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世宗時代의 政治

        이한수(Lee Hansu)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2

        가와 국가라는 두 축은 조선시대 정치사상을 통관하는 관점을 제공해 준다. 세종 시대는 가를 바탕으로 인륜이 살아 숨쉬는 정치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면서도, 그 인륜의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그것을 뛰어넘는 국가의 질서를 확립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조선후기에는 국가보다는 가를 강조하는 경향으로 나아간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후기에는 국가의 질서란 가의 질서가 확립되면 저절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인다. 이렇게 파악하면 정치는 윤리의 영역으로 환원되며 국가는 가에 종속적이고 부차적인 것으로 전락한다. 國家의 질서는 法-權-武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家의 질서는 禮-經-文과 연결된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보완하면서도 대립의 측면을 갖는다. 가와 국가의 긴장에 주목하여 정치사상을 바라보는 관점은 理와 氣,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등 성리학의 철학적 논의를 정치에 그대로 투영하여 이 시대의 정치를 설명하는 방식보다 더욱 적절한 방법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당대의 정치적 논의는 理와 氣 같은 성리학의 철학적 논의보다는, 家-禮-經-文과 國家-法-權-武의 긴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며, 정치적 논의는 철학적 원리로 간단히 환원될 수 없기 때문이다. 세종시대 가와 국가는 모두 정당화 논리로 기능하고 있다. 국가의 논리는 세종을 즉위하게 하는 강력한 정당화 논리였다. 태종의 셋째 아들인 세종은 가의 절서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성리학적 종법에 따른다면 왕위를 계승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 거듭된 실행으로 양녕대군이 폐세자 된 뒤에도 세종보다는 양녕대군의 아들이 왕위 계승의 우선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세종은 ‘국가에서는 택현할 수 있다’는 국가의 논리로 즉위하였다. 그의 즉위는 ‘고금의 커다른 의리〔古今之大義〕’이자 ‘국가의 항규〔國家之恒規〕’로서 정당화되었다. 이는 국가의 논리가 가의 논리에 우선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국가의 논리는 국왕의 전제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왕가의 논리로 떨어질 때 정당성의 한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한편 가의 논리는 인륜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당성과 공공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국왕이 인륜을 이유로 왕가의 일원을 보호하려 할 때 가의 논리는 공공성을 잃게 된다. 세종은 효령대군의 불법적 행동을 가의 논리로 처벌하지 않았다. ‘늙은 형님’에 대한 우애의 정을 보이는 것은 인륜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일임에 틀림없지만 당대의 정치가들은 세종의 이러한 행동을 ‘사정(私情)’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인륜을 바탕으로 한 가의 논리도 국가의 질서에 위해가 되는 지점에 다다르면 공공성과 정당성을 잃고 ‘사정’으로 떨어짐을 보여준다. With family and the state as two central frames, this thesis has investigated the politics and political ideas in King Sejong's reign by examining the political debates amongst the literati-bureaucrats of his cabinet. It has been found that in King Sejong's reign the political community pivoted on morality was vigorously pursued and, at the same time and notwithstanding, it was too clearly acknowledged that in order to maintain moral community thus constructed the entrenchment of the state order must be fulfilled. The principle of the state was the most powerful justification for Sejong's enthronement. Despite being the third son of King Taejong, Sejong was enthroned to be a king of Chosen on the basis of the "logic of the state" that says, "the state can recommend the wise." Sejong's enthronement itself proved that in this period the priority fell on the state rather than on the family. Although it was equally recognized that the family was founded upon morality that, according to Confucianism, guaranteed the legitimacy and publicity, it was clear that the principle of the family could be relegated to the "private sentiments" if it would step into the domain of the state. Roughly speaking, the family was where moral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and, by contrast, the state was where political judgments were needed. These tensions wer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re was both continuity and disjunction between the order of the family and that of the state. This ambivalence was well represented i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ay or the constant measure as a moral principle and the expedient measure that often transcends the rigidity of a moral principle and requires the need of active political judg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he state seems to be similar to a precarious walking by a tightrope walker on a rope. On the one hand, the naivete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rder naturally ensues once that of the family order has been achieved indeed annihilates the uniqueness of the realm of the state as a peculiarly political domain. On the other hand, however, exploiting the familial order for the purpose of the state order could make publicity of morality fall a victim to Despotism.

