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쟁 공동체에서 풀뿌리 공동체로-경북 영양군 귀농․귀촌인 한 모임에 대한 민속지적 연구-

        이진교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70

        This article is an ethnographic study on a group of rural returners and rural migrants who were organized because of the activities they participated in to block the Yeongyang Dam. During their struggle regarding the Yeongyang Dam, the participants had a kind of communal experience. After the struggle was over, people with many shared aspects with regard to such things as political goals or values gathered together to practice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what they organized was this group. While continuing this group for the past few years, they were able to reinforce their trust in each other. At present, they depend on each other for matters of life in general such as in making a living and in the rearing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y fill what is lacking for each other. On one hand, the members of this group have socially participatory orientations and they share many values as well. They have been active individually and as a group in issues of local society such as activities to block wind power generation in Yeongyang area. Through such struggles, the expansion of their accumulated capabilities to daily practices is displayed by study groups such as the ‘resident participatory budget school’. Through budget studies, participants can perceive various problems of local society, and it is notable that, based on this, they are searching for alternative discussions and associated directions of practice. They express their activities as a type of ‘region (village) creation’ and this can be considered to be greatly significant in that it interlocks with the planning and practice of new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ir own methods. It is also worth deeply noting that such activities are naturally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their ‘local consciousness’ or their identities as local people. 이 글은 영양댐 저지활동을 계기로 결성된 한 귀농․귀촌인의 모임에 대한 민속지적 연구이다. 영양댐 투쟁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연대감에 기반한 공동체적 경험을 했으며, ‘공적인 일’의 중요성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치적 지향 및 가치관 등을 공유하는 귀농․귀촌인들이 모여, 함께 풍물 연습을 목적으로 조직한 것이 바로 이 모임이다. 지난 몇 년간 그들은 이 모임을 통해 서로에 대한 신뢰를 강화할 수 있었다. 현재 그들은 생업, 자녀들의 육아와 교육 등 삶의 전반에서 서로에게 의지하며, 결핍된 것들을 채워주는 존재들이다. 한편, 이 모임의 구성원들은 영양 풍력발전 저지활동을 비롯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이와 같은 투쟁의 과정에서 축적된 그들의 역량이 일상적 실천의 모습으로 확장된 것이 바로 ‘주민참여예산학교’와 같은 공부모임이다. ‘주민자치’와 ‘참여민주주의’ 등에 기반한 예산공부를 통해, 참여자들은 농촌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대안적인 논의와 사회․문화적 실천을 모색․수행 중에 있다. 그들은 이러한 활동을 일종의 ‘지역 만들기’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곧 자신들 방식의 새로운 지역사회 기획․형성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들과 후손들이 살아가야 할 영토로 영양을 재인식하는 현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는 곧, 그들의 ‘지역의식’이나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강화와 관계되고 있다는 점에서, 민속학적으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농촌의 근대 경험과 문화변동-전남 곡성군 B마을의 사례연구-

        이진교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and explain residents’ experienceof modernization and their responses with it and clarify its cultural implicationswith the case of a village located in Gokseong-gun, Jeonranam-do. This study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village’s unique socio-cultural context andits residents’ cultural capabilities and shown that modernity at a village’s levelwas practiced as multiple forms and meanings. What are noticeable in theprocess of developing and modernizing villages during the 1910’s to 1920’sare the clans and their major figures’ autonomous judgment and will ofpractice. They thought the nuclear mechanism to go through the situations ofthe time full of upheavals would be modern education and practiced itconcentrating all the clans and the village’s capabilities. It can be detected thatfrom the 1930’s, the intrusion of colonial power represented by agriculturalpromotion movements into the village came to be deepened gradually. Theresidents evaluated and remembered the parts related with their prosperity andinterest among their experiences of modernization or modernity during that timepositively. However, the range of the villagers’ autonomous choices was limited, and heteronomous power and forced power such as colonial powercame to be very distinctive. The 1950’s to 1960’s examined with 4H activitiesafter the emancipation and the process of founding Bongjeong ElementarySchool and Bongjeong Church was the period that autonomous trials andexperiments were actively done to enhance the village’s socio-culturalcapabilities. With these aspec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ocess ofmodernization and practice of modernity at the village’s level developed inmultiple forms and meanings by peri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copings of the subjects such as individuals, clans, and village communiti 이 글은 전라남도 곡성군에 위치한 한 마을의 사례를 통해, 주민들이 경험했던 근대화와그에 따른 대응을 포착․설명하고, 그 문화적 함의를 해명하기 위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마을 고유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주민들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중요성을강조했으며, 마을 수준에서의 근대성은 다중적인 형태와 의미로 실천되었음을 보여주었다. 1910~20년대 이 마을의 개발 및 근대화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문중과 문중의 주요인물들의 자율적 판단과 실천의지였다. 그들은 격변했던 시대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는 핵심적인 기제를 근대적 교육이라고 판단했고, 그에 따라 문중 및 마을의 역량을 집중해 실천해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1930년대에 들어서면 농촌진흥운동으로 대표되는 식민권력의 마을침투가 점차 심화되어가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주민들은 이 시기의 근대화나 근대성 경험 중에서 그들의 번영과 이익과 관련된 부분을 긍정적으로 평가, 기억하고 있었다. 하지만마을 사람들의 자율적 선택의 폭은 제한적이었으며, 식민권력과 같은 타율적 힘과 강제력이뚜렷하게 부각되어진다. 해방 이후 4H 활동 그리고 봉정국민학교와 봉정교회의 설립과정을통해서 살펴본 50~60년대는, 마을의 사회문화적 역량을 강화하려는 자율적 시도와 실험이활발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마을 수준에서의 근대화 과정과 근대성의 실천은 개인, 문중, 그리고 마을 공동체 등과 같은 주체의 성격과 대응에 따라 시기별로 다중적 형식과 의미를 띄고 전개되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899년, 가뭄과 기우제 그리고 전차 폭동

