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ASIA 종교의 생명 사상과 상생 정신 ; 수운교(동학)에 있어서의 생명사상과 해원상생의 정신

        이찬구 ( Chan Goo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5 신종교연구 Vol.12 No.-

        Jeungsan Kang, Ilsoon(甑山 姜一淳) declared doctrine of mutual life-giving(相生) in 1905. His message has influenced to other new religions in Korea. I argue that what doctrine of mutual life-giving and philosophy of life in Suwoon Choi Jewoo(水雲 崔濟愚), who has awakened 40 year earlier than Kang, Jeungsan, entails in this paper. At the same time, I try to aim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wo thinkers. And I explain philosophy of life and Resolution of Bitterness and Grief and Mutual life-giving in the Suwoongyo. Choi Suwwon, who established Dong-hak(東學) in 1860, expounded I serve God within me (侍天主)and I am transformed to follow the divine will(造化定), My mind is your mind(吾心卽汝心), and all understand and do not move from it(各知不移), in the Donggyeongdaejoen. (東經大全)These thoughts resulted in the socio-ethical principle treat a human being as you would treat God(事人如天). This manifesto entailed revolutionary ethics and formed platform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r egalitarian ideal. Suwoongyo(水雲敎) developed Donghak`s thoughts further. Suwoongyo, founded in 1923 is the only sect to emphasize resolution of bitterness and grief. Lee-Choi Chulyongja(李崔出龍子), a founder of Suwoongyo, established Dosolcheongung (兜率天宮), the headquarter at Kumbyeong (錦屛山) mountai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大田廣域市). Dosolcheongung is an heavenly altar to venerate Heavenly God(Hanallim;하날님) for appeasing wandering lonely ghosts. Final aim of resolution of mutual life-giving is to realize immortal world without death. And Suwoongyo insists to transform not only this world but heavenly world into paradise with the doctrine of unity of Buddha, Heaven, and mind(佛天心一圓). Unity of Realm of Buddha, Heaven, and Human being means completion of Gaebyeok(開闢). Thus philosophy of life in Donghak and Resolution of bitterness and grief in Suwoongyo were concluded in Gyaebyeok. This is exactly Choi Suwoon meant Dasi Gyaebyeok(다시開闢).

