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neration and Selection of Promoter Trap Lines for the Investigation of Shoot Development in Arabidopsis

        이화목,박희연,이춘환,문용환,Lee Hwa-Mok,Park Hee-Yeon,Zulfugarov Ismayil S.,Lee Choon-Hwan,Moon Yong-Hwa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3

        T-DNA 매개 형질전환은 삽입 돌연변이를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만들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애기장대의 shoot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모터 trap 식물체 라인을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효율적인 프로모터 trap 백터인 pFGL561을 제작하였다. pFGL561은 basta 저항성 유전자, multiple splicing donor acceptor 서열들, 그리고 프로모터가 없는 GFP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Agrobacterium 균주인 GV3101에 pFGL561을 도입하고, 이를 매개로 하여 300개의 $T_1$ 프로모터 trap 식물체를 제작하였고, 이들 식물체에서 GFP 발현을 조사하였다. $T_1$ 식물체에서 GFP 발현 비율은 26.7%로 매우 높았고, 이러한 발현은 $T_2$ 식물체에서도 재확인되었다. 한편, 식물의 shoot 발달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해서, shoot에서 GFP발현을 보인 19개 $T_1$ 식물체에서 유래한 $T_2$ 식물체를 대상으로 표현형을 조사한 결과, 비정상적인 shoot발달을 보이는 6개 $T_1$ 라인을 확인하였다. 이들 식물체는 shoot발달의 조절 기작 분석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DNA-mediated transformation is a common method for generating transgenic plants with insertional mutagenesis. In order to identify important genes involved in shoot development, a system of promoter trap insertional mutagenesis was employed in Arabidopsis thaliana. For this system, an efficient promoter trap vector, pFGL561 was developed. The pFGL561 includes a basta-resistant gene, an intron with multiple splicing donor and acceptor sites, and a promoter-less GFP reporter gene. Using floral-dipping method, we made total 300 $T_1$ promoter-trap lines which were screened for GFP expression. GFP signals in the $T_1$ plants were detected with high frequency, 26.7%, and the signals were reconfirmed in $T_2$ plants. To isolate the genes that are involved in shoot development, phenotypes were analyzed in $T_2$ plants of the 19 $T_1$ lines that had GFP signals in shoot apex, and 6 $T_1$ lines were selected that had abnormal shoot development. These lines will be very useful for the investigation of shoot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HLA 적합도가 낮은 생체신이식 군의 임상성적

        신용훈 ( Yong Hun Sin ),김현주 ( Hyun Ju Kim ),이화목 ( Hwa Mok Lee ),오준석 ( Joon Seok Oh ),황현철 ( Hyun Cheol Hwang ),임동한 ( Dong Han Im ),김지환 ( Ji Hwan Kim ),박창수 ( Chang Soo Park ),박미정 ( Mi Jeong Park ),오혜주 ( Ho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4

        목적 : 최근 신장이식에 있어 대기 수혜자수에 비해 공여자수가 현저히 부족함에 따라 부모-자식간 또는 형제-자매간의 이식 외에 부부간 또는 가능성 있는 비혈연간의 이식을 위한 노력들이 증가함에 따라 HLA 적합정도가 낮은 군간의 신이식 수술도 국내 여러 이식센터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HLA 적합정도에 따른 이식신 및 수혜자의 임상성적은 각 이식센터에 따라 상이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HLA 적합수가 0, 1, 2인 대상군을 HLA haploidentical 군과 임상 성적을 비교하여 HLA 적합수가 낮은 군의 신이식 후 성적을 예견하는 지침으로 활용키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4년 1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본원에서 3개월 이상 추적관찰된 HLA-A, B, DR 전체 6개 항원 중 HLA 적합수가 0, 1, 2인 군 89명과 HLA haploidentical 군 79명 간의 이식신 생존률, 급성거부반응의 빈도, 이식신 기능소실의 원인, 이식 후 1, 2, 3, 5년의 혈청 크레아티닌치 등을 후향 분석하였다. 결과 : HLA-A, B, DR 전체 6개 항원 중 HLA 적합수가 0, 1, 2인 군과 HLA haploidentical 군간의 이식신 생존률, 급성 거부반응의 빈도, 이식신 기능소실의 원인, 이식 후 1, 2, 3, 5년의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HLA 적합수가 0, 1, 2인 군과 HLA haploidentical 군간의 이식 후 임상성적이 유의한 차이가 없어 HLA 적합수가 0, 1, 2인 군의 신이식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Poor HLA matched donors may become an additional organ source for renal transplant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edict the clinical outcomes of renal transplantation in a poor HLA matched group (0 or 1 or 2 HLA matching)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HLA haploidentical group. Methods : This study compared a poor HLA matched group (N=89) with HLA haploidentical group (N=79)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graft survival,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cause of graft failure, posttransplant serum creatinine at 1, 2, 3, 5 years. Total 168 cases, appeared in the medical records for more than six months in Bong-Saeng Hospital, from December, 1984 to March, 2004 were traced and identified as relevant cases for this study. Results : Allograft survival rate at 1, 3, 5, 10 years for poor HLA matched group and HLA haploidentical group were 100%, 98.6%, 95.4%, 72.5% and 100%, 100%, 96.1%, 86.2% (p=not significant) respectively. Acute rejection developed in 25.8% of poor HLA matched group versus 18.9% of HLA haploidentical group (p=not significant). The most common causes of graft failure in both groups were chronic rejection. Conclusions : It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o consider renal transplantation in a poor HLA matched group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clinical outcomes of renal transplantation in a poor HLA matched group are equivalent to those of HLA haploidentical group.(Korean J Med 69:402-409, 2005)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