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육모의 연구에 의한 한반도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산성 및 적응기술 평가
이충근 ( Chung Kuen Lee ),김준환 ( Jun Whan Kim ),손지영 ( Ji Young Shon ),양운호 ( Woon Ho Yang ),윤영환 ( Young Hwan Yoon ),최경진 ( Kyung Jin Choi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4
Air temperature in Korea has increased by 1.5oC over the last 100 years, which is nearly twice the global average rate during the same period. Moreover, it is projected that such change in temperature will continue in the 21st centu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on the rice production and adaptation methods in Korea. Climate data for the baseline (1971~2000) and the three future climate (2011~2040, 2041~2070, and 2071~2100) at fifty six sites in South Korea under IPCC SRES A1B scenario were used as the input to the rice crop model ORYZA2000. Six experimental schem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climatic warming, CO2 fertilization, and cropping season on rice production. We found that the average production in 2071~2100 would decrease by 23%, 27%, and 29% for early, middle, and middle-late rice maturing type, respectively, when cropping seasons were fixed. In contrast, predicted yield reduction was ~0%, 6%, and 7%, for early, middle, and middle-late rice maturing type, respectively, when cropping seasons were changed. Analysis of variation suggested that climatic warming, CO2 fertilization, cropping season, and rice maturing type contributed 60, 10, 12, and 2% of rice yield, respectively.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14~46 and 53~86% of variations in rice yield were explained by grain number and filled grain ratio, respectively, when cropping season was fixed. On the other hand, 46~78 and 22~53% of variations were explained respectively with changing cropping season. It was projected that sterility caused by high temperature would have no effect on rice yield. As a result, rice yield reduction in the future climate in Korea would resulted from low filled grain ratio due to high growing temperature during grain-filling period because the CO2 fertilization was insufficient to negate the negative effect of climatic warming. However, adjusting cropping seasons to future climate change may alleviate the rice production reduction by minimizing negative effect of climatic warming without altering positive effect of CO2 fertilization, which improves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grain-filling period.
경험적 벼 작황예측 방법에 대한 소개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예측과의 비교
김준환,이충근,상완규,신평,조현숙,서명철,Kim, Junhwan,Lee, Chung-Kuen,Sang, Wangyu,Shin, Pyeong,Cho, Hyeounsuk,Seo, Myungchul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33 No.5
This review introduces the empirical approach of rice yield forecasting and compares it with remote sensing approach. The empirical approac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ice growth and yield monitoring experiment in 17 sites, estimated rice yield by recombination of yield components. The number of spikelet per unit area was from results of experiment sites and grain filling rate was estimated from linear regression with sunshine hours. The estimation results were relatively accurate from 2010 to 2016. The smallest error was 1 kg / 10a and the largest error was 19 kg / 10a. The largest error was caused by the typhoon. The empirical approach did not fully reflect the spatial variation caused by disasters such as typhoon or pest. On the other hand, remote sensing could explain spatial variation caused by disasters. Therefore, if there are not any disaster in rice field, both approaches are valid and remote sensing will be more accurate when any local disaster occurs.
