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교환기용 고효율 48V 400A급 전력변환장치의 시작

        박성우(S W Park),서기영(K Y Suh),전중함(J.H.Chun),김부국(B K Kim),이현우(H W Lee) 전력전자학회 199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widely used power supply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as a source in order to stabilize direct current for electronics or communication systems has merits, when it is compared to the existing source for stability, such as high efficiency.<br/> small size. light weight by means of switching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ntrols the flow of power.<br/> However. due to existence of inductors and capacitors used for charging energy. the source part in electronic or communication systems hasn't reached the speed. that is supposed to get. for achieving smaller size and lighter weight.<br/> In order to get smallness in siz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witching frequency. And that makes devices for measuring energy smaller.<br/> Nevertheless. the rise switching frequency brings increases in switching loss. inductor loss. and power loss Also. the occurrence of surge and noise caused by high frequency switching is getting higher.<br/> The resonant converter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methods that give solutions for the problems of SMPS and that method has been paid attention as a source technology i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 부분공진형 승ㆍ강압 초퍼의 새로운 토포로지

        고강훈(K.H.Ko),라병훈(B.H.Ra),권순걸(S.K.Kwon),구헌희(H.H.Gu),이현우(H.W.Lee) 전력전자학회 199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is presented the Partial Resonant Soft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which is adapted the power converter having the partial resonant soft switching mode, that makes switches operate when the resonant current or voltage becomes zero by making the resonant circuit partially at turing on and off of the switches with suitable layout of the resonant elements and switch elements in the converter. Also, this paper includes the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Partial Resonant type Buck-Boost Chopper.<br/>

      • 차체 형상 및 모서리 곡률 변경에 따른 항력 특성

        이현우(H.W.Lee),장진혁(J.H.Jang),김인수(I.S.Kim) 한국자동차공학회 199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6_2

        The aerodynamice of real cars is strongly influenced by both individual details and many functional aspects like front hood shape, windshield shape, trunk height, rear glass angle, etc. But the basic shape has a considerable infuence on the final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shape parameters on aerodynamic drag, a simplified 1/4-scale model with interchangeable body parts was made and tested in the wind tunne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optimal dimension of the body shape of the car for low drag car and to study the effect of body dege shape in view of low aerodynamic drag.<br/>

      • 온실측고 인상장치 모델 실험

        고석남 ( S. N. Ko ),유주열 ( J. Y. Yu ),김태욱 ( T. W. Kim ),이종원 ( J. W. Lee ),이현우 ( H. W. Lee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국내의 측고인상기술은 온실 기둥 승강 장치와 지반이 고정되지 않는 비 고정방식이며 별도의 전도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기술이다. 그리고 기둥과 기둥 승강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동에 천공 후 승강 장치에 연결핀을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인상장치 구동방식은 웜기어를 이용한 전동방식으로 전기모터 및 기어장치에 의해 기계적 동력 전달이 원활하고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타 구동방식(유압식, 공압식)에 비해 일률적인 인상이 구현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인상 시 전체적인 인상이 이루어지 않아 유연성 부족으로 인한 온실 구조체의 비틀림이 발생으로 인한 온실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 등의 가능성이 있고, 인상지점마다 모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소요대수가 요구된다. 또한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측고 인상장치 모델실험을 위해 4m(폭)×12m(길이)×2.5m(높이)의 실험용 온실 모형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실험용 온실 모형은 인상장치 및 공압유니트의 작동 여부와 인상장치의 문제점 및 결함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임으로 실제 온실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험용 온실 기둥에 온실의 자체 하중(300kg, 500kg, 800kg, 1000kg)을 구현하기 위한 틀(1.3m×1.3m)를 설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스토크의 용접부분에 파손이 발생되어 원인이 용접 불량에 의한 파손으로 판단되어 추가 용접을 하여 다시 실시하였지만 동일 문제가 발생되어 스토크의 구조적 문제로 파악되어 스토크의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토크와 연결축의 중심선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편심이 작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파손일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토크 연결축을 편심이 작용되지 않도록 스토크 중심축의 구조를 개선하였다.

      • 플라스틱온실의 피복재를 통한 관류열전달 특성

        이현우 ( Lee H. W. ),소레이멘디옵 ( Diop S. ),김영식 ( Kim Y. S.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Energy is considered to be a key player in the generation of wealth and also a significant component in economic development. This makes energy resources extremely significant for every country in the world (Ozturk, 2005 and Dincer, 2002, 2003).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greenhouse heating and suggest an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But this coefficient suggested is very different because the covering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climate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al greenhouse are not same. The heat flow through the greenhouse cover material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that material as a barrier to energy loss between the greenhouse system and its environment (Kittas, 1994). The determination of the quantity of heat transmitted through the cover is an important thermal problem of greenhouses and his rational approach represents a valuable tool for many practical applications. Modification of existing testing methods is required because, in most cases, they are insufficient for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Also new testing methods should be elaborated, and specially designed for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Papadakis et al., 2000).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commercial plastic greenhouse. The heat flow through covering of greenhouses was measured and the variation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analyzed. Because the inside-outside temperature difference of greenhouse to indicate the stabilized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vering layers, the actual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should be decided in range of inside-outside temperature difference to make the coefficient constant for each covering method. The variation trend of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inside-outside temperature difference correspond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but the specific values of temperature difference to present the stabilized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 increase rates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wind speed were quite dissimilar among several research results and the quantity of heat loss through covering according to the wind speed in the double layers covered or curtained greenhouse was less than that in the single layer covered greenhouse. Because there were large variations among the values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r the polyethylene film greenhouses, it was required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environmental condition for experiment measuring heat flow through covering in commercial greenhouse.

