Pomjoo Lee),김형섭(Hyung-sup Kim),이다영(Da-young Lee),변상균(Sanguine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3

        UVB에 의한 MMP-1의 과발현이 카렌듈라 꽃잎을 처리하여 주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연화시킨 카렌듈라 꽃잎이 UVB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열과 산처리의 복합처리를 통한 카렌듈라 꽃잎의 연화에서 처리시간, 온도, pH에 따른 연화 수준을 punctual test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Hardness 값의 비료 분석을 통해 연화특성 및 효과가 처리 조건들에 의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0℃ 이상의 높은 온도에 의한 연화효과가 산처리에 의한 효과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열처리에 의한 연화의 경우 에너지 소비가 큰 것을 고려할 때, pH 2.1에서는 50℃, 30분의 열처리만으로도 70℃ 이상의 열처리 효과가 나타나므로, 이 연화처리 조건이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Calendula (Calendula officinalis L.) petals are edible flowers which have been used as a decorative ingredient in dishes or as a medicinal food. In this study, the anti-skin aging potential of calendula petals was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texture was softened by non-enzymatic methods to broaden their application as a food or cosmetic agent. Treatment of calendula prevented ultraviolet-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in skin cells. We investigated whether heating-based processing could soften calendula petals. The results from the punctual test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hardness of calendula petals depending on the pH,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lthough there were minor differences among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the largest alteration in hardness was observed when the petals were softened by incubation at 80°C and pH 2.3 for 120 mi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proper processing conditions can soften calendula petals without using enzymes.

      • SCOPUS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대추잎 항산화물질의 에탄올추출조건 최적화

        민들레(Dul-Lae Min),임석원(Seokwon Lim),안준배(Jun-Bae Ahn),최영진(Young Jin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6

        대추잎 항산화 물질의 고효율 추출을 위한 에탄올 용매추출조건을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Box-Behnken design에 따라 추출공정 조작변수(온도, 시간, 에탄올 농도)를 독립변수로,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를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간과 온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용매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최고점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또한 시간과 온도의 영향보다는 용매비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전자공여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작조건(온도 45℃, 시간 15분, 에탄올 농도 45%)을 설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예측값과 실험값을 비교한 결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어 회귀식이 신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leaves of Zizyphus jujuba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medicine and nutrition. In this study, the conditions for the ethanol extraction of antioxidant from Zizyphus jujuba were optimiz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A Box-Behnken design containing 15 experimental runs with three replicates was employed to study the effects of solvent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extraction temperature (℃, X<SUB>1</SUB>), extraction time (min, X<SUB>2</SUB>), and ethanol concentration (%, X<SUB>3</SUB>) on the extraction yield of antioxidants from Zizyphus jujuba. The yield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were considered as response variables. The second-order polynomial model gave a satisfactory descrip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ing different patterns of extraction conditions with variation in the linear, quadratic,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four-dimensional RSM, one of the optimized sets of conditions was 45% ethanol, 45℃, and an extraction time of 15 min.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the predicted values were 177.64 mg/g dry basis, 35.99 mg/g dry basis, and 86.14% Vit.C equivalents for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EDA,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value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predicted values.

      • 선박사이의 항법상 우선권에 관한 연구

        묘춘원(Miao, Chunyuan),임석원(Lim, Seokwon),최태영(Choi, Taeyo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No matter in all walks of life, there are certain rules and laws. The Marine Traffic Law includes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adopted which were adop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vessel collisions at sea in 1972, the domestic Maritime Safety Act, and provisions of port entry and departure of vessels, etc. Therefore , captains , officers , and pilots are obliged to under stand and follow navigation rules . COLREG and Maritime Safety Act are divided navigation rule into three sections . Particularly , according to Article 18 of COLREG(Article 76 of Maritime Safety Act), as one of the dominant principles of navigation rules , there is the rule that a vessel with excellent navigation performance should avoid a vessel with less performance, which is the right of way for all navigating vessels. The right-of-way of vessels can be divided into the one according to the ability to manoeuvre order of vessels, into the one according to the obligation of traffic obstruction exclusion ,and into the one in particular waters and the water areas of trade ports. Based on COLREG, starting this thesis with this entry point as the theme.

