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테일러 반응기의 유동특성과 입자 체류시간에 관한 수치적 연구

        이현권 ( Hyeon Kwon Lee ),이상건 ( Sang Gun Lee ),전동협 ( Dong Hyup Jeon ) 한국공업화학회 2015 공업화학 Vol.26 No.1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particle residence time in a Taylor reactor were studied. Since flow characteristics in a Taylor reactor are dependent on the operating conditions, effects of the inlet flow velocity and reactor rotational speed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particle residence time of LiNiMnCoO2 (NMC), which is a cathode material in lithium-ion battery, is estimated in the Taylor vortex flow (TVF) region. Without considering the complex chemical reaction at the inlet, the effect of Taylor flow was studi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le residence time increases as the rotating speed increased and the flow rate decreased.

      • KCI등재

        TiO₂ 나노튜브 내경 확장을 위한 양극산화 조건

        이현권(Hyeon-Kwon Lee),오현철(Hyunchul Oh),이기영(Kiyoung Lee) 한국표면공학회 2018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1 No.1

        In the present work,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to form large inner diameter TiO₂ nanotubes by anodization of Ti in a HF/ethylene glycol electrolyte. In order to achieve the large inner diameter TiO₂ nanotubes, optimization of the anodization condition is required. We discover the key factors in the formation of large inner diameter TiO₂ nanotubes are concentration of water in the electrolyte, anodization temperatures, and high-applied potential. Under optimum conditions, the inner diameters of TiO₂ nanotubes are 379 nm. The results are approximately 3 folders larger than the general case.

      • KCI등재

        양측 손목에 착용한 Actigraphy와 야간수면다원검사 간의 수면지수 비교

        신병학,박두흠,이현권,유재학,유승호,하지현,신현실,홍석찬,Shin, Byung-Hak,Park, Doo-Heum,Lee, Hyun-Kwon,Yu, Jae-Hak,Ryu, Seung-Ho,Ha, Ji-Hyeon,Shin, Hyeon-Sil,Hong, Seok-Chan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1

        목 적:본 연구는 양측 손목 액티그라프(wrist actigraphy:WATG) 간의 WATG 지수와 각각의 WATG와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NPSG) 간의 수면지수를 비교 분석하여 차이와 일치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우수 우성인 22명(평균연령 $43.9{\pm}13.3$세, 남:여=14:8)의 치료받지 않은 일차성 수면장애를 가진 환자(primary insomnia=8, simple snorer=2, obstructive sleep apnea=12)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양측 손목에 WATG를 착용한 채 1일밤 NPSG를 시행하였다. 양측 WATG 지수간을 상관관계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각 WATG와 NPSG 간의 수면기간시간, 총수면시간, 수면 잠복기, 수면효율 및 각성 시간에 대하여 상관관계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양측 WATG 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수면잠복기와 수면분절지수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그외의 다른 수면지수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양측 WATG의 수면지수 간의 양적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WATG와 NPSG 수면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양측 WATG 수면기간시간, 좌측 WATG의 수면잠복기 그리고 우측 WATG의 총수면시간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측 WATG의 수면효율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WATG와 NPSG 수면지수 간의 양적 비교에서 NPSG에 비해 WATG에서 양측의 수면기간시간(p<0.001, p<0.001)과 우측의 각성시간(p<0.05)은 감소되었으며, 좌측의 수면잠복기(p<0.001)와 우측의 총수면시간과 수면효율(p<0.05, p<0.05)은 증가되었다. 결 론:양측 WATG 수면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수면잠복기와 수면분절지수의 불일치는 각성시간 동안 WATG의 활동도가 양측간에 차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PSG와 각 WATG의 수면지수 상관관계에서 보여주고 있는 불일치는 일일밤 수면분석을 위해 NPSG를 대신하여 WATG를 이용하는 것에 제한된 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ctigraphic indices between both wrist actigraphies (WATGs), and the sleep estimates between each WATG and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to assess their differences and consistencies. We studied 22 right-handed subjects (mean age $43.9{\pm}13.3\;years$, M:F=14:8) with untreated primary sleep disorders (primary insomnia=8, simple snorer=2, obstructive sleep apnea=12) undergone by overnight both WATGs and NPSG, simultaneously. Comparison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between right and left wrist actigraphic data. In the sleep estimates of both WATGs and NPSG, each WATG was compared and correlated with NPSG in sleep period time (SPT), total sleep time (TST), sleep latency (SL), sleep efficiency (SE) and wake time (WT). Sleep indices between both WATG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o correlations in SL and fragmentation index (FI).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leep indices between both WATGs. SPTs of both WATGs, SL of left WATG, and TST of right WATG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SE of right WATG did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sleep indices between each WATG and NPSG. As each WATG was compared to PSG, SPTs of both WATGs and WT of right WATG were decreased, and TST and SE of right WATG and SL of left WATG were increased. Inconsistent SL and FI between both WATGs indicate that the activities between both WATGs can differentially happen during wake or arousal. Inconsistent sleep estimates between each WATG and NPSG may indicate the limited usefulness in measuring and analyzing one-night sleep by using WAT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