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철학에서의 物과 心 그리고 힐링

        이택용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8

        본 논문은 개인과 세상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불안정 및 근원자[天⋅道]가 초래하는 부조리로 인한 인간의 좌절 과 불안에 대하여 장자철학은 어떤 답을 제시하는가를 다룬 것이다. 장자철학에서 인간이 겪는 괴로움의 주 원인자는 ‘사건⋅사태’로서의 物과 ‘분별⋅욕망의 주체’로서의 心이며, 이 양자의 결합에 의하여 인간의 괴로움이 발생한다. 즉, 物에 대하여 분별과 욕망이 동시에 작동하였으나 그 욕망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괴로움이 발생한다. 그런데 物은 命적 사태라서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반면 心은 통제 범위 안에 있다. 따라서 장자철학은 분별과 욕망의 주체로서의 심을 제거시키는 齊物과 無己를 인간사 괴로움의 해결방안으로 채택한다. 그 결과는 遊心⋅ 不傷⋅不累⋅解於物 등으로 나타난다. 오로지 경쟁에서의 승리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장자철학은 현실의 삶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장자철학은 현실의 우리에게 두 가지의 중요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제공한다. 하나는 바로 ‘어찌할 수 없 는 사태를 어떻게 소화해 낼 것인가’이며, 다른 하나는 ‘경쟁에 매몰된 삶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the solution, suggested in Zhuangzi`s philosophy, to the problem of instability and anxiety in man`s life. Man`s sufferings are referable mainly to wu物 which means 'things and affairs' and mind which means a body of 'discriminating and wanting' in Zhuangzi`s philosophy. Otherwise, man`s sufferings arise at the time 'discriminating and wanting' has operated simultaneously in mind but wanting can`t be met. And by the way, 'things and affairs' depend on destiny, so they are out of man`s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mind is controllable. This is the reason why Zhuangzi had chosen 'making things and affairs equal'齊物 and selflessness無己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instability and anxiety in man`s life. The result of the solution is 'being free and easy wandering'逍遙, not being hurted, not being tied down and being freed from 'things and affairs.'Zhuangzi`s philosophy suggests us two kind of solutions in life. One is how to overcome the 'things and affairs' occurred in our life, the other is how to be freed from the life tied by competition.

      • KCI등재

        『중용』의 문제의식과 그 해법에 대한 고찰

        이택용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중용』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해하기가 쉽지 아니한 책이며, 이 책의 ‘작자, 편제 및 주장사항’에 대하여 여러 이견이 존재한다. 이러한 까닭에 본 논문은 과연『중용』은 무엇을 말하는 책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용』의 문제의식과 그 해법을 살펴보았다.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도(道)가 실행되지 않는’ 것이 『중용』의 문제의식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성(至誠)의 덕을 갖춘 인물[聖人]이 존재해야하고 그가 제왕이 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이 『중용』이 제시한 해법이다. 전체적으로 『중용』의 내용은 ‘천하화평’ 즉 ‘천지(天地)가 제자리를 잡고, 만물(萬物)이 잘 자라나는 세상 만들기’라는 주제를 향해 있다. 하늘이 인간에게 성(性)을 부여하였으니 인간은 ‘성(誠)⋅신독(愼獨)’의 자세로 수신하여 ‘치중화(致中和)⋅중용(中庸)’의 덕을 갖추어서 성인(聖人)의 경지에 들면 ‘하늘과 귀신’이 그를 제왕으로 만들고 그 결과 세상은 화평해진다는 것이 『중용』의 요지이다. 그런데 ‘하늘과 귀신이 성인을 제왕으로 만드는 것’은 소당연(所當然)의 일이지 소실현(所實現)의 일이 아니다. 『중용』은 하늘과 귀신의 뜻에 기대에 성인이 왕이 되어야 한다는 성인제왕론(聖人帝王論)을 주장하여 소당연을 소실현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This essay is aimed at making clear what The Doctrine of the Mean insists on, by means of investigating the issue and it`s solution suggested in this book. Tao having not realized in individual and social level is the issue suggested in The Doctrine of the Mean. To solve it, this book suggests a solution that there should be a sage having virtues of great sincerity, and the system by which the sage becomes a king,Totally The Doctrine of the Mean is oriented at the subject of making peace of the world, that is, to make the world in which sky and earth are in correct order and all creatures are flourishing. Heaven(天) has given human beings the nature(性), therefore human beings should achieve the virtue of 'equilibrium and harmony'(中和) an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by virtue of 'being watchful over oneself when alone'(愼獨) and sincerity(誠) in following one`s nature. That is the way of being a sage. Then, heaven(天) and spiritual being(鬼神) makes one a king. As a result, the word becomes peaceful. But heaven(天) and spiritual being(鬼神)`s making a sage a king is what ought to be realized, is not what is realized. By this reason, The Doctrine of the Mean suggests 'sage king theory'(聖人帝王論), that is, a sage should be a king. The Doctrine of the Mean tries to make this theory actualized, relying on the will of heaven(天) and piritual being(鬼神).