      • 광개토호태왕비문의 신묘 병신년조 기사에 대한 재고찰

        이찬구(Lee, Chan-Goo)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1

        이 글은 광개토태왕릉비의 내용 가운데 논란이 많은 ‘신묘-병신년’조에 대해 재고찰한 것이다. 종래의 여러 학설 가운데 정인보, 박시형, 손영종, 박진석, 왕건 군, 이유립, 류승국 설등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보고, 일본학계의 주장에 모순이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4세기말 신묘년 기사의 국제관계는 고구려와 백제의 적대관계 및 고구려와 신라의 우호관계를 기본으로 백제와 왜가 내통하는 관계에 있었다. 그동안 일본학계는 왜( 倭 )를 주어로 보는 입장에서 신묘년 기사를 “왜 倭 가 백제 신라를 파 破 하고, 그들을 신민( 臣民 )으로 삼았다”라는 식으로 임의로 해석하였다. 이 해석을 무기로 일본은 식민지배의 논리로 활용하였다. 그런데 이 해석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신묘년 기사의 빠진 두 글자( 百殘 □□ 新羅 )를 찾는 일과 주어를 누구로 보느냐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정인보는 처음으로 이 기사의 주어가 왜 倭 가 아니라 고구려로 바뀌어야한다(고구려 주어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빠진 두 글자를 연침 聯侵으로 넣어 보결하였다. 이에 대해 필자는 李龍 (이용)의 탁본과 민영규의 주장에 근거하여 연 聯 을 연 連 자로 보고, 『태백일사』와 정인보의 연침 聯侵 의 침 侵을 받아들여 ‘ 百殘連侵新羅 백잔연침신라’로 보결할 것을 밝힌다. 연침 聯侵 이나 연침 連侵은 그 뜻이 같지만, 탁본에 근거하여 연침連侵 이어야한다고 본다. 이로써 일본학계의 주장에 모순이 있다는 것과 『태백일사』의 가치를 재평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reexamines contents of the articles in the ‘Year of Sinmyo-Byeongsin’ on King Kwangkaeto’s tombstone, which have been an issue in the academic world. It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es among existing ones; including theories of Jeong In Bo, Park Si Hyeong, Son Yeong Jong, Wang Jian-qun, Lee Yu Lip, Lew Seung Kook, as well as the contradiction in the common theory from Japanese academia. In the late 4th century, Goguryeo and Baekje were hostile towards each other while Goguryeo and Silla were amicable. However, the Japanese academia were in the position that Wae is the subject of the article and arbitrarily interpreted the year of Sinmyo’s article as follows: Wae won over Baekje-Silla and ruled them. This analysis was used as a weapon for Japan s colonial logic. To correctly interpret the article, finding the missing two characters in the article ( 百殘 □□ 新羅 ) as well as clearly figuring out the subject must be preceded. For the first time, JeongInBo argued that the subject of this article should be corrected to Goguryeo, not Wae. Also, he supplemented the missing two characters as ‘Yeonchim ( 聯侵 )’ which means ‘invasion followed by invasion’. Based on the assertion of MinYoungGyu and Yong Lee’s tuoben ( 拓本 ), it is reasonable to accept that ‘yeon ( 聯 )’ which means ‘followed by paired events’ is actually ‘yeon ( 連 )’ which means ‘followed by connected events’, and based on Taebaek-ilsa and Jeong’s assertion of ‘chim ( 侵 ) which means ‘illegal invasion’. Therefore, with the missing two letters as ‘Yeonchim ( 聯侵 )’, the article can be completed as ‘ 百殘連侵新羅 ’ which means ‘Baekje continually invades Silla’. Although the meaning behind the two different characters are the same, ‘yeonchim ( 聯 侵 )’ or ‘yeonchim ( 連侵 )’, based on the tuoben ( 拓本 ), the missing characters should be ‘yeonchim ( 連侵 )’. Therefore it is now possible to reexamined the value of Taebaek-ilsa and the fact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in the Japanese academics claims.

      • KCI등재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찬구 ( Chan Goo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동학의 창시자인 최수운은 송나라 소강절이 천지 순환의 이치에 따라 설정한 `개벽(開闢)`이라는 말을 수용하면서도 정작 `다시개벽`이라 새로운 말을 사용하였다. 수운이 개벽이라는 말에 `다시`를 덧붙여 `다시개벽`이라고 말한 까닭은 『주역』에서 말하는 선후천(先後天)의 교역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수운 특유의 인간개벽에 특별히 주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수운은 천개벽에 이어 인간개벽을 위해 지(地)와 합일하는 개벽을 통해 우주가 완성되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그래서 `다시개벽`이라 말한 것이며, 굳이 이런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쓴 것은 하날님의 수고를 끝내고, 천지인 중에 마지막 개벽대상인 인간의 주체적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김일부의 『정역』과 같이 도상(圖上)개벽으로는 축미(丑未)선상의 다시개벽인 것이다. 지금은 수운의 말처럼 목운(木運)이 도래하는 선후천 음양 교체기이다. 양적(陽的) 생장(生長)의 기운이 음적(陰的) 수장(收藏)의 새 기운으로 바뀌는 때에 인간은 우주의 변화에 순응하는 도덕적 책임을 부여받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천인이 합일하는 새로운 선경세계를 건설하고, 지상에 실질적인 태평성세를 펼치는 데는 무엇보다도 민(民)의 주체적 자각이 요청되는 것이다. 민이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생명소생의 기운인 목운 도래라는 우주적 변화와 천도에의 복귀를 통해 하늘을 스스로 체험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최령자(最靈者)이기 때문이다. 천지인이 함께 아우르고 소통하는 그런 우주적 체험을 통해 민은 주체적으로 다시개벽을 열어가며, 스스로 진정한 의미의 국태민안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선-후천 이분법보다는 선천-중천-후천이라는 삼분법에 의한 3단계 개벽으로 이해함이 어떨까 제안해 보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수련수도를 더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Choe Suwoon, founder of Donghak (Estern Learning), accepted the term `Gaebyeok (Opening of a New Beginning)` proposed by a Chinese philosopher Shao Yung (So gang-jeol)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cycle of the heaven and earth. However, he often used a new term Dasi-gaebyeok (Reopening of a New Beginning). The reason why he added `Dasi (re-)` on the term `Gaebyeok (Opening of a New Beginning)` is because he specially focused on the new beginning of human beings unlike the theory of the pre-heaven (Seoncheon) and post-heaven (Hucheon) trade. His idea is that the universe should be completed through the unification between the earth and men following the opening of a new beginning of the heaven. The reason why he used this new term was because he intended to emphasize the role of human beings as the subjects of new beginning out of the heaven, earth and men and help the work of Hanalim. Like the Jeongyeok (Correction of Yijing) proposed by Kim Il-bu, it is the reopening of a new beginning according to Chukmi. Today is the timing of the replacement between pre-heaven and post-heaven and Yin and Yang as the fate of wood returns. As the energy of the growth of Yang is being replaced with the dressing of Yin, it is inevitable that men need to receiv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comply with the changes of the universe. In particular, self-comprehension is particularly required to construct the new beautiful world where the heaven and men are unified and to open the actual peace and happiness. The reason how men can realize this is because they can experience the heaven through the change of the universe, return of the fate of Wood, and return to the heaven`s way. Through the experience of universal experience where the heaven, earth and men communicate, men will walk the way of Dasi-gaebyeok and achieve actual meaning of national prosperity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Finally,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s trichotomy `Pre-heaven, Mid-heaven and Post-heaven` instead of dichotomy to understand the three phases of the opening of a new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to emphasize men`s practice and discipline.

