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밀개간집(秘密開刊集)〉의 체계와 표기에 대한 연구

        이태승,안주호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2 No.-

        이 글은 1784년 간행된 <비밀개간집(秘密開刊集)>의 내용을 파악해보고, 진언표기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비밀개간집>이란 밀교의 교리를 담아 놓은 것으로서, 밀교에서는 진언염송을 수행의 중요한 방편으로 삼고 있으므로 <비밀개간집>에서는 진언을 다수 수록해 놓고 있다. <비밀개간집>에 실린 언반절(諺反切)이라는 내용은 만연사본 진언집과 망월사본 진언집에 수록된 것과 일치하는 한글표기 방식으로서 훈몽자회식 표기법이다. 그 다음에는 실담장(悉曇章)이라 하여 실담문자 50자에 대한 한글 대응음을 표기해 놓고 있는데, 방점이 일부분만 표기되어 있으며, 오각(誤刻)이 눈에 많이 띈다. 진언은 약 90여개가 "한글→범어"의 순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실제 진언표기에서는 방점이 표기되어 있지 않고, "△, ㅂ、ㅇ, ㅇ" 등의 표기가 없다. 또한 절경계가 현실에 맞는 독송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중자에 대한 표시는 따로 되어 있지 않으며, 'ㄷ-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예들이 보인다. 이러한 표기는 당시의 언어 현실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현재의 독송음과 매우 가깝게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mantra spelling system based on the study of the contents of <Bimil-Gaegan-Jip> published in 1784. The <Bimil-Gaegan-Jip> that contains the teachings of esoteric buddhism also lists many mantras since mantra chan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acticing esoteric buddhism. The spelling system of the Eon-Banjeo(諺反切) listed in the <Bimil-Gaegan-Jip> is one of <Hunmong-Jahoe(訓蒙字會)>,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Manyeonsa and Mangwolsa mantra books. Next to that is the Siddhamaㄱ ̄trka ̄ in which Korean counterpart pronunciations on fifty Siddhamatrka letters are inscribed. Here the side points(傍點) are observed only partly and there are many carving errors . About ninety mantras are listed in "Korean → Sanskrit" order. In actual spelling of mantras the side points are not used and letters of " △, ㅂ、ㅇ, ㅇ" are not found, which is one of distinctive features. At the same time, the clause demarcation is practically done based on reciting sounds, and consonant-clusters are not specifically marked. Also observed are examples of the 't-Palatalization' phenomenon. This kind of spelling system still used in modern buddhism, is very close the contemporary pronunci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離一多性證因과 관련된 因의 三相에 대하여

        이태승 인도철학회 2006 印度哲學 Vol.21 No.-

        The 'Three Characters(trairūpya) of Reason(Hetu)' is a very important notion in Buddhist Logic which typically shown with Three-step arguments. This theory of 'Three Characters of Reason' is systematized by Dignaga, Buddhist Logician, and perfectly completed by Dharmakīrti. The Buddhist logic which it is completed by Dharmakīrti gave much influence to the later Mādhyamikas in Indian Buddhism. Among the later Mādhyamikas, Śāntarakṣita is one of most famous for succeeding inBuddhist Logic and Buddhist essential thoughts. In Madhyamakālaṃkāra-vṛtti, his famous work, he make an effort to demonstrate Buddhist essential thought, i.e. the niḥsvabhāva or anātma in the world, by means of Logic and Āgama. Specially on the part of Logic, Śāntarakṣita adopts and uses the reason of Ekānekasvabhāvaviyoga, the famous theory of reason, and explains the reason according to the 'Three Characters of Reason' in Buddhist logic. In considering the Śāntarakṣita's explaining, we make an notice to the influence of Dharmakīrti and Bhāvaviveka who is a middle Mādhyamika. Therefore we reach to know that Śāntarakṣita is succeeded in Buddhist Logic and previous Mādhyamika. Notwithstanding such an influence, Śāntarakṣita is unique for demonstrating Buddhist essential thought with reason of Ekānekasvabhāvaviyoga. 〔주요어: 이일다성, 증인, 삼상, 중관장엄론, 샨타라크쉬타, 다르마키르티〕인의 삼상이란 종인유로 구성되는 삼지작법으로 대표되는 불교 논리학에서 이유인 원인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디그나가에 의해 체계화되고 다르마키르티에 이르러 정교하게 된다. 후기 중관학파의 논사 가운데 다르마키르티의 논리학을 전승한 대표적인 인물인 샨타라크쉬타는 중관장엄론에서 불교의 근본적인 특성인 무자성, 무아의 개념을 논리에 의한 증명과 성전에 의한 증명으로 논증하고 있다. 특히 논리에 의한 증명에서 그는 유명한 이일다성의 증인을 이유로 하여 무자성의 논증을 전개한다. 그의 논리학적 전개는 다르마키르티의 인의 삼상론에 의거하고 있으며, 또한 중기 중관학파의 논사인 바바비베카의 영향도 크게 받고 있다. 곧 샨타라크쉬타는 이일다성의 증인의 이유를 전개함에 있어 ‘승의에 있어서’라는 한정을 붙이며, 원인으로서 이유는 그와 유사한 동품에 반드시 존재하며, 그리고 원인과 전혀 별개의 이품에는 이유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논증하고 있다.샨타라크쉬타의 이일다성의 증인은 후대 인도불교사에서 무자성을 논증하는 대표적이며 독특한 성격, 그리고 이전의 다양한 불교적 특성을 보여 주는 중요한 논증식으로 간주되고 있다.

