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반응 표면분석에 의한 Imitation Cheese의 조직감 형성

        이철호,손혜숙,Lee, Cherl-Ho,Son, Hye-Sook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5

        수분, 대두유, Na-caseinate, 분리대두단백, 옥수수 전분, 젖산및 disodium phosphate를 주 원료로 하여 imitation치즈의 조직감 특성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및 녹는 성질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imitation치즈의 조직감에는 각 원료가 1차적 영향뿐 아니라 2차적인 영향과 원료 서로간의 교호작용의 영향도 매우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견고성에는 대두유와 Na-caseinate가 1차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수분과 대두유, 옥수수 전분과 젖산/인산염과의 교호작용 영향도 컸으며 부착성과 탄력성에는 젖산/ 인산염과 Na-seinate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녹는 성질에서 또 Na-caseinate와 젖산과의 모든 교호작용함이 높은 유의수준을 보이므로 전체적으로 imitation치즈의 조직감 특성에는 Na-caseinate와 젖산/인산염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응표면방법을 이용하므로 6가지 원료가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적으로 간단히 살펴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등고선 그림을 통하여 각 조직감 특성에 두가지 원료가 서로 미치는 경향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The effect of major ingradients (Water, Soybean oil, Na-caseinate, Soybean protein isolate, Corn starch. Lactic acid and disodium phosphate)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imitation cheese were studi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evaluated by contour diagram. The hardness of imitation cheese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contents of water, oil and Na-caseinate and also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water and oil and corn starch and lactic acid/phosphate. The adhesiveness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caseinate and lactic acid/phosphate, SPI and corn starch and corn starch and lactic acid/phosphate. The springiness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contents of oil, caseinate and lactic acid/phosphate, and also affect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SPI and lactic acid/phosphate and corn starch and lactic acid/phosphate. The melting property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contents and interactions of lactic acid/phosphate.

      • SCOPUSKCI등재

        한국 재래식 국수류의 유체 변형성에 관한 연구 -제 1 보 :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점탄성-

        이철호,김철원,Lee, Cherl-Ho,Kim, Cheol-W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5 No.2

        한국 재래식 국수류인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점탄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tensile시험기계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국수발에 대한 creep test를 실시하였다. 밀국수 및 냉면국수 모두 최초 단시간의 creep에서는 선형점탄성(linear viscoelastic)을 나타내었으나 creep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선형 점탄성을 나타내었다. 변형력 범위가 $4{\times}10^4-14{\times}10^4\;dyn\;cm^{-2}$일때 밀국수는 120초간, 냉면국수는 60초간 선형 점탄성을 나타내었다. 2000초 동안의 creep시험에서 추산된 밀국수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는 $7.0{\times}10^5\;dyn\;cm^{-2}$이었으며 냉면국수는 $3.9{\times}10^5\;dyn\;cm^{-2}$이었다. 변형력의 증가에 따른 점성변화를 평가한 결과 밀가루 반죽에서 보고된 결과와는 정반대 현상인 stress-hardening 성질을 나타내었다. The viscoelastic behavior of traditional Korean noodles was examined by using a tensile tester built in the laboratory. The creep test of cooked noodle strand showed that a linear viscoelastic response could be expected for a short time of creep, i.e. 120 sec for wheat flour noodle and 60 sec for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with the stress range between $4{\times}10^4\;and\;14{\times}10^4\;dyn\;cm^{-2}$. The elastic modulus was estimated to be $7.0{\times}10^5\;dyn\;cm^{-2}$ for wheat flour noodle and $3.9{\times}10^5\;dyn\;cm^{-2}$ for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A peculiar increase in viscosity with increasing stress, i.e. stress-hardening, was observed in the noodles studied.

