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후의 일본번역극에 대한 고찰: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이홍이 ( 李洪伊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이 조사는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에서 공연된 일본번역극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서구연극의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일본연극은 2000년대 이후에 서야 거론되기 시작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일제강점기 이후 정책적으로 일본문화를 차 단시켜 일본연극을 접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최초로 원작명과 원작자의 이름이 밝혀진 상태로 번역·공연된 일본작품은 <고독한 영웅>(1969)이다. 이후 1982년에 이노우에 히사시 작의 <어미―화장―>이 오태 석의 연출로 무대에 올랐고, 85년에는 아베 고보의 <친구들>, 쓰카 고헤이의 <뜨거운 바 다> 등이 소개되었다. 이 세 작품은 모두 재연이 되었는데, 특히 쓰카 고헤이의 작품은 본인의 연출에 의한 재연뿐 아니라, 한국연출가들에 의해 재해석되어 최근까지 재연이 이루어진 사례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화개방 이전에 번안·각색된 일본연극이 많이 소개되었다고 하더라도, 일본연 극의 ``번역``으로, 그들의 다른 문화와 다른 연극 만들기 방식을 볼 수 있었던 것은 의의 있는 체험이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곧, 해방 전 절대적인 영향관계에 놓여있었던 한일 연극이 동등한 타자로서의 관계를 성립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서양 작품이 대부분인 번역극 중에서, 이들 작품은 한국의 제작 측과 관객으로부터 어떠한 기대를 받 았을까? 번역된 작품들에서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만, 같은 시기 일본극단의 내 한공연을 함께 살펴보면 재일교포의 이야기를 하거나 재일교포 작가의 작품이 다수 발견 된다. 그러나 그 공연들이 곧 재일교포 문제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일본극 단의 공연이 자막조차 제공하지 않은 채 진행된 경우가 많아 텍스트에 대한 비중이 상대 적으로 낮았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번역극의 경우에서조차 텍스트 분석과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했다. 그렇다면 결국 우리가 일본연극을 통해 보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해방 후부터 1980년대까지, 어떤 일본작품이 우리에게 소개되었는지, 그 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소개되었는지 검토하는 일은, 서구번역극과 차별되는 일본번역극 을 통해 궁극적으로 당시 한국연극이 추구하던 방향을 되돌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 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本論文は戰後から一九八○年代までを硏究對象とし、韓國における日本演劇の飜譯作品を調査したものである。これまで韓國では西歐演劇の飜譯に關する硏究は多く行われてきたが、日本作品の飜譯劇に關しては二○○○年代になってから言及され始めた。その理由として考えられるのは、韓國では日本文化に接する機會が根本的に少なかったことが擧げられる。戰後の韓國において、日本の原作名と原作者が公表された狀態で最初に飜譯·上演された作品の飜譯劇は、一九六九年の<孤獨な英雄(原作:解ってたまるか!)>である。以後、一九八二年に井上ひさし作の<母□化粧□>がオ·テソクの演出で上演され、一九八五年には安部工房の<友達>、つかこうへいの<熱い海(原作:熱海殺人事件)>などが上演された。この三つの作品はすべて後に再演されるが、そのなかでも、つかこうへいの場合は本人による再演だけではなく韓國の演出家たちにより再解釋され、最近まで再演が行われている。韓國側の「日本の大衆文化に對する文化解放」の以前にも暗默的に飜案·脚色された日本作品が數多く紹介されたが、日本演劇が「飜譯」された例は決して多くない。飜譯という過程を通して異文化として、異なる演劇作りの方法を見比べることができたのは、有意義な體驗だと思われる。これは、韓國演劇が日本演劇に對し、他者としての關係を成立させたことを意味するからである。それでは、當時の韓國の觀客に日本作品はどのように期待をされていただろうか。當時、飜譯された作品から共通点を探すことは難しいが、同時期、韓國公演を行った日本劇團の作品までを視野に入れてみると、在日コリアンというキ□ワ□ドが浮かぶ。とはいえ、その作品が、在日コリアンの問題に對する談論には繫がらない。日本劇團の來韓公演の場合は字幕が十分に提供できなかった事情があり、飜譯劇の場合にも十分なテキストの分析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からであろう。それでは、韓國の觀客は日本演劇に何を求めたのだろうか。結局、西歐飜譯劇とは異なる日本の飜譯劇を通じて、どのような日本作品が紹介されたか、どのように紹介されたかを檢討することは、當時の韓國演劇が追求した方向を論ずる一つの方法になると思う。