      • KCI등재

        『서경』의 덕(德) 개념에 대한 고찰

        이택용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7

        본 논문은 『서경』에 나타나는 다양한 덕(德)의 용례 및 덕과 ‘천⋅명’ 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덕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서경』의 덕은 ‘특정 존재에 요구되는 이상적 역할을 해내는 특성’을 의미한다고 도출 되었다. 그런데 인간의 경우 역할이 주로 그가 맡는 지위에 의하여 결정 되기 때문에 이는 ‘특정 지위에 요구되는 이상적 역할을 해내는 특성’으로 재규정되고, 간단히 말하자면 ‘다움’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덕의 기준이 되는 ‘이상적 역할’은 일차적으로는 천명(天命) 및 이에 근거한 왕 명(王命) 등에 의하여 규정되지만 궁극적으로는 당시의 사회적 관습에 의하여 규정된다. ‘다움’으로서의 『서경』의 덕 개념은 일원적으로 덕을 규정하면서도 덕의 다양한 용례들을 수월하게 포섭하고 있다. 사물의 덕의 경우 ‘그것 다움’으로 해석되고, 인간의 덕의 경우 ‘그의 지위다움’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러한 덕 개념은 『논어』에서 강조되었던 덕치(德治)를 ‘정명(正名)’으로 해석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defining the meaning of 'de' in The Book of Document on the basis of it`s various example of use and the relation between it and tian(天)ㆍming(命). The conclusion is that 'de' in this book means a special quality of fulfill a ideal role required to a specific being. By the way the role in the case of man is determined by his position. Therefore 'de' is redefined as a special quality of fulfill a ideal role required to a specific position. In short, de can be defined as 'appropriation to a specific being'. The ideal role which is the basis of de is determined first-hand by tianming (天命) and a king`s order according to it, and is determined basically by mores. The meaning of 'de' in this book as 'appropriation' defines 'de' monistically and also connotes easily it`s various example of use. De in the case of things is interpreted as appropriation to it`s nature and in the case of man to his position. And the meaning of 'de' like this gives the basis to interpret 'governing with de'(德治)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zhenming(正名).

      • KCI등재

        『장자』 내편 「응제왕」이 갖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한 고찰

        이택용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응제왕」은 일반적으로 장자의 통치론[내지는 제왕론]을 밝힌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이 노정된다. 첫째는 이 편의 전반 4개장에 나타나는 장자의 통치론이 과연 무엇인가이다. 둘째는 이 편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神巫 계함 우화⋅用心若鏡론⋅渾沌 우화’가 통치론으로 독해되는가이다. 셋째는 「응제왕」이 전반 4개 장과 후반 3개장이 서로 결이 다르다면 ‘응제왕’이란 편명은 어떻게 해석되는가이다. 넷째는 ‘遊’가 ‘天下治’로 귀결되는 구조가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답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 편의 전반 4개장에 나타나는 통치론의 핵심은 ‘遊의 통치론’이며 無治之治로 구체화된다. 둘째 후반 3개장은 應物論으로서 安命論의 일부에 해당되며 통치론으로 독해될 수 없다. 셋째 ‘응제왕’은 전반 4개장의 경우 ‘군주에 대답하다⋅군주에 부합하다’라는 의미로, 후반 3개장의 경우 ‘道에 대응하다⋅道에 순응하다’로 해석된다. 넷째 몇 가지 가능한 구조가 제시되지만 ‘유위지치가 난세의 원인이라는 관점’과 ‘인성자연설’이 각각 또는 서로 결합하여 ‘遊’가 ‘天下治’로 귀결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Chap. seven of Zhuangzi has been understood ordinarily as a discussion on government or a discussion on emperor. In this case several questions are asked. The first, what is 'the discussion on government’ of the former four fables of this chap? The second, can the latter three fables of this chap. be understood as 'a discussion on government'? The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應帝王'? The fourth, how roaming results in 'establishing order of the world'? The answers on these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discussion on government' of the former four fables of this chap is 'the theory of governing by roaming'. The second, the latter three fables of this chap. can`t be understood as 'a discussion on government'. It is 'a discussion on how to response things and events'. The third, in the former 4 chaps '應帝王' means ‘answering to kings and emperors' and 'fitting to kings and emperors'. In the later 3 chaps it means 'responding to Dao' and 'following Dao'. The fourth, artificial governing results in disorder of the world and human nature gets better without artificial governing, therefore 'not governing and roaming' can result in 'establishing order of the world'.