        이진교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The 3rd year of KwangMu (1899) saw a severe spring drought and dealing with drought through holding rituals for rain was one of the key issues in nation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drought and state-led rituals for rain back then against the historical backdrop of Joseon Dynasty back then characterized by the encounter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caused by foreign invasion, subsequent response of Korean society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modern reformation and consequent social conflict and turmoil. Year 1899 was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when social absurdities nearly peaked internally while depriv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y foreign powers kicked into high gear externally. For example, the prices, especially the price of grain was skyrocketing due to economic plunder by Japanese Imperialism, which directly affected and wreaked havoc on ordinary people. This circumstance was likely to be recognized as violation of social orders under the context of popular understanding of disaster. A case in point for popular interpretation of drought was the electric railway riot. People back then attributed severe drought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s such as electric railway. On the other hand, the royal government sought to reconsolidate society through a variety of corrective or remedial actions such as ritual for rain but with no such interpretation comparable to that of people such as blaming western civilizations as a cause of drought. 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a series of incidents such as electric railway riot that indicated social discontent and conflict actually occurred despite repeated rituals for rain. This explains state-led rituals for rain do not go very far when it comes to social integration while practical issues such as social absurdities and foreign invasion are left unresolved. 광무3(1899)년은 봄 가뭄이 심했으며, 당시 실록에서 보이는 기사들을 통해 가뭄과 기우제가 국정운영의 핵심적인 사안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외세 침탈과 그에 따른 한국사회의 반응, 서구적 문물의 도입으로 야기된 전통과 근대의 조우(遭遇) 문제 그리고 근대적 개혁과 그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나 불안의 심화 등과 같은 맥락 속에서, 당시 가뭄과 국행 기우제의 문화적 함의를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1899년은 대한제국의 시기로 내부적으로는 사회적 모순이 심각한 수준으로 축적된 상황이었고,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국권침탈이 본격화되는 시점이었다. 예를 들면 일제의 경제적 침탈로 인해 물가 및 곡가가 폭등하고 있었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민중들의 몫이었다. 민중들의 재이관(災異觀) 속에서 이와 같은 상황은 사회적 질서를 깨뜨리는 위반으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가뭄에 대한 민중적 해석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순간이 바로 전차 폭동이었다. 당시 민중들은 전차와 같은 서구적 문물의 도입을 가뭄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반면 왕을 위시한 정부 당국에서는 기우제를 비롯한 다양한 차원의 교정 행위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시도했지만, 가뭄의 원인에 대하여 민중들과 같은 수준의 해석은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한편 거듭 기우제를 지내고 있었음에도, 사회적 불만과 갈등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전차 폭동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사회적 모순과 외세의 침탈과 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행 기우제의 사회 통합적 효과는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연극 공동체 ‘나무닭움직임연구소’ 문화예술캠프의 축제성과 대안 문화적 가치