      • SCOPUSKCI등재

        재래식 간장 및 된장제조가 대두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4보 백미식이에 대한 대두제품의 단백질 보충효과-

        이철호,Lee, Cherl-Ho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7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8 No.3

        Cooked soybean, soybean curd, soymilk residue and fermented soybean Meju products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and the protein supplementary effect of these foods to the rice diet was determined by the rat feeding experiments. The soybean products providing 20% of the dietary protein were added to steamed rice and the protein digestibility (TD), Biological Value(BV), NPU, PER and Partial Carcass Nitrogen Value of the diets were measured. The protein supplementary effect of soybean products indicated that the non-fermented products generally improved the protein quality of the rice diet, whereas the fermented products did not but reduced it in some cases. There was observed a possible antinutritional effect for the diet supplemented with Home-made Meju. This growth retarding effect of Home-made Meju disappeared during the subsequent ripening in the brine for 6 months. 삶은 콩, 두부, 비지 및 메주장 제품들을 실험실에서 제조하여 이들 식품의 백미식이에 대한 단백질 보충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식이의 총단백질의 20%에 상당하는 대두식품을 증숙된 쌀에 첨가하여 시험식이를 만들고 총 9일간의 백쥐사양시험으로 이들 식이의 단백질 소화율, 생물가(BV), NPU, PER 및 부분도체질소가를 측정하였다. 이들 시험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비발효 대두제품 즉 삶은 콩, 두부, 비지는 백미식이의 단백가를 상당히 증진시키나, 메주 발효식품은 이를 별로 증진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어떤 경우에는 저하시킴을 나타내었다. 또한 재래식 가정메주를 첨가한 식이에서 영양장애요소의 존재 가능성이 검측되었는데 이 재래식 메주의 생장저해효과는 6개월간의 메주장 숙성기간중에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논문의 Part 1 부터 Part 4 까지의 전반에 걸친 결론을 기재하였다.

      • KCI등재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한국전쟁 중의 식량사정

        이철호,Lee, Cherl-Ho 한국식품과학회 2022 식품과학과 산업 Vol.55 No.3

        The food life of Korean peopl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war was reviewe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s, and the ensuing Korean War made Korean society extremely chaotic and transformed. Consequently, data on Korean dietary life during this period (1945-1960) are scarce and unreliable. The author tried to reveal the food situation and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during this period by examining the data released by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other review books. Regarding the nascent period of the food industry after the Korean War, data from the recent 50-year history of the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has been compiled.

      • SCOPUSKCI등재

        김치제조용 배추의 구조와 조직감 측정에 관한 연구

        이철호,황인주,김정교,Lee, Cherl-Ho,Hwang, In-Ju,Kim, Jeong-Kyo 한국식품과학회 198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0 No.6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결구포합형 배추의 구조와 그 조직감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소금절임, 가열데침 공정등에 의한 배추임의 구조적 변화와 조직감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추잎의 형성순서에 따라 잎의 길이와 두께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께는 최외엽에서 다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배추잎의 미세구조는 밀집된 유관속조직 주위에 유조직 세포가 쌓여있는 형태로서 절단시험에서 외피와 유관속조직의 특징적인 절단력 곡선들을 나타내었다. 절임과 데침처리에 의하여 배추잎의 절단력은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주로 세포벽의 구조적 변형에 따라 포개짐에 의한 절단면의 수적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The macro-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used for Korean Kimchi preparation were examined and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raw cabbage leaf and salted or blanched leaves were evaluated by cutting test. The length and thickness of leaf stalk increased with the order of pyllotaxis, but the thinning effect of outermost leaves was observed. The microstructure of cut-profile of stalk showed densely compacted vascular systems aligned in the center of stalk and the outer space was filled with large parenchima cells. Due to this structure, characteristic cutting curves were obtained by cutting test, composing three peaks of cutting for inner surface skin, center vascular system and outer surface skin. Salting and blanching increased the cutting force mainly due to the increase of Gutted cell wall number caused by the structure collapse.

      • SCOPUSKCI등재

        근채류(감자, 고구마, 당근)의 탈피조작

        이철호,이순우,Lee, Cherl-Ho,Lee, Soon-Woo 한국식품과학회 198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6 No.3

