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보건의료인력의 통합방안 연구

        이혜경,Lee, Hyekyoun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16 의학교육논단 Vol.18 No.1

        In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rather than unilaterally over-writing the North's human resource training system with the South's health ca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rth's system and its ecology and to achieve a balance by seeking out aspects of each of the systems that could be consolidated with each other. The training period in both the North and South's health ca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s is specified to be 6 years, but there is no system for internships or residencies in the North. South Korea introduced a 6-year system for pharmacist education in 2009, but North Korea has been using such a system since the 1970s (currently 5.5 years). In North Korea, training of health care personnel is conducted at various levels: at universities, at vocational schools, and at institutes for training health officials. Various types of training (daytime training, online, and ad hoc programs) are carried out. Also of interest is the North's licensure examination system. Rather than a state examination system as in South Korea, the North favors a graduation exam given by a national graduation examination committee composed of university professors, which awards both graduation certificates and 'permits,' that is, licenses for doctors and pharmacists. In working out a plan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systems based on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North's educational and testing system for doctors and pharmacists, this paper does not place exclusive focus on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systems or cling to negative views. Rather than claim that unification/integration is a practical impossibility, the paper focuses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systems and maximizes them to uncover an approach for arriving at solutions. It is hoped that the practical data offered in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a forward-minded unification/integration model.

      • 다채널 뇌파 분류를 위한 주성분 분석 기반 선형동적시스템

        이혜경(Hyekyoung Lee),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EEG-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provide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human brain and computer. The classification of EEG data is an important task in EEG-based BCI. In this paper we present methods which jointly emplo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linear dynamical system (LDS) modeling for the task of EEG classification. Experimental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EEG data during imagination of a left or right hand movement confirms the validity of our proposed methods.

      • KCI등재

        연속적인 뇌파 분류를 위한 비음수 텐서 분해

        이혜경(Hyekyoung Lee),김용덕(Yong-Deok Kim),Andrzej Cichocki,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5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뇌파 분류를 위해 비음수 텐서 분해를 이용한 특징 추출과 비터비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속적인 데이타의 클래스 분류를 결합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비음수 텐서 분해는 이미 스펙트럼 데이타에 대해 뇌파의 주요한 특징을 잘 추출한다고 알려진 비음수 행렬 분해의 확장으로써 행렬이라는 제한된 틀에서 벗어나 데이타가 가지는 다양한 차원으로의 확대가 가능하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컴피티션을 통해 공개된 데이타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유용함을 증명하도록 하겠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continuous EEG classification, where we employ nonnegative tensor factorization (NTF) to determine discriminative spectral features and use the Viterbi algorithm to continuously classify multiple mental tasks. This is an extension of our previous work on the use o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for EEG classification. Numerical experiments with two data sets in BCI competition, confirm the useful behavior of the method for continuous EEG classification.

      • NMF for Motor Imagery EEG Classification

        이혜경(Hyekyoung Lee),Andrezej Cichocki,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feature extraction for motor imagery single trial EEG classification, where we exploit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to select discriminative features in the time-frequency representation of EEG. Experimental results with motor imagery EEG data in BCI competition 2003, show that the method indeed finds meaningful EEG features automatically, while some existing methods should undergo cross-validation to find them.

      • 뇌파의 그룹 분석을 위한 그룹 비음수 행렬 분해

        이혜경(Hyekyoung Lee),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는 뇌파의 시간-주파수 표현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여러 명의 피험자로부터 같은 종류의 자극안에 의해 측정된 뇌파일지라도 각 피험자에 대해 개별로 특징을 추출해야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개별 피험자의 특징 중 그룹 피험자간 공통으로 나타난 특징을 추려내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와 같은 특징 간의 거리 측도(distance measure)를 이용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그룹 비음수 행렬 분해 방법을 제안하고, 뇌파 데이터의 그룹 분석에 이용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절충주의 : 줄리 테이머의 <타이터스>