        이진교 비교민속학회 2022 비교민속학 Vol.- No.76

        The Namoodak Movement Lab (hereinafter referred to as ‘Namoodak’) in a closed school located in a rural village of Cheongsong-gun has held i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theater festival for a month every summer since 2009. This study examines the festivity of the community theater and the aspects of it as alternative culture focusing on the culture and arts camp held during the theater festival. Jang So-ik, the founder and CEO of Namoodak, has been interested in the contemporary recreation of folklore, for instance, mask dance, Gut, or Pungmul since his college days. As a result of reflecting on the perform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 capitalist system, he first founded Namoodak in 2002. Since then, Namoodak has been establishing its own ‘community theater’ accepting Western theater theories such as ‘the ritual theater’, ‘environmental theater’, and ‘forum theater’. In the culture and arts camp of Namoodak, Korean and foreign performing arts experts and also ordinary people including teenagers produce and perform a play dealing with either environmental or social issues while living together as a community. The participants point out the intense experience of festiveness after the closing performance accompanied with funs as a group as the real charm of the camp. At that moment, they experience a condensation of strong emotions, which is the crucial reason for them to revisit the summer camp every year. Meanwhile, the culture and arts camp provides variou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o participating youths, and it seems to be characterized as a sort of rite of passage. It is because in the summer camp, they get to discover their potential and think about their life and future seriously. Another artistic orientation of Namoodak is the emphasis on social practice. As a matter of fact, in a lot of scenes of social conflicts in Korea, Namoodak has been actively practicing solidarity through performances. Meanwhile, at the culture and arts camp, teenagers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various social issues or evils related to the environment or such. They realiz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like ‘the nuclear power plant in Fukushima’ or ‘the power tower in Milyang’, and this soon leads to their various practi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everyday life. Similar aspects appear in relation to social problems such as ‘non-regular workers’, ‘comport women’, and ‘the Ferry Sewol’. Teenagers sympathize with the problems like non-regular workers or the reality of labor they have learned at the culture and arts camp saying that they are their own or their friends’ problems, not someone else’s business. In this way, theater communities generated with the mediation of such values as ‘environment’ and ‘resident participation’ can be equipped with alternativ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for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and ecological problems lying in contemporary Korea.

      • KCI등재후보

        민속마을의 관광지화와 시선의 재구성

        이진교(Lee Jin-Gyo)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3 No.-

        이 글은 하회마을이 관광지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하회마을의 이미지 생산과 소비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글에서 이론적 배경이 되는 것은 어리(Urry)가 제시했던 ‘관광객의 시선’이라는 개념이다. 미디어는 ‘전통’이라는 주제 아래, 하회마을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간다. 한편 관광객들에게 있어서 이러한 이미지는 하회마을을 찾는 동기로서 작용을 한다. 관광개발 과정에서 ‘전통’이라는 주제는 주민들의 현대적 삶을 은폐하고, 해체의 대상으로 규정한다. 하지만 하회마을 사람들이 ‘관광객의 시선’에 대해서 일방적으로 수용하고, 복종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 역시 현대 한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관광객들의 ‘전통’에 대한 욕망과 성향을 파악하고 있으며, 관광개발이나 문화보존의 과정에 끊임없이 영향을 끼치려 한다. 또한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스스로의 개발 계획과 전통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 나간다. 이러한 과정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지역 사회 또는 더 큰 맥락에서 자신들의 위상과 경제적인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image of Ha-Hoe Village in the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use the concept of ‘the tourist gaze’ suggested by Urry (1990). The media creates the image of Ha-Hoe village as a subject of ‘tradition’ and tourists visit to Ha-Hoe village to want to see these image. The concept of ‘tradition’ is prescribed by modernity and the real lives of the villagers as hosts are concealed and decontextualized. But the hosts are not portrayed in these interactions as passively accepting and submitting to the ‘tourist gaze’. They are well aware of the tourists’ desires and tendencies and they try to influence the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and cultural preservation.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king the images of tradition in this process. They not only devise strategies to enhance their identity, but also are able to pursue economic profit and political power. Finally, I discuss ‘Taming Tradition’ and ‘Tradition is Negotiation’ to explore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 in this context.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혼입여성의 농촌 적응전략과 마을사회의 반응