      • 고대화폐 첨수도에 나타난 ‘원시형태 한글’의 이해 : 훈민정음 기원설을 중심으로

        이찬구(Lee, Chan Goo) 세계환단학회 2020 세계환단학회지 Vol.7 No.1

        이 글은 15세기에 반포된 훈민정음(한글) 이전에 있었던 유사한 형태의 한글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제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훈민정음(한글)은 그 유래에서 옛 글자를 모방하였다(字倣古篆)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훈민정음 이전부터 고유문자가 있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단서가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춘추시기(서기전 770~476년 사이) 중에 통용된 것으로 알려진 고대 청동화폐인 첨수도(尖首刀)에 주목하였다. 첨수도 앞면마다 글자가 주조되어 있는데, 단자(單字)로 되어있기 때문에 고대 문자를 연구하는데 용이한 면이 있다. 이 첨수도에 새겨진 문자 가운데는 한자가 대부분이지만, 한글과 비슷한 글자모양을 필자가 처음 발견하였다. 한글과 유사한 ‘노 (no)’자 모양과 ‘돈 (don)’자 모양을 찾은 것이다. 필자는 현재의 한글과 구별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이를 ‘원시형태 한글’ 또는 ‘원시(原始) 한글’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그런데 돈자와 노자 첨수도의 다른 점을 한글로 설명하면 받침의 유무에 있다. 돈자 첨수도는 현재의 한글체계로 보아 초성(첫소리), 중성(가운데소리), 종성(끝소리)의 완전한 3소리글자의 합자(合字)원리가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원시한글이 사라졌다가 다시 훈민정음이 창제될 때까지 2000년 동안의 공백기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과 그 모양에서 유사성이 많다. 이로보아 우리 한글의 뿌리는 15세기 훈민정음 이전으로 소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면에서 원시한글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a similar form of Hangul, which existed before Hunminjeongeum (Hangul), which wa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The origin of Hunminjeongeum (Hangul) lies in the imitation of old letters(字倣古篆). This is a clue that supports the claim that there were proper characters even before Hunminjeongeum, but it has not been recognized yet. The author noted Sharp knife(尖首刀) of the ancient bronze coin, which was known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between A.D. 770 and 476). Each front of Sharp Knife(尖首刀) is casted with letters, which make it easier to study ancient characters because they are single characters(單字). Most of the characters inscribed on this Sharp Knife were Chinese characters, but for the first time, I discovered the shape of ‘노(no)’ and ‘돈(don)’ letters similar to Hangeul.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current Hangul, I tentatively want to call it primitive Hangul or primitive form of Hangul . However, if you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and characters in Korean, it i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sonant. It depends on whether or not a final consonant letter is present or not. Sharp Knife of characters can be interpreted by the current Korean system that the principle of the three complete syllables of consonants(first sound), medial(middle sound), and jongseong(final sound) is being applied. Until this primitive Hangeul disappeared and Hangeul was invented again, there was a hiatus for 2,000 years. Nevertheless,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Hangeul and its form.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not be said that the origin of Hangeul has nothing to do with the primitive form of Hangul in that it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retroactive to the past than Hunminjeongeum, which was created in the 15th century.

