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잉어목 수종 (數種) 어류의 조직내 젓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형

        이춘구,김병우,임영식 ( Choon Koo Lee,Byung Woo Kim,Young Shik Park ) 한국하천호수학회 1973 생태와 환경 Vol.6 No.3·4

        Th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in tissues of five species of Cyprinida were studi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There were 5 LDH isozyme bands in all the tissues of the brain, skeletal muscle, intestine, and eye of Pseudorasbora parva, Aphyocypris chinensis, and Zacco platypus of Cyprinidae with the exception of 3 bands in the intestine of Z. platypus. In Moroco oxycephalus of Cyprinidae, there were 2 bands of LDH isozyme in the brain and muscle, and 1 band in the intestine and eye respectively. The LDH isozyme pattern of this species is similar to that of Liobagrus andersonii of Bagridae. There was 1 band of LDH band in each tissue of the brain, intestine, and liver, except 2 bands in the muscle, of Liobagrus andersonii of Bagridae.

      • KCI등재후보

        가무락 ( Cyclina sinensis ) 의 패각 생장에 관한 연구

        이춘구,안용규 ( Choon Koo Lee,Yong Kyoo Song ) 한국하천호수학회 1974 생태와 환경 Vol.7 No.1·2

        The relative growth of shells of Cyclina sinensis was studied from June 1973 to April 1974. 1. The shell lengths of five groups, from 1-ring group to 5-ring group, of C. sinensis were 12-27mm, 22-27mm, 25-31mm, 29-38mm, and 36-42mm respectively. 2. The length, height, and breadth of the largest C. sinensis were 42mm, 44mm, and 25mm respectively. 3. The relationships between shell length (L) and shell height (H), and between shell length (L) and shell breadth (B) of five groups of C. sinesis we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respectively: 1) One-ring group H=0.96458 L-0.32702 (r=0.98638) B=0.57143 L-0.85717 (r=0.91827) 2) Two-ring group H=0.70093 L-3.14380 (r=0.89101) B= 1. 07071 L-2. 41018 (r=0. 96811) 3) Three-ring group H=1.15457 L-5.34342 (r=0.68654) B=0.57881 L-0.06457 (r=0.87687) 4) Four-ring group H=0.93234 L+1.64631 (r=0.92800) B=0.057389 L+0.24685 (r=0.79987) 5) Five-ring group H=1.12851 L-4.69624 (r=0.88682) B=0.66397 L-2.89726 (r=0.81398) 4. The relative growth rate of the shell height to the shell length of C. sinensis in 2-ring group, 3-ring group, and 5-ring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early D-stage, but the growth rate in 1-ring group and 4-ring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early D-stage. 5. The relative ratio of the mean size among shell length (L), shell height (H), and shell breadth (B) of young C. sinensis (shell length: 10-15mm) was 1 (L) : 0.98 (H) : 0. 59 (B). 6. The relative growth rate of the shell breadth to the shell length of C. sinensis in 2-ring group and 5-r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 드론 방제기 비산 측정을 위한 비산 입자 수집장치 설계

        이춘구 ( Chun-gu Lee ),최용 ( Yong Choi ),최일수 ( Ilsu Choi ),김영화 ( Younghwa Kim ),우제근 ( Jea-keun Woo ),문석표 ( Seok Pyo Moon ),이상봉 ( Sangbong Lee ),이지근 ( Jee-keun Lee ),홍세운 ( Se-woon Hong ),유승화 ( Seung-hwa Yu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병해충이 발생하면 작물의 생산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이를 막기 위한 방제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방제 중 살포하는 농약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농산물 잔류가 문제시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농약 허용 기준 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가 시행되어 농산물의 잔류 농약에 대해 관리하고 있다. 최근 증가하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항공 방제의 경우 높은 고도에서 살포하는 만큼 약제의 일부가 비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이웃한 경작지에 PLS 위반이라는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드론 방제기의 비산량 및 비산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마련이 필요하나 국내에서 비산측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비산 측정과 관련된 국제표준인 ISO 22866을 참조하여 비산 입자 측정을 위한 수동 수집 장치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우선 ISO 표준을 참조하여 수집 효율이 좋고 단면적을 명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polyethylene(PE) 튜브를 수집기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수집기 설치는 붐방제기에 대한 기준을 참조하여 지면으로부터 4m 높이까지 1m 간격으로 설치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수집기를 설치할 수집 장치의 높이는 4.5m로 설정하였다. 이송 및 보관의 편리성을 위하여 수집 장치는 받침부와 2m 길이의 상·하부 기둥으로 분리하였고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안을 검토하여 실제 제작한 후 향후 드론 방제기의 비산 측정 실험에 활용하고자 한다.