        이진교(Lee, Jin-Gyo)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3

        이 글에서는 다문화가정 혼입여성들의 농촌 적응과정과 마을 및 지역사회의 반응을 ‘나눔공부방’이라는 한 자생적 모임을 통해 탐색하고 있다. 나눔공부방은 2007년 한 농촌마을에 국제결혼을 통해 갓 혼입해 온 외국인 여성과 이웃집 장애인 여성의 우연한 만남으로부터 시작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사회복지관의 협력을 통해 지속의 동력을 얻게 되었으며, 다문화가정 혼입여성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글교육을 표방하며 나눔공부방을 태동시켰다. 마을 내 가정집에 위치했던 나눔공부방에서 혼입여성들은 일상에서의 긴장과 억압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일시적으로나마 해방감을 느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외부적 압력에 대응하여 나눔공부방을 존속시켜 나가려 했던 혼입여성들의 모습을 통해 그들이 매우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삶의 주체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나눔공부방 10년의 역사는 그들을 둘러싼 외부집단과의 사회적 갈등과 배제 그리고 편견으로 점철되어 있다.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있었던 나눔공부방이 선택했던 농촌사회 적응전략의 특징은 ‘효’나 ‘열’과 같이 기존의 농촌사회에서 널리 통용되었던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농촌사회 적응전략이 구체화된 대표적인 실천 사례가 바로 마을회관 방문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혼입여성들은 정기적으로 마을회관을 방문하여 노인들과 교류함으로써, 마을 및 지역사회와 정서적 유대감을 자연스럽게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화적 실천은 마을 및 지역사회에서 혼입여성들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나아가 혼입여성들 역시 이러한 문화적 실천을 통해, 자신들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자긍심을 되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눔공부방’의 문화적 실천과 그에 대한 농촌사회의 반응을 통해 마을이나 지역 수준에서 다문화 공존과 새로운 사회적 질서의 형성 가능성을 시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the women married into multicultural family to get adapted to rural community and the reaction of their village and local community through an autonomous group, ‘Nanum Study Room’. Nanum Study Room started in 2007 from an accidental encounter of a foreign woman who just got married into a rural village and her disabled next door neighbor. Afterwards, the group gained power to sustain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a social welfare center and led to the formation of Nanum Study Room that pursu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o improve communicative skills of the women who were married into multicultural families. In Nanum Study Room, which was located inside a house of the village, those women seem to have been freed from the tense and oppressive situations of daily life and felt free temporarily while they were there. Also, through their effort to maintain Nanum Study Room against external pressure, it can be found that they are very active and aggressive agents of life. The 10-year history of Nanum Study Room is checkered with social conflict, ostracism, and prejudice of external groups that surround 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of Nanum Study Room, which was a socially disadvantaged group, to adjust to rural society were to actively accept and utilize the values such as ‘filial duty’ and ‘virtuousness’ that were widely spread in rural community. The representative actual case that specifies the strategy to adapt to rural community is the program to visit the community hall. Through this, foreign women in the rural community could regularly visit the community hall, communicate with elderly people, and naturally build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village and local community. Such cultural practice has been induc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awareness of village and local community about such women. Furthermore, through such cultural practice, those women themselves seem to be developing positive awareness about their lives and finding confidence.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of Nanum Study Room and the reaction of village community, it will be possible to test the potential of the coexistence of multi-culture and the formation of new social order.

      • KCI등재

        지역사회의 연대와 저항 - 영양 풍력발전 저지 활동의 민속지적 연구 -

        이진교(Lee, Jin-gyo)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무분별한 영양풍력 반대를 위한 영양군 단체 연석회의(이하 연석회의)’와 ‘영양제2풍력 공동대책위원회(이하 영양제2풍력 공대위)’의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에서 연대의 중요성과 의미를 살피고 있다. 현재 영양은 전국에서 풍력발전단지가 가장 밀집한 지역 중 하나이며, 거대 자본을 필두로 한 다양한 세력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곳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017년 3월 연석회의가 결성되어 본격적인 저지 활동에 나서게 된다. 해당 마을이나 지역에서 국지적인 수준으로 벌어지던 풍력발전 저지 활동이, 연석회의 결성을 통해 영양 지역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석회의가 중심이 된 영양의 풍력발전 저지 활동은 영양 AWP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환경평가단계에서 좌초시켰으며, H마을 양구리풍력발전단지의 경우 환경부로부터 ‘공사중지 명령’을 받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영양제2풍력 공대위’는 2018년 9월을 전후해, 기존 연석회의 주요 참여자들과 S마을 일부 주민이 결합한 형태로 출범하였다. 기존 연석회의가 상호 호혜성에 입각한 마을이나 집단 간 연대의 성격이 강했다면, 영양제2풍력 공대위는 개인의 선택과 참여 의지가 강조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영양에서 풍력 저지 활동과 관련한 연대의 의미는 점차 지역의 사회운동 및 환경운동으로서 성격이 부각되기도 한다. 특히, 연석회의·영양제2풍력 공대위와 같은 연대 조직을 통해 지역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 참여의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한 측면이다. 이는 곧, 지역의 주류적 사회질서에 대응하는 것으로, 새로운 지역사회 형성 문제와 일정하게 결부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observes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solidarity in rural societie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Yeong Yang-Gun group conference (referred to as the conference below) for the opposition of thoughtless wind power in Yeong Yang’ and the ‘Yeong Yang 2nd wind power joint task force (referred to as the Yeong Yang 2nd wind power joint countermeasures committee below’. Currently, Yeong Yang is a region where wind plants are most concentrated in Korea and it is a place where the interests of diverse powers are complicatedly tangled with huge capital at the head. To overcome such situations, the conference was organized in March of 2017 and it began regular blocking activitie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fact that wind power development blocking activities of local dimensions in relevant villages or regions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area of Yeong Yang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conference. Yeong Yang wind power blocking activities, in which the conference was at the center, grounded Yeong Yang AWP wind plant construction businesses in environmental evaluation stages and they achieved results such as causing the wind plant construction business of H village to receive a ‘construction discontinuation order’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Yeong Yang 2nd wind power joint countermeasures committee’ happened around September of 2018 and it was established in a form that combined major participants of the existing conference with some residents of S village. If the conference showed strong solidarity among villages or groups based on reciprocal reciprocity, the ‘Yeong Yang 2nd wind power joint countermeasures committee’ placed more emphasis on individual choices and participative will. Through such processes, the significance of solidarity in relation to wind power blocking activities in Yeong Yang was gradually magnified to show characteristics as a local social movement and environmental movement. In particular, a noticeable aspect is that local human networks were formed and accordingly, various form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shown through formations of solidarity such as the conference and the Yeong Yang 2nd wind power joint countermeasures committee. These are responses to local mainstream social order and they uniformly connect to the formation issues of new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전개과정과 지역사회