      • KCI등재

        수운교 우주관의 이해 -주역과 불교우주관을 중심으로-

        이찬구 ( Chan Goo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0 No.-

        이 글은 주역에 있는 여러 가지 변용괘(變用卦) 중에서 도전괘(倒轉卦;거꾸로 돌려서 보면 괘상이 변하는 괘)와 부도전괘(不倒轉卦;거꾸로 돌려도 변하지 않는 괘)에 주목하여 수운교의 우주관을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주역 64괘는 도전괘 28괘와 부도전괘 8괘의 합수인 36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소강 절이 말한 36궁(宮)과 일치한다. 수운교의 삼천대천세계도는 불교와 달리 도솔천의 天界를 중심으로 불계(佛界), 천계(天界), 인계(人界)의 3계 하늘이 하나라는 불천심일원(佛天心一圓;부처, 하날님, 마음은 하나)의 교리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천계에는 36하늘이 있고, 불계에는 48하늘이 있다고 한다. 바로 이 도솔천 천계의 36하늘이 주역 36괘상과 일치한다는 점이다. 이 36하늘의 천계를 중심으로 수운교는 불계, 천계, 인계가 통일된다고 밝히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인간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운교의 우주관은 불교 우주관과 주역 우주관의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글은 주역이해의 핵심이 되는 36궁을 종래의 `부도전 8괘+도전괘 28괘`의 합수에서 한 걸음 나아가, 처음으로 부도전 8괘중 건괘와 곤괘를 제외한 나머지 6괘의 `양효 18+음효 18`의 합수와 일치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 그것이 주역 `상경 18괘+하경 18괘`의 합수와 구조적으로 일치한다는 것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veil the vision of universe of Suwoongyo by focusing on the changeable trigrams and unchangeable trigrams out of the transformation trigrams. Yijing`s 64 hexagrams are formed from the 28 changeable trigrams and 36 trigrams imageries which are the combination with 8 unchangeable trigrams. This corresponds to Sao Yung`s 36 houses. Unlike Buddhism, the Samcheon-daecheon World of Suwoongyo is based on the dogma of Bulcheonsimilwon which believes that the three skies, such as the Buddha`s sky, heaven`s sky and men`s sky, are one centering at the sky of Dosol. There are 36 skies in the sky system, and Buddhism says that there are 48 skies. The 36 skies of Dosolcheon comply with 36 trigrams imageries. According to Suwoongyo, Buddha`s sky, heaven`s sky and men`s sky are united centering at these 36 skies. Of these, Suwoongyo focuses on men. In other words, the vision of universe of Suwoongyo has the blending characteristic between the vision of universe of Buddhism and Yijing. Advancing from the combination of 8 unchangeable trigrams+28 changeable trigrams, this study particularly proves that the combination of 18 Yangyao and 18 Yinyao of the 6 trigrams, except the Kan trigram and Kun trigram out of 8 trigrams, corresponds to the 36 houses which are the core part for the understanding of Yijing. This study also proves that the results from this corresponds to the merged number of 18 trigrams of the first series+18 trigrams of the second series in Yijing.

