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회의 참여자간 사회적 실재감의 인터렉션 향상 방안 제안 - 화상회의 플랫폼 Zoom, Webex, Teams 중심으로 -

        이채민(Chaemin Lee),이하리(Hari Lee),차민영(Minyoung Cha),최나은(Naeun Choi),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판데믹 이후 보편화된 비대면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의 인터렉션 향상 방안을 제안한다. 비대면 회의에서 실제와 같이 이뤄지는 소통은 사회적 실재감이라는 개념으로 정의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Swan의 사회적 실재감 모델을 지표로 하여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의 주요 기능을 진단했다. 이를 통해 각 기능별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발견했다. 현재 플랫폼의 주요 기능을 진단하기 위해 시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는 플랫폼 3가지(Zoom, Webex, Teams)를 선정하였다. 사회적 실재감은 정서적, 상호 작용적, 응집적 실재감으로 나뉘는데 각 실재감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별하여 3가지 플랫폼에서 동일 기능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회의를 진행하도록 설계했다. 실험 대상은 20-30대 남/여 12명으로 실제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Task를 수행하는 경험을 관찰하여 정성적 결과를 도출했다. 실험 결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소통 시 사회적 실재감 향상 시키는데 온라인 플랫폼 화면에서 실시간적으로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이는 같은 공간에 있을 때 무의적으로 상대의 행동, 표정 등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화상회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시각 요소인 비디오(카메라) 비시각적 요소인 소리, 행동, 기분을 시각적인 피드백으로 강화하는 것이 비대면 상황에서도 사회적 실재감을 높여주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회의 참여자간 사회적 실재감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interaction on widely adopted non-face-to-face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that have become prevalent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Communication in virtual meetings, mirroring real-world interactions, can be defined by the concept of social prese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key features of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using Swans social presence model as an indicator. Through this analysis, we identified methods to improve social presence for each function of the platform. To assess the current features of the platforms, we selected the three most widely used platforms in the market (Zoom, Webex, Teams). Social presence was categorized into emotional, interactional, and cohesive presence, and specific features corresponding to each presence were identified.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engage in meetings using the same features across the three platforms, and the study observed the experiences of 12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performing tasks during actual video conferenc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real-time visual feedback displayed on the online platform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during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is significance stems from the limited ability to unconsciously perceive information such as the other partys actions, expressions, and overall atmosphere when physically present in the same space. The study confirmed that reinforcing basic visual elements provided by video (camera) and enhancing non-visual elements such as sound, behavior, and mood through visual feedback are critical factors for increasing social presenc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us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among participants in virtual mee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