      • 드론 방제기 비산 저감을 위한 분무 시스템 기초 연구

        이춘구 ( Chun-gu Lee ),최용 ( Yong Choi ),최일수 ( Ilsu Choi ),김영화 ( Younghwa Kim ),우제근 ( Jea-keun Woo ),문석표 ( Seok Pyo Moon ),이상봉 ( Sangbong Lee ),이지근 ( Jee-keun Lee ),홍세운 ( Se-woon Hong ),유승화 ( Seung-hwa Yu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높은 작업 효율과 작업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드론 및 무인헬기를 활용한 방제 작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2년 농작업 기계화율 조사에 따르면 국내 벼 농가의 절반 이상이(52.2%)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방제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항공방제 작업이 점차 증가하는 만큼 이로 인한 비산 피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로 인하여 잔류 농약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농민 간에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드론 방제기의 경우 분무가 공중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상 방제기보다 측면풍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드론 방제기에서 발생하는 비산을 저감하기 위하여 분무 장치에 이용되는 노즐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입도분석기(Spraytec)을 이용하여 분무 입자 지름(Volume median diameter, VMD)을 측정하고 분무 입자를 수집하여 유량을 측정하였다. 분석에는 3가지 노즐(AI, XR, DG)을 활용하였고 압력도 3단계(230, 280, 330kPa)로 조절하며 측정하였다. 노즐별 VMD는 AI > DG > XR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VMD가 클수록 비산이 덜 되는 만큼 AI 노즐이 비산에는 가장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세 노즐 모두 VMD는 감소하였고, 유량은 증가하였다. 즉, 압력 조절에 따라 드론 방제기의 분사량을 변화시킬 수는 있었지만, 분무 입자의 직경도 변화하므로 항공 방제시 이를 참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학적 방제효과를 고려하여 적정 분무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마늘 줄기절단기 회전날 궤적에 관한 연구

        이춘구 ( Chungu Lee ),박동혁 ( Donghyeok Park ),박하나 ( Hana Park ),백승환 ( Seunghwan Baek ),이중용 ( Joongyong Rh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마늘은 채소류 중 고추, 배추, 무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주요 작물로 수확시기에 노동 부하가커 수확 작업에 대한 기계화 수요가 높은 작목이다. 마늘과 같은 근채류는 주로 뿌리 부분을 수확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줄기 윗부분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줄기 절단기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줄기절단기는 트랙터 부착형 장비로, 장비 하단에 칼날을 부착하고 이를 회전시켜 작물의 줄기부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실제 작업 시 칼날의 회전과 장비의 주행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칼날 끝부분의 궤적이 나선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행속도에 비하여 칼날의 회전속도가 느리게 되면 작업 영역에 공백이 발생하게 되므로 주행속도에 대한 회전날의 속도비를 조절하면서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분석하였다. 도면상의 치수를 이용하여 회전날의 외측 끝부분과 내측 끝부분의 좌표를 주행속도(v), 회전속도(w), 시간(t)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었다. - 외측끝부분 (x,y) = (-352.56cos(0.1206+wt), vt+352.56sin(0.1206+wt)) - 내측끝부분 (x,y) = ( -99.45cos(0.4405+wt), vt+ 99.45sin(0.4405+wt)) 그리고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을 그리게 한 후 matlab을 이용하여 회전날의 속도를 목표작업속도의 30,70,100,130,170%로 변화 시키면서 나타나는 궤적을 관측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목표 작업속도의 경우에도 작업영역에서 일부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고, 130%의 속도에서부터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공백이 주로 작업영역 좌우 끝부분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실제 식물이 심어지는 간격을 반영하게 되면 130% 이하의 속도에서도 공백 없는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멀칭 동시 마늘 정밀 파종기 시작기 개발

        이춘구 ( Chun Gu Lee ),최승렬 ( Seung Ryul Choi ),문태익 ( Tae Ick Moon ),유승화 ( Seung-hwa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국내 마늘파종기의 경우 한지형 마늘 재배지역 일부에서 경운기 부착형 파종기를 사용하고 있을 뿐 난지형 마늘파종기의 경우 비닐피복 적응성과 파종자세 등의 문제로 이용률이 낮은 상태이다. 농가 인력 감소 및 고령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밀 파종기술 및 두둑 성형, 비닐 피복을 동시에 수행하는 자주식 마늘파종 복합기계화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자주식 마늘파종기를 개선하여 멀칭 동시 자주식 마늘 파종기 시작기를 개발하였다. 시작기는 6조식 이앙기의 전륜변속기를 기본모델로 하여 보완 설계를 통하여 제작하였다. 변속은 전진 2단 후진 1단으로 기어를 배치하였고 조향은 핸들을 이용해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작업은 두둑성형, 파종, 비닐피복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주간 및 조간 간격은 마늘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스퍼어기어와 체인기어를 혼합하여 주간조절장치를 설계하였다. 작업 속도는 14m/min으로 제작하였고 마늘은 조파식으로 파종하였다 비닐 피복시 잡초 발아를 억제하기 위하여 피복 전 제초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장 실험 후 동력 전달 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파악하여 보완하였으며 10월 말에 실제 마늘 파종을 수행하며 추가적인 보완을 수행할 예정이다.

