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시장반응과 그 결정요인

        이정엽(Jungyoup Lee),황문호(Mun Ho Hwang),김문철(Moonchul Kim)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6

        상장기업의 내부자거래 정보는 매년 1만 여건을 상회할 정도로 빈번하게 공시되는 사항이다. 본 연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보고되는 내부자거래 공시의 정보효과를 검토하고, 투자자들의 시장반응을 결정하는 공시정보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공시된 30,120건의 내부자거래를 대상으로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자거래 공시일 전․후에 걸쳐 유의한 시장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내부자거래 공시를 해당 기업의 가치평가와 관련하여 유용한 정보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투자자들의 시장반응은 공시정보의 보고시차가 짧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시성이 높을수록 정보효과가 높아짐을 보여주는 결과이자, 2009년 2월의 자본시장법 시행에 따른 내부자거래 공시기한 단축이 증권시장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셋째, 내부자의 매수거래는 차별적인 주가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내부자의 매도거래는 차별적인 거래량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내부자의 매수거래와 매도거래에 각각 달리 반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코스닥기업의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거래량반응은 코스피기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비대칭이 높은 기업의 공시일수록 투자자들에게 전달하는 정보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내부자거래와 주가움직임의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내부자거래의 초과이익 실현 여부를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자의 미공개정보 이용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내부자거래 공시의 정보효과를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규제당국이나 시장참여자들이 내부자거래 공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기업은 왜 결산월을 변경하는가?

        김문철 ( Moonchul Kim ),이정엽 ( Jungyoup Lee ),전영순 ( Youngsoon S. Cheo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4

        기업은 다양한 사유로 결산월을 변경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결산월을 변경하는 기업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 결산월 변경기업의 재무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산월 변경사유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결산월변경사유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국·내외를 통해 거의 부재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신문 등 언론에서 기업의 결산월 변경을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만 다루어 왔으며 결산월 변경에 관한 체계적인 학술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언론의 주장에 기초하여 결산월 변경동기를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합리적인 변경동기와 기회주의적 변경동기로 구분하고 각 동기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결산월 변경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표본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 결산월을 변경한 110개 기업이다. 분석 결과, 표본기업의 84%가 지배기업의 결산월 또는 투자기업의 결산월과 일치시키기 위해 결산월을 변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결산월 변경이 지배기업의 연결재무제표 작성이나 투자기업의 지분법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합리적인 변경임을 의미한다. 반면, 결산월 변경 후 기업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 수나 투자자의 관심을 대변하는 주식거래량은 증가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애널리스트나 투자자로부터 보다 높은 관심을 받기 위해 산업을 대표하는 결산월로 변경한다는 사유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기회주의적 변경동기와 관련해서는, 관리종목 기업이 결산월을 변경하는 경향이 있으며 변경당기에 높은 당기순이익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관리종목 기업이 관리종목으로부터 조기해제를 위해 결산월 변경을 이용한다는 주장과 일관성이 있다. 반면, 결산월 변경 후에도 감사시간이나 감사보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는데, 이는 엄격한 외부감사를 피하기 위해 결산월이 집중되는 12월로 결산월을 변경한다는 언론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기업은 경영활동에서 발생하는 합리적인 사유뿐만 아니라 기회주의적인 사유에 의해 결산월을 변경하고 있다. 또한 결산월 변경기업은 변경당기에 영업외손익 항목을 이용하여 당기순이익을 높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변경당기의 재무제표 정보의 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결산월 변경에 관한 우리나라의 공시규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결산월 변경 기업들은 변경 사유에 대한 구체적인 공시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감독당국은 결산월 변경에 관한 공시규정을 정비하고 해당 공시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여 결산월 변경에 대한 충실하고 성실한 공시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결산월을 변경하는 유인에 관해 체계적으로 고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s an important decision for firms since the reporting period can affect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of the firm. In Korea, more than 90% of listed firms have fiscal year-ends of December 31. Thus, auditors may not be able to conduct as rigorous audit for clients with December-fiscal-year-ends as for clients with non-December-fiscal-year-ends, since they have to complete all their audit engagements within a limited time period. Also, firms`` business seasonality can affect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f firms want to coincide their fiscal years with the business cycle. These suggest that the choice of the reporting period is likely to be a strategic decision rather than a random decision. Prior research suggests firm size, regulations on firms`` fiscal year, industry characteristics, business seasonality, and fiscal year of industry peers as determinants of firms`` reporting periods. Firms may face a need to change reporting periods, once they chose fiscal year at the time of establishments. Prior research examines firms`` incentives to change reporting periods using the data from other countries. The literature documents business seasonality, mergers and acquisitions, uniformity in fiscal year within the same industry, earnings management using missing months, and alignment with a parent``s reporting period as reasons for reporting period chang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hanging reporting periods is a strategic decision driven by business reasons. In Korea, firms often change reporting periods and the press tends to cover these events in a negative light. Based on anecdotes, the press makes allegations that firms change fiscal year-ends from non-December to December in order to avoid rigorous audit. Also, the press argues that firms designated as Administrative issues change reporting periods in order to be lifted from Administrative issues. However, as prior research suggests, firms may change reporting periods for business reasons. For example, a subsidiary could change the reporting period to align with the parent``s fiscal year. Similarly, an affiliate could change the reporting period to align with the investor``s reporting period. Also, firms may change fiscal years to coincide with the industry norm. If firms change fiscal years for business reasons, the allegations made by the press are unwarranted. Thus, this study examines why firms change reporting period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s firms`` incentives to change reporting periods into rational business decisions and opportunistic incentives. This study examines two types of fiscal year changes driven by rational business reasons: alignment with the parent or investor and alignment with industry peers in order to attract more attention from analysts or investors. We also examine two types of fiscal year changes activated by selfish motives: reporting period change with the intention of being lifted from Administrative issues and reporting period change to December in order to avoid rigorous audit. The sample of the study is 110 firms that changed fiscal years during 1999-2011. The results reveal that 84% of the sample firms change fiscal years to align their reporting periods with those of the parent or investor company. This type of a fiscal year change is firms`` rational behavior to facilitate more efficient financial reporting. On the other hand, neither trading volume nor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firms increases after reporting period changes.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firms aligning