김준환 ( Jun Hwan Kim ),이충근 ( Chung Kuen Lee ),손지영 ( Ji Young Shon ),최경진 ( Kyung Jin Choi ),윤영환 ( Young Hwan Y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4
The objective of this short communication is to introduce several evaluation methods to crop model users because the evaluation of crop model performance is an important step to develop or select crop model. In this paper, mean error, mean absolute error, index of agreement, root mean square error, efficiency of model, accuracy factor and bias factor were explained and compared in terms of dimension and observed number. Efficiency of model and index of agreement are dimensionless and independent of number of observation. Relative root mean square, accuracy factor and bias factor are dimensionless and not independent of number of observation. Mean error and mean absolute error are affected by dimension and number of observation.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한 시스템 요구도 분석
김준환 ( Jun Hwan Kim ),이충근 ( Chung Kuen Lee ),김현애 ( Hyun Ae Kim ),이변우 ( Byun Woo Lee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1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는 농업 생태계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미쳐 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농업 생태계는 생물, 기후, 토양 및 경제 환경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개별 분야에 초점을 맞춘 적응 대책들은 농업 부문 내 다른 영역에 의도하지 않은 파급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후변화 조건에서 복잡한 농업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최적의 작물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별분야별 모델을 연계한 통합 예측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들은 통합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한 모델의 재개발이 필요하다. 농업생태계 감시를 위한 수퍼사이트와 위성사이트의 구축을 통해 장기간 작물 생육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개별 분야 모델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모델 대상의 추상화와 상속과정을 통해 보다 유연한 형태의 통합 모델의 모듈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농업분야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농업생산과 경제분야가 연계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구축이 바람직 할 것 이다. Climate change caused by elevated greenhouse gases would affect crop production through different pathways in agricultural ecosystems. Because an agricultural ecosystem has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societ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as well as organisms, climate, and soil, adaptation measur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a specific sector could cause undesirable impacts on other sectors inadvertently. An integrated system, which links individual models for components of agricultural ecosystems, would allow to take into account complex interactions existing in a given agricultural ecosystem under climate change and to derive proper adaptation measures in order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Most of models for agricultural ecosystems have been used in a separate sector, e.g., prediction of water resources or crop growth. Few of those models have been desiged to be connected to other models as a module of an integrated system. Threfore, it would be crucial to redesign and to refine individual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simulation of individual sectors. To improve models for each sector in terms of accuracy and algorithm, it would also be needed to obtain crop growth data through construction of super-sites and satellite sites for long-term monitoring of agricultural ecosystems. It would be advantageous to design a model in a sector from abstraction and inheritance of a simple model, which would facilitate development of modules compatible to the integrated prediction system. Because agricultural production is influenced by social and economical sectors considerably, construction of an integreated system that simulates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economical activities including trade and demand is merited for prediction of crop production under climate change.