      • KCI등재

        다매체 시대, 군집 유형에 따른 미디어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이찬구(Chan Goo Lee),이종영(Jong Young Lee),성지연(Ji Yeon S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6 No.3

        융합시대에 들어서면서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행태는 전통 미디어 환경 하에서의 이용 방식에 비해 상당히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특성이 점차 능동, 참여, 공유, 확산을 추구하는 개인적 성향 변화 때문이기도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의 수가 그만큼 다양해졌고 기술적 발전에 의해 이전보다 쉽게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환경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멀티플랫폼 환경이라는 것을 소비자 입장에서 다시 한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미디어가 갖는 속성 때문에 공급자 중심의 연구보다 이러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야기하는 사회적 변화 및 그 효용가치에 대한 연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고는 멀티플랫폼 환경 시대의 미디어 소비자들이 미디어를 이용하는 목적이 플랫폼으로서의 미디어가 아니라 콘텐츠로서의 미디어라는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멀티플랫폼 환경에서의 미디어 소비자 성향을 상대적 미디어 이용지수라는 개념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균형적 매체 이용군’, ‘인터넷 중심군’, ‘TV 중심군’, ‘라디오 중심군’, ‘전통적 매체 이용군’ 등 5군집으로 분류되었고, 이들 군집간에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Media Use Behaviors of the Consumers in the age of the convergence is changing more actively than under the traditional media environments.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which we can use the media more easily than before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s & plenty of the media and also this belongs to the Consumer’s traits change that would be likely to move into the personal traits of pursuing the Activeness, Participation, Sharing & Diffusion. So, We have to take into more consideration of the Multi platforming environment in the eyes of the consumers because it’s more important to study the effective value and the social change resulted from the media environmental change. and we analysed the Media consumer’s traits in the multi platforming environment through the K-means cluster analysis. and used the relative media usage index. As a result, 8 cluster groups were drawn out and we classified those groups into the 5 groups: balanced media using group, Internet based group, TV based group, Radio based group, traditional media using group, and showed the significance in the demographic traits of the statistics.