      • KCI등재

        大乘佛敎 菩薩觀에서의 젠더-출가보살재가보살의 개념과 관련하여-

        李泰昇 한국불교학회 2007 韓國佛敎學 Vol.48 No.-

        The Bodhisattva is the most important idea among the many teachings in Mahāyāna Buddhism. In reality, many Mahāyāna Buddhists tried to become a Bodhisattva instead of a Buddha. But in relation to modern concept ‘Gender’, we have an question about the gender of a Bodhisattva, that is, about whether a Bodhisattva has an masculine gender or a feminine gender. To understand the gender of a Bodhisattva, we should consider more about the concept of the Bodhisattva in Mahāyāna Buddhism. In some works of Mahāyāna Buddhism, a Bodhisattva has the three types, a bodhisattva who is leaving home and a bodhisattva who is staying at home and a bodhisattva who is staying at home practicing the way of a Leaving-home bodhisattva. On considering of these types, we can classify into two types of a bodhisattva, a Left-home bodhisattva and a Staying-home bodhisattva. Thinking about these types of the bodhisattva in terms of the concept ‘Gender’, almost all of Bodhisattva in Mahāyāna Buddhism have an masculine gender. But concerning about the ‘enlightenment’, the important idea of Mahāyāna Buddhism, Mahāyāna Buddhism insists that every people can reach the enlightenment regardless of male and female. Because of the problem like these, Mahāyāna Buddhism prefers to use the Kulaputra(a son of a noble family) and Kuladuhitā(a daughter of a noble family) instead of the Bodhisattva in describing the enlightenment in relation to Gender. Though there is a change into a masculine gender from a feminine gender in getting enlightenment by female, Mahāyāna Buddhism emphasizes the enlightenment and Buddhahood of all of mankind through confirming the enlightenment of Kuladuhitā. 불교는 깨달음을 얻은 붓다를 본받아 인간의 완성, 인격의 완성을 목적으로 역사적 전개를 이루었다. 이러한 전개는 대승불교에 이르러 모든 인간의 성불 가능성을 바탕으로 지혜의 완성과 無上正等覺의 성취 등이 목적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에서는 그러한 목적을 성취하는 주체로서 보살의 개념이 구체화되어 출가보살, 재가보살의 개념으로 전개되고 또한 이들 보살은 僧伽의 일원으로 그 역할을 하였다. 그렇지만 보살의 개념은 엄격한 실천 수도의 의미와 이타행의 강조 등이 전제되어 남성 중심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승불교는 보다 보편적인 대승 불교도를 의미하는 선남자, 선여인의 개념에 성불이라는 보편성을 담아 여인성불의 개념을 주장하였다. 비록 남성 중심의 인도사회에서 성을 바꾼다는 變性을 전제로 여인의 성불을 주장한 것이지만, 이 여성성불의 개념은 대승불교의 근본정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곧 대승은 일체중생의 성불을 근본 개념으로 하여 여성의 성불을 주장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평등성과 보편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성불의 개념에는 남성이나 여성의 차별이 전제된 것이 아니라 인간인 이상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대승의 근본이념을 드러낸 것으로, 이러한 대승의 이념이 여인성불의 개념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난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