        이진교(Lee, Jin-Gyo)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2 No.-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지역 정체성의 강화와 지역 활성화를 목적으로, 탈춤이라는 주제 속에서 1997년 처음 창출된 축제이다. 1회 축제는 지역 외부 유명기획사와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러 낼 수 있었다. 2회 때부터는 지역의 전문가들이 축제의 기획과 실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주도세력의 변화는 축제의 기획과 실행에 있어서 지역의 정서를 반영하고, 지역 문화예술인의 참여 촉진, 그리고 축제관련 산업 등의 발전계기가 되었다. 2006년 이 축제의 운영조직은 임의단체에서 재단법인으로 바뀌게 되었다. 운영조직의 재단법인화는 기존 안동시 주도의 축제에서 ‘민주도형’ 축제로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 운영조직의 재단법인화를 통해 민간의 전문가가 보다 독립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해나갈 수 있게 된 하나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한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시작 당시부터 ‘지역 활성화’를 염두에 두고 기획·실행되었으며, 실제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적지 않아 보인다. 이 축제가 성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역정치인, 학자, 언론 등과 같은 주체들에 의해서 지역 활성화의 문제가 끊임없이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축제에 다양한 목적과 수준에서 참여하는 개인이나 집단들에게 ‘지역 활성화’ 담론은 어느 정도 공유되는 지점에 있었다. 물론 지역 활성화를 실제로 실천하고, 해석하는 과정은 참여하는 집단들이나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위상과 의미는 축제에 참여하는 다양한 집단들이 상호작용하는 지점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Andong Mask Dance Festival was created with the theme of mask dance for the purpose of vitalizing the region and also enhancing regional identity in 1997. The 1st festival successfully end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prominent agencies outside the region for planning, Andong city, and also local culture & arts groups. From the second festival, however, it went through some changes to experts of the region playing initiative roles in planning and holding the festival. This change of leading influence gave them a chance to reflect local emotion in planning and holding the festival, facilitate participation of the culture & arts people in that region, and also develop festival-related industry. And in 2006, the organization the festival was changed from a voluntary association to ‘an incorporated foundation’. From the fact that the operating organization was turned into an incorporated foundation, we can see the directivity of it changed from the previous Andong-initiated festival to ‘citizens-initiated’ festival. In the area of planning and holding the festival, it is still true that the region’s politics and administration have crucial roles and exert tremendous influence. However, it seems obvious that the operating organization changed to ‘an incorporated foundation’ has given a great chance for the civil experts to play more independent as well as initiative roles stably. In the meantime, from the beginning, the ‘mask dance festival’ was intended for positiv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or ‘local vitalizatio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stivals in Andong. And in the process of the festival’s development, the matter of ‘local vitalization’ has been repeatedly pointed out by the main agents like politicians, scholars, or the press. Also, in the creation and growth process of the mask dance festival, the matter of ‘local vitalization’ was suggested as the nuclear topic, and it was at the point where the individuals or groups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with different purposes and in different degrees shared it to some extent. Of course, the process to actually practice and interpret ‘local vitalization’ may differ by individuals or groups participating. It can be said that the status and meaning of the festival in the community lie in the place where diverse groups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interact with one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