        이혜경(Lee, Hyek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줄리 테이머는 셰익스피어의 가장 잔인한 비극의 세계에서 묘사된 인간의 폭력성과 잔혹성이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 시대에도 만연해 있음을 주지시키기 위하여 셰익스피어의 유혈 복수극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를 영화로 각색하였다. 테이머는 영화에 여러 역사적인 층을 만들기 위해서 시간을 섞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뒤섞으며 절충주의적인 패스티쉬를 이루는 포스트모던한 미장센을 만든다. 폭력을 제시하는 모드로서 그로테스크적 기법을 살리고 폭력을 양식화한 스펙터클을 보여주면서, 폭력을 오락물처럼 매혹적으로 제시하고 폭력을 비판하기를 반복한다. 테이머는 상반되고 대립되는 요인들을 병치시키고 섞으면서 영화를 절충주의적인 콜라주로 만들지만, 점차 대립적인 요소들의 경계가 흐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폭력과 결부된 복수의 주제를 통해 과거와 현재, 고전적인 것과 저속한 것, 공포와 웃음, 문명과 야만. 정복자와 피정복자 등의 이분법적 가치관을 탐사하고 포스트모던 절충주의 미학으로 해체해 나간다. 아울러 관객의 반응을 이원적으로 조정해가다가 통합적인 모드로 유도한다. 이 영화의 프롤로그에서 난폭한 전쟁놀이를 하던 소년은 타이터스의 비극세계에 들어가서 타이터스의 손자가 되면서 복수와 관련된 잔혹한 폭력의 사건들을 목격한 후에 복수의 순환을 끊기 위해 적의 아기를 구하는 도덕적 선택을 하게 된다. 소년은 영화에서 관객에게 시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격자의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에 보여 주는 소년의 행동은 관객의 의식과 결부되어 있다. 테이머는 폭력에 대해 매혹과 경멸로 반응하도록 관객의 의식을 유도한 끝에 관객 자신들이 폭력을 무감하게 수용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게 하고 폭력을 와해할 수 있는 비판적 의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깨운다. Julie Taymor sees Shakespeare as our contemporary and offers a stunning postmodern filmic reconceptualization of Titus Andronicus to show that Shakespeare"s most brutal picture of a world is our own. She blends time to describe the layering of historical eras in the scene and jumbles together ancient and modern elements to create a postmodern mise-en-scene which presents the film as an eclectic pastiche. Taymor treats violence as something grotesqu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ic and the terrifying at the same time. And her stunning spectacles appear at various points throughout the film counterpointing the realistic violent events in a stylistic mode and in a dreamlike manner. While the film"s eclecticism is complemented by the juxtaposition of oppositions in the text, Taymor gradually visualizes the breakdown of oppositions in a series of dissolving borderlines between civilization and barbarity. In the closing scene Young Lucius, who provides the point of view of the film, carries the enemy"s baby in his arms outside the Coliseum. His act could be seen as representing a signal of hope for the future, the breaking of the chain of violence, and suggests that the power to change reality is in the audience"s hands. Taymor"s postmodern strategy aims to create a balance between aesthetic fascination and shocked disgust in the presentation of violence in order to modulate the audience"s response. She asks contemporary audiences to think about their role in encouraging the violence and evokes a critical mind and attitude in them to take action against it. 줄리 테이머는 셰익스피어의 가장 잔인한 비극의 세계에서 묘사된 인간의 폭력성과 잔혹성이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 시대에도 만연해 있음을 주지시키기 위하여 셰익스피어의 유혈 복수극 『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를 영화로 각색하였다. 테이머는 영화에 여러 역사적인 층을 만들기 위해서 시간을 섞고 이질적인 요소들을 뒤섞으며 절충주의적인 패스티쉬를 이루는 포스트모던한 미장센을 만든다. 폭력을 제시하는 모드로서 그로테스크적 기법을 살리고 폭력을 양식화한 스펙터클을 보여주면서, 폭력을 오락물처럼 매혹적으로 제시하고 폭력을 비판하기를 반복한다. 테이머는 상반되고 대립되는 요인들을 병치시키고 섞으면서 영화를 절충주의적인 콜라주로 만들지만, 점차 대립적인 요소들의 경계가 흐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폭력과 결부된 복수의 주제를 통해 과거와 현재, 고전적인 것과 저속한 것, 공포와 웃음, 문명과 야만. 정복자와 피정복자 등의 이분법적 가치관을 탐사하고 포스트모던 절충주의 미학으로 해체해 나간다. 아울러 관객의 반응을 이원적으로 조정해가다가 통합적인 모드로 유도한다. 이 영화의 프롤로그에서 난폭한 전쟁놀이를 하던 소년은 타이터스의 비극세계에 들어가서 타이터스의 손자가 되면서 복수와 관련된 잔혹한 폭력의 사건들을 목격한 후에 복수의 순환을 끊기 위해 적의 아기를 구하는 도덕적 선택을 하게 된다. 소년은 영화에서 관객에게 시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격자의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에 보여 주는 소년의 행동은 관객의 의식과 결부되어 있다. 테이머는 폭력에 대해 매혹과 경멸로 반응하도록 관객의 의식을 유도한 끝에 관객 자신들이 폭력을 무감하게 수용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게 하고 폭력을 와해할 수 있는 비판적 의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일깨운다. Julie Taymor sees Shakespeare as our contemporary and offers a stunning postmodern filmic reconceptualization of Titus Andronicus to show that Shakespeare"s most brutal picture of a world is our own. She blends time to describe the layering of historical eras in the scene and jumbles together ancient and modern elements to create a postmodern mise-en-scene which presents the film as an eclectic pastiche. Taymor treats violence as something grotesqu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ic and the terrifying at the same time. And her stunning spectacles appear at various points throughout the film counterpointing the realistic violent events in a stylistic mode and in a dreamlike manner. While the film"s eclecticism is complemented by the juxtaposition of oppositions in the text, Taymor gradually visualizes the breakdown of oppositions in a series of dissolving borderlines between civilization and barbarity. In the closing scene Young Lucius, who provides the point of view of the film, carries the enemy"s baby in his arms outside the Coliseum. His act could be seen as representing a signal of hope for the future, the breaking of the chain of violence, and suggests that the power to change reality is in the audience"s hands. Taymor"s postmodern strategy aims to create a balance between aesthetic fascination and shocked disgust in the presentation of violence in order to modulate the audience"s response. She asks contemporary audiences to think about their role in encouraging the violence and evokes a critical mind and attitude in them to take action against it.

      • ICA+OPCA를 이용한 잡음에 강인한 뇌파 분류

        박성철(Sungcheol Park),이혜경(Hyekyoung Lee),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Electroencephalogram (EEG)-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BCI)provide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human brain and computer. EEG is very noisy data and contains artifacts. thus the extraction of features that are robust to noise and artifacts is importa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with employ both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and orien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PCA) for artifact-robust feature ext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