      • KCI등재
      • 충무공 李舜臣의 삶에 나타난 天道觀 고찰

        이찬구(Lee Chan go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5

        1592년에 일어난 조선과 일본의 전쟁을 그동안 우리는 임진왜란이라 불렀고, 일본은 文慶의 役이라 불렀다. 이이화는 두 이름이 모두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보편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朝日戰爭’이라 부른다고 했다. 우리는 이 조일전쟁을 대할 때, 가장 궁금한 것이 당시 조정은 무엇을 했는가 하는 점이다. 조일전쟁 발발 9년 전에, 이율곡은 이미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태평성대에 군사를 양성한다는 것은 화를 불러 온다는 반대에 부딪히고 말았다. 물론 선조는 일본의 정세를 사전에 알아보도록 통신사를 보낸 바가 있다. 황윤길은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이라 했고, 김성일은 그렇지 않다고 보고했다. 그러면 조정의 태도는 무엇인가? 전쟁자체를 아예 함구해버렸고, 이 때문에 조정에서 감히 전쟁이 일어난다는 말을 꺼내지 못했다.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에 조정에서는 이런 대화가 오가고 있었다. 아찔한 일이다.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다. 사간원: 전라 좌수사(左水使) 이순신은 현감과 군수들이 아직 부임도 하지 않았는데, 순서를 뛰어넘어 수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설사 인재가 없는 때문이라 해도...교체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조정의 대답: 인재가 없는 것만큼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람은 넉넉히 그 임무를 감당할만 하니 벼슬이 높고 낮은 것을 따질 필요가 없다. 다시 더 주장하지 말라. 1592년 4월13일 부선에 상륙한 왜군은 20일도 안되어 서울을 함락시켰고, 조정은 의주까지 몽진을 하였다. 급기야 명나라에서는 구원병이 내려오고,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나 관군과 연합전을 벌였다. 특히 남해일대에서의 수군의 승리는 전세의 판도를 크게 바꾸었다. 필자는 조선이 낳은 수군의 지휘자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의 생애에 주목할 필요를 느꼈다. 과연 忠武公(또는 公이라 칭함)은 어떤 사람인가? 최근 TV드라마는 어릴 때 불렀던 충무공의 노래(민족의 태양이요, 역사의 면류관이라...)가 다시 살아나는 듯했다. 무엇이 공을 우리가 성웅이라 부르게 하였는가에 대한 답을 천도적 관점에서 찾고 싶었다. 충무공이 전장터에서 초지일관한 철칙을 필자는 국토사랑 즉 ‘우리 땅, 우리 백성 지키기’라는 말로 요약하고 싶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그의 변함없는 천도관은 삶의 태도에 있어서는 미래를 대비하는 憂患(우환)의식, “必死則生, 必生則死”, 하늘에 대하여는 “順天者 存, 逆天者 亡”이라는 한 말로 집약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동안 충무공의 天사상에 관하여는 안종운이 공의 誓天(서천)사상을 유학적 천명사상과 천인일체사상으로 해석하였으며, 최두환은 공의 생사초월의 사생관을 천도적 삶으로 이해하였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시도들은 공의 삶에 대한 일부분의 관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아, 유학적 천도관을 기본으로 하되, 우리의 고유한 전통적 가치관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필자는 16세기 퇴율의 천사상을 조명해보고, 이어 화랑 풍류도와 고유한 선비정신도 검토해 보았다. 금장태는 역사는 변화하는 현실세계 속에서 불변하는 법칙이 드러나는 현장이며, 그 불변의 법칙은 바로 天道요 天理하고 하고, 그 천도가 드러나는 양상에 하나는 자연의 변화질서로서 구현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도덕적 가치의식으로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인 예가 천도의 원형이정이 도덕적 규범으로는 인의예지로 나타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둘의 관계처럼 천도와 규범을 오가며 충무공의 삶을 천도적 관점에서 항목별로 알아보고자한다. I analyzed the contents of Confucianism and Native spirits of Sun-bi, which Yi Sun Sin ( Chung Mu Gong 忠武公), in order to study on the concept of Cheondo (the Heavenly way;天道). Master Kong(孔子) said, If one does not know the decree of Heaven(天命), one has no way of becoming a noble man; if one does not know the rituals(禮), one has no way of establishing oneself. Thus, the self- awakening of the decree of Heaven is that of impartial self concerning humanity and it corresponds to that of the Heavenly way. Chung Mu Gong s ideas was owing much to assimilate spiritual food by name of the Confucianism. But Cheondo of Chung Mu Gong has specific difference from fucianism, and this difference formed the peculiar concept of Cheondo of Chung Mu Gong. Especially, we can find the St. here Chung Mu Gong within the Native spirits of Sunbi(선비, 仙郞) -as a Hwarang(花郞). Their standard of value went far beyond the individual to include the nation. And training was apparent in their practical love of country. The thoughts of the Hwarang had been reorganized Han thought. In other words, it preced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Hwarang spirit had influence on Chung Mu Gong patriotism.(愛國心) Cheondo of Chung Mu Gong can be categorized into the indomitable spirits of Sun-bi, Choong Hyo(loyalty and filial duty忠孝) spirit, Consciousness of Anxiety(憂患意識), the Keeping of Country Land(國土守護), Transcendence of Life and Death(生死超脫), and Sincerity moves Heaven(至誠感天). Specially,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duty for reality were reflected in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long ago, even before Confucian rites were introduced, Koreans practiced ancestor worship. It is something that arises from this view of life and death as a unified whole.(生死一如)

