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 자료 개발 실태 및 요구 분석

        박희진(Park, Heejin),김수진(Kim, Sujin),이지미(Lee, Jee Mee),김지혜(Kim, Ji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h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at the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in South Korea. We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document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0 teachers and parents of 6 schools. First, we analyze eigh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at the government level thus far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programs focused on their contributions as well as limitations. In addi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e investigate th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on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t school. The results are analyzed into five domains such as topics, target groups, time for practice, teaching methods and approaches, and the form of distribution. In total, 13 categories are identified under the five domains and each category is delineated in depth.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based on the findings and some polic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인성교육 자료 개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인성교육 자료 개발에 관한 현장의 요구와 비교하여 인성교육 자료 개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중앙 정부 차원에서 개발된 인성교육 자료 8종 을 분석한 결과, 자료 개발에 있어서 현장 교원의 참여가 두드러졌으며, 자료 개발자의 다양성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이 균형 있게 그 특성에 맞도록 개발되었으며, 주제와 내용이 점차 다양화·구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현장의 요구에 대한 기초조사가 부족한 채 개발되었으며, 특정 시간이나 행사를 위한 자료로 개발되어 책자 형태로 일괄 보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였다. 이와 함께 현장의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원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2016년 4-5월 2개월에 걸 쳐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인성교육 자료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사회성, 도덕성, 정체성, 기타 언어 사용이, 활용 대상에 있어서는 학생 및 학부모를 위한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적용 시기로는 수업 시간, 학사관리 취약시기, 전환기가, 적용 방식에 있어서는 체험 활동 중심의 인성교육 자료와 학생 주도 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 형태 면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 형태의 인성교육 자료에 대한 요구가 많 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인성교육 자료 개발 방향 및 내용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내용 주제와 구조 분석

        허은정(Hur Eun Jung),김수진(Kim Su jin),이지미(Lee Jee M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내용 주제와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인성교육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주제 분석을 위한 3개 기준(‘인성교육의 이해’, ‘인성교육의 핵심역량 함양’, ‘인성교육 실천’)과 구조 분석을 위한 4개 기준(‘기초’, ‘적용’, ‘연계’, ‘혼합’)을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16년 시범운영된 다섯 개 기관의 양성과정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 결과, 인성교육 이해 의 편성 비율이 가장 낮았고 인성교육 핵심역량 함양 과 인성교육 실천 은 비슷하였다. 그 특징으로 인성교육의 이해 는 기초적 지식을 다루고 있으며, 인성교육 핵심역량 은 교사의 인성역량 함양과 인성교육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과목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인성교육 실천 은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내용 및 방법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구조 분석 결과, 연계 의 편성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적용, 기초, 혼합 순으로 나타났다. 각 기준별 특징으로 ‘이해’는 기본 이해를 위한 성격을 지녔으며, ‘적용’은 실제 학교 현장에 활용해 볼 수 있도록 수업 활동과 수업 외적 활동에 관련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계’는 직접 연계와 간접 연계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인성교육과 관련 개념 또는 소양을 접목시켜 다루었고, 혼합에서는 적용과 연계가 혼합된 유형만 나타났다. 이에 따라 1) 균형적인 주제 구성, 향후 다양화 필요, 2) 인성교육 비전 공유로서의 긍정적 역할, 향후 현장성 유지 필요, 3) 구조의 계열성 확인 및 발전적 형태에 대한 시사, 4) 양성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현장 경험 위주의 구성 미흡, 5) 양성기관의 독자성이 반영된 연계 강좌의 가능성 제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for teacher training as a charact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m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in character education. To this end, we established thre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topic(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 Cultivation of the Key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 and four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Basics , Applications , Connections , and Mixing ).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ive pilot training institutions in 2016.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opic, the ratio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was the lowest and the other two criteria were similar.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dealt with basic knowledge and that Cultivation of the Key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consisted of courses for cultivating of teachers character competences and teaching compet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dealt wi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homes and communities. Structur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Connection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pplications , Basics , and Mixing . Also, Understanding was primarily intended fo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consisted of contents related to instruction and non-class activities for practical use on school. Connections dealt with in two ways, direct and indirect, connecting character education with related concepts or literacy and only a mix of Applications and Connections appeared in Mixing . Based on this,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were discussed: 1) Balanced organization in topic and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opic, 2) Positive roles for sharing the vis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with the field, 3) Identification of sequence and th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al types in structure, 4) Insufficient organization of various field experience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5) Suggestions on possibility of Connections courses that reflect the identity of the training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