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에 대한 연구

        임근형 ( Geunhyung Yim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3

        최근 우리 경제에 이전과는 상이한 성장 패턴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GDP가 잠재GDP를 하회하는 마이너스 GDP갭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잠재성장률이 실제GDP성장률과 유사한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성장이 공급 측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류경제학적 통념으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곤란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수요와 성장 간 장기 관계와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최근 글로벌 성장의 이례적 부진 현상을 평가해 보았으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를 대상으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계량 분석해 보았다. 유효수요 이론과 총수요 관점 접근법을 양 축으로 하여 발전해 온 수요 중심 성장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최근 글로벌 경제의 성장부진이 수요 부족 문제에서 비롯되었을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가 저축을 하회하는 현상도 만성화했다. 특히 잠재성장률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수요 부족 시에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Bashar(2011, 2012)의 방법론을 우리나라의 자료에 적용한 실증분석 결과 역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요충격은 더 이상 장기 중립적이지 않고 공급충격과 마찬가지로 실질GDP 수준에 지속적인 양(+)의 영향을 끼쳤다. 더욱이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는 2012년 이후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economy is now showing a new growth pattern. Negative GDP gap continues for years and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decreasing at a speed close to that of actual GDP growth rate. But these phenomena are hard to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view” that supply factors determine long-run economic growth. O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surveys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 and economic growth, assesses the current low growth trend of the global economy, and conducts an econometric analysis using Korean data to see whether aggregate demand can affect long-run economic growth. The analysis focuses on changes in the link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aggregate supply. Demand-led growth theory, developing with effective demand theory and aggregate demand approach as its two pillars, implies that deficiency of demand may be one of causes of recent sluggish global economic growth. The labor income share has decreased since the 1980s, a shortage of investment has been chronic, and inflation remains low despite of a decline in potential GDP. Moreover, empirical analysis, which adopts Bashar (2011, 2012)`s identification methodology, indicates that aggregate demand shocks have a permanent impact on the long-run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result also shows that such relationship has been intensified after 2012.

      • KCI등재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onetary Policies in Korea and Japan

        김상기(Sang-Kee Kim),임근형(Geunhyung Yim)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21 Seoul journal of economics Vol.34 No.2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channels and their effects in Korea and Japan using a sign restriction VAR model to determine whether a Japanese-style monetary policy can be implemented in Korea. Results indicat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ir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channels. Conventional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channels, such as the exchange rate channel, asset price channel, and bank lending channel, works relatively well in Japan. However, in Korea, the interest rate channel is effective but has only a short-term effect on the exchange rate, and the effects on asset prices and bank lending are hard to expect in general. Furthermore, some potential risks working through the housing market may hinder financial stability. Korea and Japan see a limited effect on production in the real sector. These results imply that Korea must be careful about implementing a similar monetary policy as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