      • KCI등재

        『순자』 性惡論의 바탕에서 ‘禮’는 원초적으로 성립가능한가?

        이택용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2 No.-

        This paper proposes it is possible for ritual to come into existence originally under the theory of evil human nature in Xunzi`s philosophy. Xunzi regards there is the tendency of ‘following uncontrolled desire’ and ‘following possible way’ in man`s mind. The former is manifested human nature and the later which has not manifested by Xunzi can be also regarded as human nature because it fits the condition of human nature. Between these, the later is more original and persistent. This tendency calls 'knowledge and capacity' and bestows them the mission of controlling desire when it is impossible for men to pursuit uncontrolled desire. It is the ritual that a saint, a bit smarter than ordinary man by experience, has made to satisfy man`s desire.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ritual to come into existence originally under the theory of evil human nature in Xunzi`s philosophy. 본 논문은 “『순자』 성악론(性惡論)의 바탕에서 ‘예(禮)’는 원초적으로 성립가능한가?”를 다룬 것이다. 순자는 인간의 마음이 ‘통제되지 않은 욕망을 쫒는 경향성’과 더불어 ‘가(可)함을 쫒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전자는 명백하게 언표된 성(性)이고 후자는 명백하게 언표되지 않았지만 성의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이 역시 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양자 중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속성은 ‘가(可)함을 쫒는 경향성’이다. 이러한 속성이, 통제되지 않은 욕망의 추구가 불가할 때 가능태로서 약한 존재인 ‘지(知)ㆍ능(能)’을 소환하여 욕망의 절제를 담당할 임무를 부여한다. 후천적인 견문의 축적에 의하여 범인(凡人)들보다 뛰어난 자질을 갖추게 된 인간[聖人]이 ‘지(知)ㆍ능(能)’에 의하여 욕망을 절제하고 그리하여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예(禮)인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성악론적 바탕에서 예가 원초적으로 성립하게 된다.

      • 多文化 共生思想으로서의 『老子』 讀解

        이택용 인문예술학회 2015 인문과 예술 Vol.- No.2

        As world is widely globalized, societies are becoming multi-cultural and confronted by many problems owing to multi-culture. In these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e violence, spiritual and physical, of the dominant culture to the non dominant. This paper seeks it`s solution through Laozi`s philosophy. The main claim of Laozi`s philosophy is ‘ruling by wuwei 無爲’. It means a sage who is a Dao-embodied ruler rules over the people by the principle of Dao. More generally speaking, it means a conflict administration that minimizes conflicts between a subject and another being. This fact implies the possibility of Laozi`s philosophy to be interpreted as a multi-cultural symbiotic idea, that tries a culture to be in minimal conflicts with other cultures. Laozi`s philosophy as an idea of ‘ruling by wuwei 無爲’ gives several practical wisdoms to a multi-cultural symbiotic idea. The first is, it requires reflective consideration to the dominant culture. The second is, it brings about a positive recognition of the non dominant culture through admitting the possibility of turn-over of the dominant culture and the non dominant. The third is, it has the wisdom of mutual favor which brings about symbiosis of them. The fourth is, it rejects seeking the vast impling violence, and requires small and multi-cultural social system which guarantees the security of the citizens of the world. 전지구적인 세계화에 따라 가속화되는 사회의 ‘다문화(多文化)’화는 많은 문제점에 당면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주류문화가 비주류문화에 대하여 갖는 정신적ㆍ물리적 폭력성인데, 본 논문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노자철학을 통하여 모색한다. 노자철학의 종지는 무위지치(無爲之治)이다. 이는 도(道)를 체화(體化)한 통치자 즉 성인(聖人)이 도의 작동원리에 의거하여 세상을 다스리는 것인데, 이를 일반화한다면 주체와 타자와의 갈등을 최소화하는 갈등관리라 할 수 있다. 이는 노자철학이 다양한 문화간의 갈등을 최소화하여 공생을 도모하는 다문화 공생론(共生論)으로 독해될 가능성을 함축한다. 무위지치의 통치론으로서의 노자철학은 다문화 공생론에 몇 가지 실천적인 지혜를 제공한다. 첫째는 주류문화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이 아닌 반성적 고찰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의 전복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비주류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도출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주류ㆍ비주류문화간의 상호 공생을 통하여 양자의 안녕을 도모한다는 점이다. 넷째는 폭력성을 가진 거대함에 대한 추구를 지양함으로써 세계시민의 안녕을 지속할 수 있는 다문화 소규모사회 체제의 수립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맹자』의 ‘立命’에 대한 연구