UAE 물절약 벼 재배를 위한 토양개량처리 적용성 평가
정강호(Kangho Jung),이광승(Kwangseung Lee),오양열(Yangyeol Oh),이충근(Chung Kue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UAE와 농업협력의 일환으로 사막 벼 재배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대상 지역은 칼슘이 많은 알칼리성 사질토양이기 때문에 벼 생육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막 특성상 물절약 재배가 요구된다. 해당토양에서는 일반적인 물절약 벼 재배법인 호기적 벼 재배시 암모니아 휘산, 칼륨 결핍 등 알칼리토양 양분장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벼를 고랑에 심고 고랑만 담수하는 형태의 물절약 재배(고랑재배)가 제안되었으나 투수성이 큰 사질토양에서는 담수를 유지하기 위한 토양개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비레에 탄산칼슘을 섞어 인위적으로 칼슘기반 알칼리성 사질토양을 조성하여 고랑재배 및 토양개량에 따른 용수절감 효과와 벼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국립식량과학원 광활시험지 온실에서 수행하였다. 1/5000 와그너 포트에 포트당 2주, 주당 3본씩 이앙한 후 담수재배+불투수(PP), 고랑재배(F), 고랑재배+불투수(FP), 고랑재배+객토(벤토나이트 10%)(FB)의 4처리를 5반복하였다. 물소모량은 PP 9.6 mm day<SUP>-1</SUP>, 고랑재배(F, FP, FB) 5.4∼5.5 mm day<SUP>-1</SUP>로 고랑재배시 43%의 물을 절감하였다. 이는 1일 투수량 10 mm를 가정 시 72% 절감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앙 50일 후 본당 분얼수는 PP, F, FP, FB가 각각 5.3±2.0, 1.5±0.9, 2.3±0.5, 1.6±0.2로 고랑재배시 분얼수가 현저하게 적었다. 수확시 생체중은 61.7±19.8, 23.5±15.1, 26.4±11.4, 25.7±4.2 g pot<SUP>-1</SUP>, 이삭수는 20.0±8.6, 6.6±6.4, 9.0±5.3, 6.4±0.5 pot<SUP>-1</SUP>로 분얼수가 많은 PP에서 현저히 크게 나타났다. 정조중은 7.0±5.1, 2.5±4.1, 5.9±4.0, 5.5±1.5로 PP를 기준으로 F, FP, FB가 36, 84, 79% 수준이었고 이삭당 정조중은 0.6±0.5, 0.6±0.6, 1.0±0.7, 1.8±0.5 g으로 FB에서 PP보다 유의하게 컸다. 이는 물절약 재배시 분얼이 감소하기 때문에 파종량 증가가 필요하며 유사한 이삭수가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투수성을 낮추면서 양수분보유능을 높이는 점토 객토가 벼 수량 확보에 유리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김유학(KimYoo-Hak),황무성(Mooseong Hwang),정강호(Kangho Jung),이태구(Tae-Gu Lee),이충근(Chung-Kue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NH₄<SUP>+</SUP>는 pH가 높아지면 NH₃로 휘산이 일어나므로 토양 pH가 높아지면 벼의 질소흡수가 어려워진다. 토양이 담수가 되면 휘산된 NH3는 관개수에 용해되고 담수된 물의 pH가 낮으면 이 중 일부가 해리되면서 벼가 흡수할 수 있지만 밭 상태에서는 질소의 공급이 어려워진다.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광활시험지의 구내포장 온실에서 시험구당 면적이 3m×4m인 시험구 10개를 배치하고 모든 시험구를 pH는 9.0 이상으로 조절하였으며 기비는 11 kgN/10a의 50%를 복합비료(21-17-17)로 준 다음 9개 구는 6월 29일 30cm×15cm 간격으로 아세미 품종을 이앙하고 1개구는 나지상태로 유지하였다. 관개수는 벼 요수량 211에 해당되는 양을 7:00, 9:00, 12:00, 15:00, 19:00, 21:00, 24:00, 03:00의 8회에 걸쳐 자동으로 나누어 주면서 출수기 이후에는 매주 1회 구당 240 L를 추가로 공급하는 밭 상태로 재배하면서 벼 주요 생육시기에 주는 질소비료의 효과를 토양의 pH와 벼 생육으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기비로 복합비료로 준 NH₄-N은 벼 초기생육이 모든 구에서 심한 황화현상이 나타나 벼가 질소를 흡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분얼비로 NH₄HSO₄와 NH₄HCO₃로 30%인 3.3 kgN/10a에 상당하는 양을 준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생육이 좋아져 높은 pH에서도 질소를 공급할 수 있었으며, 유수형성기까지 유지된 황화현상은 토양에 많은 Ca, Mg와 질소를 제외한 모든 양분들을 킬레이트 상태로 처리하여도 회복되지 않아 벼 황화현상은 질소의 부족으로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비로 10%인 1.1 kgN/10a에 상당하는 양을 NH₄HSO₄와 NH₄HCO₃로 준 결과는 실비로 (NH₄)₂SO₄를 준 구보다 초장 등의 생육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출수와 등숙이 좋게 나타났다. 토양의 pH는 NH₄HSO₄와 NH₄HCO₃를 처리하였을 때 일시적으로 낮아졌으며 점점 pH는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NO₃-N을 토양:물이 1:5인 용액에서 Merck 검출지로 확인한 결과 NH₄HCO₃를 처리하였을 때 NO₃-N은 100 mg NO₃/L이상이 되었고 NO<SUB>2</SUB>-N도 (++)으로 나타나 암모늄태 질소의 산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는데 주사 바늘로 뿌리 아래에 처리한 벼는 고사하여 삼투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NH₄HSO₄를 처리한 구의 NO₃-N은 25 mg NO₃/L이하이고 NO₂-N도 검출이 되지 않아 NH₄<SUP>+</SUP>-N으로 유지되면서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나 NH₄HSO₄와 NH₄HCO₃는 pH가 9.0이상의 높은 토양에서 벼를 재배할 때 질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