      • 마늘파종기용 배종 버킷 크기에 따른 마늘 이송에 관한 연구

        이춘구 ( Chun Gu Lee ),최승렬 ( Seung Ryul Choi ),문태익 ( Tae Ick Moon ),유승화 ( Seung-hwa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국내에서 조미 채소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마늘은 1년에 36.3만 톤(2020년)이 생산되는 주요 작물이다(농림축산식품부, 2021). 국내에서 생산되는 마늘은 크게 두 가지 품종으로 나누어지는데 크기가 달라 범용 마늘 파종기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 같은 품종 내에서도 크기 차이가 존재하여 파종시 마늘을 선별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배종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마늘을 파종할 수 있도록 크기 조절이 가능한 버킷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기초 실험으로 마늘 크기와 버켓 사이즈에 따른 배종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종시스템은 체인 장치에 결합된 버킷이 호퍼에 담겨있는 마늘을 이송하는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버킷은 핑거형 핀 5개가 일자로 배치되고 버킷 내부가 U자 형태가 되도록 하여 가능한 안정적으로 마늘을 담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버킷 사이의 간격은 표준형 어태치먼트인 wk-1 6핀 간격으로 볼트로 고정을 하였고 1조당 11개의 버킷을 설치하였다. 버킷의 크기는 스퍼어기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버킷 크기 (20, 24, 28cm)에 따른 마늘의 배종상태(1립, 2립, 결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는 대서마늘과 한지형 육쪽 마늘을 사용하였고 무게에 따라 대,중,소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각 시료별로 100개의 버킷이 지나가는 동안의 1립, 2립, 결주율을 측정하였다. 상부 체인기어의 구동속도는 30rpm 이었다. 측정 결과 버킷의 크기가 작고 마늘이 클수록 결주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버킷이 클 때 마늘이 작은 경우 2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지형 마늘인 의성마늘이 대서마늘에 비하여 결주율이 더 작게 나타났다. 실제 포장에서 실험을 수행하는 경우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 결주 및 2립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실험을 추가로 수행하고자 한다.

      • 드론 변량 살포기 시험장치 개발

        이춘구 ( Chun Gu Lee ),최덕규 ( Duck-kyu Choi ),우제근 ( Jea-keun Woo ),한웅철 ( Xiongzhe Han ),강영호 ( Young-ho Kang ),이대현 ( Dae-hyun Lee ),유승화 ( Seung-hwa Yu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드론을 이용한 기존의 살포 작업(파종, 방제, 시비)은 작업 영역 내 동일한 살포량을 유지하였으나, 최근 변량 살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생육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변량살포를 구현하는 경우 작물의 생산량 증가와 살포 물질 저감을 통한 환경 오염을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변량 살포가 가능한 드론 살포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드론의 Flight Controller(FC)와 Ground control system(GCS)를 개선하고, Mission 비행 중 설정 지점에서 살포용 펌프의 온오프 제어 기능을 추가한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펌프의 세기는 PWM 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FC에서 PWM 신호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GCS에서 Rally 임무 기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변량 살포 지점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GCS에서 생성한 방제 구역 정보는 MAVLink를 활용하여 FC의 EEPROM에 저장하였다. 시험장치가 Mission 비행 모드로 비행 중일 때, EEPROM에 저장한 방제 구역 정보를 읽도록 하였다. 그러면 Mission 비행 중 FC가 설정지점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3 m 이내에 접근하는 경우 펌프가 구동하도록 설정하였다. 시험장치의 기체는 작업 중 비행안정성을 위하여 Octocopter로 제작하였고 모터(MN505-s kv320)과 프로펠러(2211R)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개발한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대전의 공터에서 비행 기능과 변량 살포 기능을 테스트한 결과 두 기능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살포량을 조절하는 기능과 매핑 데이터와 연동하는 기능을 연구하여 본 기체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 드론 예찰을 위한 겨울 철새의 서식지 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이춘구 ( C. G. Lee ),김준용 ( J. Y. Kim ),박동혁 ( D. H. Park ),이중용 ( J. Y. Rh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5년 동안 지속적으로 거대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겨울 철새의 분변과 혈액을 채취하고 폐사체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대부분 인력에 의지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조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와, 접근이 어려운 곳에 대한 조사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론을 활용한 조류예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하여 조류 폐사체의 유무와 위치를 예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드론의 체공 시간이 주요 이슈인 만큼 최적 예찰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조류의 위치에 대한 공간분포 확률맵을 만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 조류의 서식지 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주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검역본부에서 제공하는 mbird 시스템과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일자, 시간, 토지피복도, 종(species), 서식지로부터 거리 등의 인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에 대한 경향성도 분석되었다. 다만 조사결과는 대부분 지역별로 차이를 나타내어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GIS와 Maxent를 활용하여 확률 분포맵을 작성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