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보행안내 시스템 설계

        이중엽(Lee, Joong-Yeub)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1

        최근 사회적 이동약자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늘면서 정부에서도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대도시의 대중교통 등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기관이나, 지하철역 등과 같은 폐쇄된 공간은 아직 상대적으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공공기관들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 누구나 예외 없이 이용하는 시설로서 장애인들의 자유로운 접근성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또한 그 시설의 이용에 있어 어떠한 사람도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RFID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기관 내에서 능동적으로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범위는 다양한 사용자 중에서 시스템적용에 있어 가장 어려운 계층으로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s stepped up efforts to build the infrastructures for those who have difficulties with mobility amid the growing interest in them across the society. However, such efforts have been mostly concentrated in building the roads, sidewalks 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cities. Relatively less efforts have been made for and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ublic organization, education organizations, subway stations, etc. Those public organizations which are used by all members of society without any exclusion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unrestricted access by the disabled, and no one should be discriminated in using those facilities. To resolve those problems, a system was presented in this study which uses RFID technology enabling people to reach their destinations within public organization without the help of others. In that way,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enabling the use by all people regardless of physical ability and nationality(language).

      • 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유니버설 웹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중엽(LEE JOONG YEUB)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4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중심이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획득이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웹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유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할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쇼핑페이지에 있어서 장애인 계층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계층의 인터넷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커다란 시각적 요소의 사용과 단순화된 정보의 구조, 쉬운 마우스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장애인 사용자도 증가하는 현 추세에서 장애인들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면 장애인 계층의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웹 사이트에서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dentify web interface design factors for increas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attention for mentally disabled men. Gaining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is becoming pivotal in today''s society as the internet is becoming the center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uideline of web interface design for the disabled men who are alienated in gain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f the internet were more user friendly to the disabled men, they would be able to spend more time in doing what they enjoy and also in self development, with the information gained on the internet. This study investigated current portal sites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surveyed and interviewed the disabled men, and researched literatures on how the disabled men perceive various stimulants and also researched documents for previous guidelines on interface design for them.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net sites which the disabled men use to gather information about products and which entice their purchasing desires. The conclusion is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by eliminating visual dizzy elements in the pages, simplifying the layout and the menu designs which represent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 KCI등재
      • KCI등재

        Smart-Walk 시스템에서 스트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적화 기법

        조완섭(Wan-Sup Cho),양경은(Kyung-Eun Yang),이중엽(Joong-Yeub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의 보행을 지원하는 Smart-Walk 시스템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여러 유형의 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운행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사용현황과 이탈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시스템의 최적운영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사용자 유형과 그에 적합한 사용방법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간단하게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에게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진정한 유니버설디자인 이념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행로그를 데이터웨어하우스 형태로 저장하고 온라인 분석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최적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해 낼 수 있게 된다. Various RFID-based smart-walk systems have been developed for guiding disabled people. The system sends appropriate message whenever the disabled people arrived at a specific point. We propose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optimization techniques for the smart-walk systems. Universal design concept can be adopted for supporting various kinds of disabled such as a blind person, a hearing-impaired person, or a foreigner in a system. It can be supported by storing appropriate messages set in the message database table depending on the kinds of the disabled. System optimization can be done by analyzing operational log(stream) data accumulated in the system. Useful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analyzing or mining the accumulated operational log data. We show various analysis results from the operational log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