      • 온실측고 인상장치 실증 실험

        고석남 ( S. N. Ko ),이승주 ( S. J. Lee ),김태욱 ( T. W. Kim ),이종원 ( J. W. Lee ),이현우 ( H. W. Lee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온실측고 인상을 위한 모델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증실험은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반정로 215(망포동 80-1) 부지에서 수행되었다. 모델실험 결과를 토대로 보완한 8m(4m x 2bay) x 2.5m x 4m크기의 유리온실(벤로형)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실험은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수행하였으며, 1차적으로 철골만 설치하여 실험을 한 후 지붕유리(유리규격 4mm, 1.247mm x 2.124mm x 8장)를 설치하여 2차 실험을 실시하여 인상 속도와 높이를 확인하였다. 당초 계획된 최종 인상 목표 높이는 1.5m이며 최대 인상 하중은 1000kg 이상, 허용변형량 5츠 이하, 인상 속도는 0.17m/sec이하 이므로 테스트 시 이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증시험 시 실제 온실 보다 소규모이므로 인상 도중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거리 확보 후 테스트 준비를 완료하였다. 1차 온실 측고 인상을 실시하여 인상중의 온실의 수평 및 수직 상태 확인하였고 전도방지기를 조절하였으며 1차 실험에서는 온실 측고를 1m 인상하였다. 2차 측고인상 후 인상 높이 확인 및 모형 온실 전체의 수평, 수직상태를 점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m 인상하였다. 1m를 인상하는데 약 15분 정도 소요 되었고 수동자키를 이용하여 신규 기둥 설치하여 측고인상 완료 및 기타 장치를 철거하였다. 유리온실 실증시험 결과, 장치의 파손 및 유리의 깨짐 현상 없이 1.5m가 인상된 점을 통해 실제 현장 적용 시 큰 무리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온실측고 인상을 위한 전도방지 및 구조안전성

        이종원 ( J. W. Lee ),고석남 ( S. N. Ko ),유주열 ( J. Y. Yu ),김태욱 ( T. W. Kim ),이현우 ( H. W. Lee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 온실 측고 전도방지장치는 와이어 방식을 응용하여 적용하였다. 와이어 방식과 같이 간단하게 온실에 설치할 수 있고 지반과 고정을 시킴으로서 충분한 장력을 발휘하여 외부 하중 또는 온실 자중의 편심이 발생해도 이를 방지해줄 수 있는 방식을 변형하여 채택하였다. 가볍고 탄성 장력이 매우 크며 내화학성이 뛰어나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폴리에스트 재질의 벨트를 사용하였고, 잠김과 풀림이 이루어져 인상장치의 구동과 연동하여 인상과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도방지장치를 적용하였다. 폴리에스트 재질의 벨트는 탄성 장력이 매우 높아 10ton이상의 장력을 발휘한다. 온실 측고 전도방지장치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인상장치의 현장 테스트에 병행하여 적용성을 실시하였다. 온실 측고 전도방지 장치는 온실의 주요 구조체(트러스)과 지반을 연결하고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장 테스트에서는 전도방지 장치를 실험용 모형 온실의 가로 구조대와 지반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각각의 기둥에 하중을 재하하고 인상장치와 함께 전도방지 장치를 작동하였다. 현장 테스트 결과, 인상장치의 상승 및 정지시 연동되어 전도방지장치의 잠김 및 풀림을 적용하였고 안정적으로 실험용 모형 온실을 지지해 주었다. 인상장치의 스토크 파손에 의해 재하하중 500kg까지의 탄성장력의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좀더 큰 하중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인상장치가 인상될 때 전도방지 장치의 잠김 및 풀림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빠르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구된다. 온실 측고 인상시에 가장 중요한 것은 온실의 구조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므로 국내 대표적인 연동 플라스틱온실을 대상으로 측고 상승에 따른 온실의 구조안전성 변화와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국내 대표적인 연동온실인 1-2W형 플라스틱온실(측고 2.7m, 07-자동화-1형)과 벤로형 플라스틱온실(측고 4.5m, 08-자동화-1형)의 측고를 상승하였을 때 온실의 구조안전성은 풍하중의 경우에는 상승전보다 상승후가 단위 인상높이(m)당 20%정도 불리하며 적설하중의 경우에는 07-자동화-1형은 단위 인상높이(m)당 5%정도 불리하나, 08-자동화-1형은 단위 인상높이(m)당 20%정도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온실의 측고 인상시 적설하중보다는 풍하중에 대한 구조안전성이 취약함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취약한 부재는 기둥과 방풍벽이다. 온실의 측고를 상승하게 되면 한계안전 적설심은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한계안전풍속은 측고인상 높이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강풍에 대한 온실의 구조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장 취약한 기둥과 방풍벽 부재를 단면적이 더 큰 부재로 교체하여야 한다. 유리온실의 경우에는 기둥부재를 교체하기가 수월하나 연동플라스틱온실의 경우에는 기둥 부재를 쉽게 교체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측고가 인상된 온실의 바람에 대한 구조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풍벽과 외측기둥을 연결하는 버팀대를 추가 설치하거나 2중 방풍벽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줌으로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부재 최대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버팀대에 의한 구조보강 효과는 방풍벽과 서까래 부재의 최대휨모멘트는 약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기둥 부재의 최대휨모멘트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기존의 방풍벽에 추가적으로 2중방풍벽을 설치할 경우 최대휨모멘트가 약 2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측고인상에 따른 구조보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