      • KCI등재

        MBTI 성격유형과 회화표현의 상관성 연구 - 인천가톨릭대 회화과 학생을 중심으로 -

        이한수 ( Lee Hans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9 예술과 미디어 Vol.18 No.1

        이 연구는 인천가톨릭대학 회화과 학생들을 표본으로 MBTI의 성격 유형 중에 데이비드케어시(David West Keirsey)1)의 이론에 의거하여 디오니소스(예술가) 기질에 해당하는 유형을 중심으로 개인선호도 설문조사를 하고, 조사를 한 학생들의 졸업작품을 분석하여, 이들의 MBTI 성격유형과 회화표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비드 케어시의 성격유형론은 예술 창작과 표현이 자아실현의 매개체에 해당한다고 하는 칼 융(Carl Gustav Jung)2)의 성격유형 이론을 기반으로 마이어스(Isabel B. Myers)와 브릭스(Katherine C. Briggs)가 개발한 MBTI 성격유형 검사를 발전시킨 분류 방법이다. 연구 방법은 2016년 인천가톨릭대학 회화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중에 데이비드 케어시의 예술가(디오니소스) 기질에 해당되는 SP(ISTP, ESTP, ISFP, ESFP) 유형을 중심으로 개인선호도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화작품 성향분석은 개인선호도 설문조사자들 중에 2019년 초까지 4년간의 졸업생들의 졸업 작품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회화작품 성향분석 방법은 졸업 작품으로 제출한 그림을 중간값 한 색상으로 도출한 후 그 색상을 가산혼합인 빛의 삼원색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의 색상숫자로 변환했다. 이를 명도 채도와 색상균형, 정형과 비정형, 대비, 평면적 유형과 입체적 유형으로 나누어 MBTI 성격유형과 비교분석 했다. MBTI의 성격유형과 개인선호도 설문조사, 회화작품 성향분석 간에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조사대상 학생 구성비율은 F-감정형의 학생들이 다수, T-사고형 학생들이 소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IT-내향사고형이 가장 적은 MTBI 성격유형으로 구분되었다. E-외향형이 고명도 채도 선호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I-내향형이 상대적으로 저명도 채도선호 경향을 가지고 있다. F-감정형이 작품에 강한 대비와 곡선(비정형)을, T-사고형이 약한 대비와 직선(정형)을 선호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ET-외향사고형과 IT-내향사고형이 반대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ET-외향사고형은 표현적 유형 난색 선호경향을 IT-내향사고형이 평면적유형, 한색선호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MBTI 성격유형을 발전시킨 데이비드 케어시(David West Keirsey) 기질이론을 바탕으로 한 개인선호도 설문조사, 회화작품 성향분석은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미술교육 지표로서 활용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painting expression using the sample of students in the Painting Department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Incheon by analyzing their graduation works, who participated personal preference questionnaires focusing on the types of Dionysus (artist) temperament based on Keirsey's theory among the personality types of MBTI, which classifies the MBTI personality type into four types. The research is conducted on students in 2019, based on the type of SP (ISTP, ESTP, ISFP, ESFP) temperament. The tendency of the painting work was analyzed through personal preference questionnaires and their graduation works for four years until early 2019. To analysis student’s painting work tendency, colors of graduation works were converted into a representative color in category of RED GREEN BLUE. This was compared with MBTI statistics by dividing them into brightness/saturation and color balance, stereotyped and atypical, contrast, plane type and stereoscopic type. The following analysis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MBTI's and questionnaire with their color tend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MBTI personality type and the color tendency of the graduation work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deology and method of art education. However, art educ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based on students' preference, and thi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art education.

      • 1 인칭 메타버스 게임의 HUD UI 와 공간 UI 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효과

        김명지(Myoungji Kim),김효리(Hyori Kim),박유림(Yurim Park),이영현(Yeonghyeon Lee),이한수(Hansu Lee),정범영(Beomyoung Jeong),송원철(Stephen W. Song),정동훈(Donghun Chung)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사용자 경험적 관점은 가상현실의 핵심 가치이다. 최근 가상현실 게임 시장의 발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게임 사용자의 경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가상현실 게임 내 UI 요소 중 핵심 UI 와 정보량을 다르게 제공하였다. 25 명을 대상으로 1 인칭 아케이드 가상현실 게임 내 표시되는 핵심 UI 요소와 정보량에 따른 사용자 경험 차이를 피험자내 설계로 실험하였다. HUD UI 가 공간 UI 와 비교하여 직관성, 이해 가능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단서가 있을 때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직관성, 정확성, 완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1 인칭 아케이드 가상현실 게임에서 사용성 평가 이론과 미디어 풍요성 이론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설명하며, 이는 향후 가상현실 게임 디자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type 4 수소저장용기용 고정 장치의 구조적 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건우(GUNWOO KIM),김혜원(HYEWON KIM),박한민(HANMIN PARK),이정호(JEONGHO LEE),유수진(SUJIN YOON),이한수(HANSU LEE),김종열(JOUNGLYUL KIM),이석진(SEOKJIN LEE),유계형(GYEHYOUNG YOO),윤영길(YOUNGGIL YOUN),김한상(HANSANG KIM)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24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35 No.2

        The study involves a finite element analysis to evaluat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neck mount block for a type 4 hydrogen storage vessel, with the aim of enhancing its strength and rigidity. The existing neck mount block consists of a fixed part and a sliding part, each comprising a body block for load support, a screw part for neck boss fixation, and bolts. To analyze the vulnerabilities of the neck mount block under bolt fastening and load conditions relative to vehicle travel directions, a structural analysis process was develope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nhanced design and the existing model was performed, resulting in improved strength and rigidity. The objective is to provide guidance for the current product development and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the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of future developmen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