      • KCI등재

        『환단고기』의 삼신 하느님에 관한 고찰

        이찬구 ( Lee Chan G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1 No.-

        본 논문은 『환단고기』에서 말하는 하느님, 특히 三神(삼신)하느님의 성격에 관한 고찰이 목적이다. 이는 우리 민족이 일찍부터 믿어온 하느님의 존재를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한문을 쓰기전부터 일찍이 우리 조상들이 믿어 온 그 하느님은 어디에 근원한 분인가? 필자는 이를 『환단고기』를 중심으로 『삼일신고』와 견주며 찾아보았다. 기존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의 서두를 昔有桓因(석유환인)으로 해석하면 환인이 곧 하느님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환단고기』처럼 昔有桓國(석유환국)으로 시작하면 환인은 하느님의 뜻이 아님을 알게 된다. 환인과는 별도의 神, 즉 一神(일신)이 등장하게 된다. 그동안 환인(桓因)이라는 명호에는 帝釋(제석), 天帝(천제), 上帝(상제)등의 말로 수식되어 왔기 때문에 하느님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환인은 ‘하느님’이 아니라, ‘하늘의 해가 몸에 내재한 조상 지도자’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리라고 본다. 천제(天帝)라는 칭호도 천상의 하느님이 아니라, ‘최고의 조상신’개념으로 사용한 것으로 볼 수있다. 다시 말해 당시 지도자에 대한 경칭(敬稱)으로 사용된 것으로 본다. 그리고 『환단고기』의 하느님 이해에서 중요한 것은 三神의 개념이다. 『환단고기』는 『삼일신고』가 天과 神을 구별하듯이 一氣로부터 삼신이 나온 것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天과 三神을 구별하고 있다는면에서 그 공통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화이트헤드가 말한 과정철학의 신[三神]과 창조성[一氣]의 관계로도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d according to the ‘HwanDan-Koki(桓檀古記)’, especially of the Sam-shin Haneunim(三神 하느님), the Three Gods. ‘HwanDan-Koki is the records on the historical accidents about the ancient Korean nation. This effort is also to trace the existence of God that the Korean natives believed in from the early on. Where does God originates whom our ancestors believed in even before we used Chinese characters, Hanmoon(漢文) As the author of this study, I compared ‘HwanDan-Koki’ as the core reference with the ‘Samil-shinko(三一神誥)’ When we interpret the opening words of ‘Samgukyusa(三國遺事)’ as ‘Sukyu-Hwanin(昔有桓因)’, ‘Hwanin’ carries the same role as the God. However, if we read the text as ‘Sukyu-Hwankook(昔有桓國)’, according to the ‘HwanDan-Koki’, we can see that Hwanin does not mean the God. A il-shin, the One God, is a different God than Hwanin. Until recently, the name of Hwanin were described as Jeseok(帝釋), Cheonje(天帝), or Sangje(上帝) which mean the Emperor or the Heavenly God. This could be the primary reason why Hwanin were regarded as the same manner as the God. But Hwanin is not the God but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see his figure as ‘the ancestor leader who is immanently related to the Sun of the Sky’. Also, the title of Cheonje does not mean ‘the God of Heaven’ but the concept is used as ‘the highest God of ancestor’. In other words, the title was used in honorific way of the leader at that time. Moreover, the important aspect of understanding God of ‘HwanDan-Koki’ is the concept of ‘Sam-shin’. ‘HwanDan-Koki’ and ‘Samil-shinko’ share mutual common idea which make a division between the Heaven and the God as the understanding of the ideology that the Three Gods originate from the Il-Ch`I(一氣). It also can be understoo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Creations according to A. N. Whitehead’s the process-philosophy.

      • 열교환기 형상 설계 예측을 위한 딥 러닝 네트워크 구성

        이찬구(Chan Goo Lee),전성준(Sung Jun Jeon),김용태(Yong Tae Kim),한석영(Seog Young Han)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딥 러닝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판형 열교환기 (Plate heat exchanger: PHE)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열교환기가 사용된 지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판형 열교환기는 몇몇의 회사들이 숙련된 엔지니어들의 경험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설계되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의 열교환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회사에 주문하거나 직접 제작을 위해서 상용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를 얻어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기존에 여러 방식으로 생성되었던 수치로 구성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 딥러닝 방법을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쌓인 데이터는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로 구성되고 딥 러닝 네트워크의 학습을 통해 예측되는 output을 사용해 현장에서 숙련되지 않은 엔지니어도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딥 러닝 네트워크는 모듈화되어 스마트 열에너지 설계 플랫폼(Smart Thermal Energy Design Platform: STED Platform)에서 지원함으로써 앞으로의 열교환기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