      • KCI등재후보

        손실 기업과 매출 감소 기업의 기부금

        나형종 ( Hyung Jong Na ),박성욱 ( Sung Ook Park ),최정운 ( Jeong Un Choi ),임석원 ( Seokwon L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손실이 발생하거나 매출액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코스닥 기업의 기부금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기부금을 기업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광고효과를 위한 관점이 아닌, 경영자 자신의 사익추구를 위한 관점에서 해석하였을 때, 기부금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코스닥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자금의 유동성이 부족하고 재무구조가 좋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무상으로 지출하는 비용인 기부금을 광고목적으로 지출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소기업이면서 매출이 감소하는 기업이거나 손실이 나는 기업들은 자금난에 처해 있을 것이고, 이러한 상황에서 기부금을 지출하는 기업을 사회공헌이나 기업의 이미지 관리를 위하여 지출하는 기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업이 지출하는 기부금은 경영자 자신의 사익추구를 위한 목적일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코스닥 기업 중 손실 기업의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코스닥 기업 중 매출 감소 기업의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손실이 발생한 연도의 기부금 지출비율은 기업가치(Tobin``s Q)와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실기업이 기부금 지출비율을 늘릴수록 기업가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매출액 대비 기부금 지출비율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기부금 지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손실이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기부금 지출을 오히려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년 연속 매출액 감소 기업의 기부금 비율과 기업가치는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출액이 감소하고 있는 기업이 기부금 지출비율을 늘릴수록 기업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매출액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영상황에서 지출하는 기부금은, 손실상황일 때 기부금 지출에 대한 시장평가와 같이, 시장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소기업들이 많이 상장되어 있는 코스닥 기업 중 손실 기업과 매출 감소 기업의 기부금 지출은 기업의 기업가치에 대한 부정적 신호효과(Signaling Effect)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둘째,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중에서 경영상황이 좋지 않은 기업들은 기부금을 통하여 경영자 개인의 사익추구 목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We examine the effect on firm value (Tobin``s Q) of donation expenses for KOSDAQ-listed companies that incur losses or whose sales consecutively decrease. We als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onation expenses on firm value no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of the company image, but from the viewpoint of managers`` pursuit of personal benefit. We use data from firms listed on the KOSDAQ, which are mostl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Due to their weaker financial structure than those of major companies, SMEs are relatively less likely to make uncompensated donations that are irrelevant to their own businesses for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In addition, SMEs in which sales decrease or that incur business losses may be having financial difficulty; in this situation, donations may be made either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r for improvement of the company image. Therefore, when financially weak SMEs make donations despite their unstable business situation, they may do so for the purpose of pursuing managers`` personal interests. He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donations to sales and firm value for KOSDAQ-listed companies that record losses, and we als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donations to sales and firm value of companies in which sales are decreasing.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s between losses incurred and annual donation expenses is significant and negative. Thus, as the amount of the donation increases, firm value decreases. By contrast, the ratio between donation expenses and sales is significant and positive (+). Hence, corporate donations made by profit-generating companies affect firm value positively (+), but donations made by companies incurring loss affect firm value negatively. In addition, in companies that record decreasing sales for two consecutiv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donations and firm value is significantly negative. Therefore, donations made by companies with consecutively decreasing sales are evaluated negatively in the market. This paper has two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donation expenses of KOSDAQ-listed companies incurring losses and those with decreasing sales, many of which are SMEs, have a negative (-) signaling effect on firm value. Second, this study also proved that among SMEs with low business status, managers may make donations as a method of pursuing their own personal profit.

      • SCOPUSKCI등재

        대추 식초 음료 생산을 위한 대추 추출액 발효 조건 최적화

        조영제(Youngje Jo),민들레(Dul-Lae Min),한정우(Jung Woo Han),이영은(Young Eun Lee),최영진(Young-Jin Choi),임석원(Seokwon Lim)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6

        대추 추출물로부터 식초를 생산하기 위한 발효공정의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아세트산 세균을 이용한 발효 공정의 조절 변수로 초기 세균수, 에탄올의 농도, 대추 추출물의 농도, 온도, pH를 고려하여 반응 표면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FCD 기반의 통계 분석을 통해,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초기 세균수와 대추 추출물의 농도는 고려요소에서 제거한 다음, 아세트산 생성과 최대 산도를 얻을 수 있는 발효 공정 최적 조건을 탐색하였다. 최대 산도와 최대 아세트산 생성 조건에 대해 각각 R2값이 0.71, 0.78로 나타난 반응 표면 회기식 분석을 통해 7.69% 에탄올을 함유한 25%의 대추 추출물로부터 21.75℃에서의 아세트산 발효를 통해 52.76 mg/mL의 아세트산을 생산하는 것이 최대 효율 공정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The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ing vinegar from Jujube (ziziphus jujuba) juice using Acetobacter aceti were exploited by employ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n addition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ethanol, which is known to b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effects of initial concentration of Jujube juice, A. aceti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on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also investigated. Out of these factors, the effects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jujube juice and inoculation amount of A. aceti were determined to be negligibl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By employing the face-centered experimental design in RSM, the optimum conditions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exploited for achieving maximum acidity and acetic acid production. The coefficients (R2) of the derived equations from the response surface regression were 0.71 and 0.78 for acidity and acetic acid production, respectively. The maximum production of acetic acid was expected to be 52.76 mg/mL from 25% jujube extract at 21.75 oC with 7.69% alcohol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