      • KCI우수등재

        과거 이익변동의 지속성에 대한 내부자매수거래의 확인효과

        전영순(Youngsoon Cheon),김문철(Moonchul Kim),이정엽(Jungyoup Lee)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2

        Earnings inform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firm valuation. Investors typically use current and past earnings to predict future profitability and risk, and apply them to valuation models to estimate firm value. If investors face information uncertainty due to lack of earnings precision in firm valuation, they are likely to rely on additional information to resolve information uncertainty in earnings signal. This study examines whether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after the announcement of quarterly earnings resolve the uncertainty regarding the earnings signal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persistence of the previously reported earnings. If the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resolving the uncertainty of the past quarterly earnings, the market reactions to the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uncertainty about earnings and the changes in previous quarterly earnings. Our sample consists of 12,318 insider purchase trades disclosed by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over the 2002-2015 period. For the KOSPI listed firms, we find that the market reactions to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crease with information uncertainty about earnings signal measured by accruals. This indicates that information contents of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crease with information uncertainty in earnings signal. In addition, when the previous quarterly earnings changes before insider purchase trading are positive,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nings changes and the market reactions to insider purchase disclosures. This is consistent with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confirming earnings signal of the previous quarter.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insider purchase trades for the KOSPI listed firms mainly provide priv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ast quarterly earnings changes, whereas the literature on insider trading shows that insider purchase trades convey management private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prospects of the firm. In contrast, insider purchase trades for the KOSDAQ listed firms provide neither information about the past quarterly earnings changes nor information about future earnings. Our study expands the literature by focusing the confirmation role of insider purchase trading. Our result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conveyed by insider purchase transactions in Korean capital markets.

      • KCI우수등재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의 분기이익조정에 대한 비교연구: 회계제도 변화를 중심으로

        김문철(Moonchul Kim),전영순(Youngsoon S. Cheon),이정엽(Jungyoup Lee) 한국경영학회 2021 經營學硏究 Vol.50 No.5

        Prior research finds that firms in the KOSDAQ market tend to manage annual earning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KOSPI marke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enc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between KOSPI and KOSDAQ firms. We also examine whether accounting reforms ado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s are effective in restraining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KOSDAQ firms manage quarterly earnings to the greater extent than the KOSPI firms. We also find that the IFRS adoption has positive effects o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in both KOSPI and KOSDAQ markets, whereas the auditor review of interim financial statements has no effect on quarterly earning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