        이택용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7 No.-

        Through the foremost 4 chapters of 'Book Ⅶ(盡心)⋅part A' of Mencius, the theory of Ming(命) is said intensively. To defend Mozi's criticism on Ming(非命), Mencius had to establish the logic that, believing and accepting the being of Ming, one can be sincere and do one's best in life. And to remedy the evil of 'ignoring Ming(無命)', Mencius had to establish the logic that one must distinguish what is on destiny from what isn`t and treat them in different way. In such circumstances, Mencius' theory of 'Li-ming' had been contended. 'Li-ming', in conception, is the attitude of believing and accepting the being of Ming. And it, in method, is making little of external conditions confronted in life, practicing morals and accepting destiny naturally. It's core is making little of Ming and making much of Xing(性). Mencius, having inherited Confucius' thoughts, had regarded the goal of life as happiness(樂). So he had contended that one gets not luck, but happiness by virtue of 'Li-ming'. For that reason, destiny had become unimportant in life. And the Heaven which gives destiny to man irrelevantly to one's virtue, can be understood in accordance with the Heaven which originates men and all the things in the world. 『맹자』「진심 상」의 초두 4개장은 맹자의 운명론이 집중적으로 주장된 곳이다. 맹자는 묵자의 ‘비명(非命)’론을 방어하기 위해서 ‘운명론을 믿고 따르면서도 태만하지 않고 스스로 노력할’ 수 있는 논리를 수립해야 했다. 그리고 ‘무명(無命)’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해서 맹자는 ‘운명에 달린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양자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논리를 수립해야 했다. 그 결과로서 맹자의 ‘입명(立命)’론이 제기된 것이다. 입명이란 개념적으로는 ‘운명이 있다는 주장을 믿고 [바르게] 따르는 처신’이며, 방법론적으로는 ‘삶에서 마주치는 외적 조건에 가치를 두지 않고 수신하면서 자연스럽게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핵심은 ‘경명중성(輕命重性)’으로서 운명을 인정하면서도 운명에 달린 것[요수, 부귀 등]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지 않고 수신[양성(養性)]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로써 맹자는 묵자의 비명론과 자신이 제기한 ‘무명(無命)’의 폐단에 대응할 수 있었다.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아서 인생의 목표를 ‘락(樂)’에 두고, ‘입명(立命)’의 덕을 통하여 ‘복(福)’이 아니라 ‘락’에 이른다는 과정을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운명의 존재는 삶에서 중요하지 않은 사안이 되어버렸고 덕과 무관하게 운명을 부여하는 하늘[즉, 덕복불일치의 하늘] 역시 모순 없이 이해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운명을 인정하면서도, 운명에 달린 ‘복’이 아니라 수신의 결과인 ‘락’이 중요하다는 가치론적 전회를 통하여, 맹자는 인간에게 성(性)을 부여하는 하늘과 우연성으로서의 운명을 주재하는 하늘과의 모순성을 해소하였을 뿐 아니라 수덕(修德)의 동기부여 요인으로서 ‘복’이 사라진 자리를 ‘락’으로써 대체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