      • KCI등재

        무애무 고찰

        이홍이 대한무용학회 199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14 No.-

        The dance of Mu-Ae is originated by famous buddist monk, Wonhyo who lived in the period of re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Samkuk-Yusa written by Ilyon reported the record regarding the origin of the dance, After he gave birth to Sul-Chong, ~ i. Buddist commandments, he. took off a Buddist gown and wore a common outfit. He named himself "So-Sung Geosa" and wander arc7und. Meanwhile, he happened to obtan a big gourd with which a clown danced and 11:irted, and made a dancing instrument, coping the shape of a gourd. Then he danced and sang "Ilchemuaein Ildochulsangsa"-if an individual has no hinderance from anything, then that person is one who can transend life and deathfrom village to village all over the country. He did teach Buddist doctrine that is rather strict and difficult to understand by the method of dancing and singing that everyone can enjoy, not by sophiacated words of rituals. As a result, the Buddism of Shilla that have mainly served by the aristocracy came to absorb various kinds of mass including baggars, poors and even innocen kids. It represented that the mass enlightenment via the dance of Mu-Ae was largely effective. In the period of Koryo, Hyangak-Mu was performed by women prostitutes in the palace, however, it did not fully fulfill the purport of the enlightenment of Buddism. The dance of Mu-Ae that was prevailing among Sanmun and Chunga was introduced to Japan by Guwooya, a Buddist, and it can be found in Tongnyumbul. At once in the period of Chosun, the lyrics were considered as Bulgaoe. Thus, they were prohibited from all the general buddist festivals. However, at the time of king Suncho, the songs of Bulgaoe were renewed into new lyrics of blessing for prosperty of the dynasty, and the dance was reorganized. The renewed songs and dance have been succeeded till today. The dance of Mu-Ae that rose and fell along with change of the time; * was created and performed by Wonhyo, a prominent philosopher of Buddism and scholar. * is an important source in expending the range of Buddist dancing. The dance of MuAe appeared to have a grand-unifying characteristics that was designed as a method of mass enlightenment while the emphasis of composition was on the formality from the suspect of Buddist rituals. * Folk dancing movements of common people were combined with Buddist messages since Mu-Ae, which was originated amone one of clown dancing, was reorganized and expressed by Buddist, Wonhyo. * The dance of Mu-Ae was so closely related and became a big part of common lives everyone who enjoy dancing and music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class. *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d between the dance of Mu-Ae performed by Wonhyo and today's dance of Mu-Ae because lyrics of songs and movements of the dance were changed arid recomopsed throughtout the period of Koryo and C'.hosun. * Considering dancing has developed, reflecting social and individual life of the time and folk features, the importance of the dance of Mu-Ae performed by Wonhyo is recognized from the aspects of Buddist dancing of folk art as well as the history of dancing. At last, it is regretful that we cannot appreciate the original movements performed by Wonhyo.

      • KCI등재

        일본 게이주쓰(藝術)좌의 <슌코죠덴(春香女傳)> 공연(1941년)에 관한 연구

        이홍이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1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Shunkōjoden(春香女傳) that was performed by a Shinpa(新派) troupe Geijutsuza(藝術座) in Tokyo Takarazuka(宝塚) Theater in 1941. Shunkōjoden is adapted from Chunhyangjeon(춘향전), a Korean classical novel. Actually, in 1938, Chunhyangjeon was dramatized by Shinkyogekidan(新協劇團) as a title of Shunkōden(春香傳), which was the first dramatization of Chunhyangjeon in Japan. Shunkōden was performed in Tsukiji(築地) Theater and various places in Korea. That's because Murayama Tomoyoshi(村山知義), a director of Shunkōden, produced it for Korean people in Japan and Korea. On the contrary, Shunkōjoden was written for the Japanese public and played with the confidence of great success. However, until now, Shunkōjoden was never referred on both two countries, Japan and Korea. It is supposed that this performance is a Shinpa play which was emphasized a commercial aspect. Besides it is certain that Shunkōjoden has typical characters and includes scenes like sob stuff and tear jerker. But that was the dramaturgy of Shinpa, and Mizutani Yaeko(水谷八重子), the heroine of Shunkōjoden, acted Shunkō(春香) magnificently as a Shinpa character. It means that Chunhyangjeon of Korea was arranged to the most popular drama-style in Japan, nevertheless in a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it is worth noticing that Shunkōjoden was an adaptation with music and dance as a comprehensive entertainment by the most popular writer, Takada Tamotsu(高田保), by the most popular company, Geijutsuza and by the most popular theater, Tokyo Takarazuka theater at 1940s in Japan. Therefore, through this performance, it remains to be seen in what ways such a transformation of Chunhyanjeon would be evaluated as a data of comparative study on the dramatization of Chunhyang story in Japan and Korea. 본 논문은 1941년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 공연된 <슌코죠덴(春香女傳)>을 소개하고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공연은 일본의 신파극단 게이주쓰(藝術)좌가 조선의 춘향전을 각색한 것으로, 현재까지 해방 전 일본에서 공연된 춘향전 번안극은 신쿄(新協) 극단의 <슌코덴(春香傳)>만이 알려져 있었다. <슌코덴>이 쓰키지(築地) 소극장을 시작으로 조선의 경성 및 기타 지방에서 상연되었던 데에 반해, <슌코죠덴>은 성공적인 흥행을 확신하며 일본의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파격적인 공연이었다. 그러나 <슌코죠덴>은 그 동안 한일 양국 어디에서도 거론된 적이 없었다. 이는 게이주쓰좌의 성격이 대중적 취향에 편중된 신파극단이라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슌코죠덴>에 전형적인 인물들과 눈물을 짜내는 장면들이 삽입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신파의 극작법이며, 여주인공 미즈타니 야에코(水谷八重子)는 이 신파적 인물을 훌륭히 연기했다. 중요한 것은 일제강점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춘향전이 당시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던 연극양식으로 각색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당대의 가장 대중적인 작가 다카다 다모쓰(高田保)가 각색한 것을, 가장 인기 있던 극단인 게이주쓰좌가, 가장 대표적인 대극장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무대에서 공연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이 공연은 춘향전의 변형사례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일 비교연극학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