        탈피 방법에 따른 감자류와 당근의 탈피효율과 제품의 품질을 연구하였다. 재료의 구형도와 중량이 탈피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탈피 후에 표피 조직감의 변화를 Rheometer로 측정하고 세포조직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마형 회전식 기계적 탈피의 조건은 감자는 300rpm에서 90초, 고구마는 300rpm에서 70초, 당근은 300rpm에서 60초 이었다. 탈피 손실율은 재료의 구형도와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알카리 탈피의 최적조건은 10% NaOH 끓는 용액에서 감자는 90초, 고구마는 300초 이였으며 당근은 6% NaOH 끓는 용액에서 60초 이었다. 탈피에 의한 표피 조직감의 변화는 Rheometer의 절단력 실험에 의해 명확히 나타났고. 이것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된 표피 조직 변화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알카리 탈피에서 일어나는 표피 조직의 변화현상은 표면 세포내의 전분입자의 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peeling methods, spherecity and weight of potatoes and carrots on the peeling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surface texture by peeling were estimated by Rheometer and were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microstructure. The optimum mechanical peeling conditions using abrasion type rotary peeler were 90 sec. at 300 rpm for potatoes, 70 sec. at 300 rpm for sweet potatoes and 60 sec. at 300 rpm for carrots. The peeling loss was influenced by the sphericity and weight of the sample. The optimum conditions for alkali peeling were 90 sec. immersion in boiling 10% NaOH solution for potatoes, 300 sec. in boiling 10% NaOH solution for sweet potatoes and 60 sec. in boiling 6% NaOH solution for carrots. Severe damage of surface structure was noticed by alkali peeling, demonstrated by denaturation of starch granules in the cell. The structural damage observed by microscope wa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cutting force after peeling.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 재래식 국수류의 유체 변형성에 관한 연구 -제 2 보 : 삶음시간과 저장기간에 따른 기계적 모델 상수들의 변화-

        이철호,김철원,Lee, Cherl-Ho,Kim, Cheol-W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5 No.3

        한국 재래식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유체 변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제작한 tensile tester를 이용하여 creep test를 실시하였다. 국수를 삶는 시간과 삶은후 저장하는 시간에 따라 기계적 모델파라 메터의 크기가 변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삶은 국수 시료는 6-element Voigt 모델로 설명될 수 있었다. 밀국수의 경우 국수를 삶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순간탄성(instantaneous elasticity)이 감소 되었으며, 지연탄성(retarded elasticity)과 지연점성(retarded viscosity)은 삶음 초기에 크게 감소되어다. 반면에 뉴우턴 점성은 삶음 시간에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에 뉴우턴 점성은 삶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었다. 삶은 밀국수를 저장하는 시간에 따라 지연시간(retardation time)과 뉴우턴 점성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냉면국수와 삶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순간탄성과 지연탄성이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뉴우턴 점성은 최적 삶음시간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삶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면국수는 4-element Burger's모델로 그 기계적 성질을 표현할 수 있었다. The mechanical models representing the theological property of traditional Korean noodles; i.e. wheat flour noodle and wheat-sweet potato starch noddle, were investigated from the data obtained by creep and creep recovery test using a tensile tester. The rheological behavior of the noodle products could be expressed by the 6-elements Voigt model. The instantaneous elasticity, retarded elasticity, retardation time, retarded viscosity and Newtonian viscosity of the noodle products were evaluated. With the increasing cooking time, 4-elements Burger's model was applicable to represent the mechanical behavior of wheat-sweet potato starch noodle.

      • KCI등재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이철호,맹영선,안현숙,Lee, Cherl-Ho,Maeng, Young-Sun,Ahn, Hyun-Suok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 No.1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과, 세반강정, 산자, 송화다식, 들깨엿강정에 대한 품질표현용어를 77명의 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 90여종의 표현용어를 수집하였다. 이들 용어중 58종의 표현용어는 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한과의 종류별 주요품질요소를 표현빈도수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한과류를 실온에서 10일간 상대습도 $0{\sim}68%$ 범위에서 저장하였을 때 주요품질요소의 변화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저장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한과류 종류별 주요 관능적 품질요소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 묘사 분석법으로 도해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었다.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5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Korean cookies, i.e. Yackwa, Gangjung, Sanja, Dasik and Yutgangjung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7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over 90 different terms describ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Hankwa were appeared, among which 58 terms were explained in Korean Dictionary. The important quality characteristic of Korean cookies were identified from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sensory describing terms. The cookies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days in various relative humidity of $0{\sim}68%$, and th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organolleptically by scalar scoring test. The changes in overall acceptance were evaluated by hedonic test. The results were show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QDA) diagram The QDA diagram could visualize the effects of storage relative humidity on the sensory quality profile of the cook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