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일로바이오스 첨가 비율이 다른 설탕이 건강한 성인의 혈당지수와 혈당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Lee, Jung-Sug),김아름(Kim, A-Reum),남혜경(Nam, Hyekyoung),경명옥(Kyung, Myungok),서승우(Seo, Sheungwoo),장문정(Chang, Moon-Jeong)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8주 동안 건강한 성인 남녀 11명을 대상으로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비율이 다른 설탕 3종의 혈당 반응 및 GI 분석을 통해 혈당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XB 7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 설탕), XB 10 (자일로바이오스 10% 함유 설탕), XB 14 (자일로바이오스 14% 함유 설탕)은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섭취 후 최대 혈당 상승값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XB 7, XB 10 및 XB 14의 GI는 각각 57.0, 53.6, 49.7로 나타나 XB 7은 중GI 식품으로, XB 10, XB 14는 저GI 식품으로 분류되었고, 순수한 설탕의 GI 68에 비해 낮았다. AUC는 30~90분 사이에서 표준식품 (포도당)에 비해 비교식품 (XB 7, XB 10, XB 14)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은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자일로바이오스 7% 함유보다는 자일로바이오스 10% 이상 함유 시 기능성 설탕으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xylobiose containing sucrose on glycemic indices based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blood glucose response in healthy adults. Methods: Healthy adults (six male and five female participants, n = 11) underwent 14~16 hr of fasting. Subsequently, all participants took 50 g of available carbohydrates from glucose, sucrose containing 7% xylobiose (XB 7), sucrose containing 10% xylobiose (XB 10), or sucrose containing 14% xylobiose (XB 14) every week on the same day for 8 weeks. Finger prick blood was taken before and 15, 30, 45, 60, 90, and 120 min after starting to eat. Results: We observed reduction of the glycemic response to sucrose containing xylobiose. The glycemic indices of XB 7, XB 10, and XB 14 were 57.0, 53.6, and 49.7, respectively. The GI values of XB 7 were similar to those of foods with medium GI, and the GI values of XB 10 and XB 14 were similar to those of foods with low GI. The postprandial maximum blood glucose rise (Cmax) of XB 14 was the lowest among the test foods. XB 7, XB 10, and XB 14 showed significantly lower areas under the glucose curve (AUC) for 0~30 min, 0~60 min, 0~90 min and 0~120 min compared to gluco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crose containing xylobiose has an acute suppressive effect on GI and postprandial maximum blood glucose rise. In addition, levels of xylobiose in sugar may allow more precise assessment of carbohydrate tolerance despite lower glycemic responses in a dose-dependent mann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아동 및 청소년의 라면 섭취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비교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분석 결과

        이정숙(Lee Jung-Sug),김정선(Kim Jeongseon),홍경희(Hong Kyoung Hee),장영애(Jang Young Ai),박수현(Park Soo Hyun),손영애(Sohn Young Ae),정해랑(Chung Hae-Ra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8

        Instant noodl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ood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instant noodle consumption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in Korea. We used dietary data from 24-h recall of 1,748 subjects aged 7-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ose who consumed instant noodle once or more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categorized as “instant noodle consumer (INC)” and were compared for food and nutrient intakes with the others (non- INC). The average age of the INC was 13.4 and that of the non-INC was 12.4; girls consumed more instant noodles than boys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grains, as compared to the non-INC, the INC consumed significantly less amounts of potatoes, vegetables, mush-rooms, fruits, spices, seafood, and milk and dairy products. With respect to nutrient intakes, the INC-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intakes of energy, fat, carbohydrate, sodium, thiamine, and riboflavin; however, as compared to the non- INC-group, the INC-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intakes of calcium, niacin, and vitamin C. The overall result suggests that consuming instant noodles may lead to excessive intake of fat and sodium, but it may cause an increased intake of thiamine and riboflavin.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and teenagers choose a balanced meal while consuming instant noodle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manufactures of instant noodles should consider nutritional aspects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 KCI등재

        Bifidobacterium longum과 자일로올리고당을 포함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변내 균총과 배변 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Jung-Sug Lee),박형섭(Hyoung-Seop Park),경명옥(Myungok Kyung),조성은(Sung-Eun Jo),장문정(Moon-Jeong Chang)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4

        본 연구는 probiotics와 prebiotics로 구성된 synbiotics 섭취가 건강한 성인의 배변 활동 및 변내 균총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probiotics 섭취 중단 후에도 prebiotics인 XOS 섭취가 장내 유익균총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XOS의 건강기능성 확인을 위한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BL2XO6군과 BL2XO2군의 체위 자료는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변내 pH는 시료 섭취 전 두 군 모두 7.0이하로 약 산성이었으나, 시료 섭취 1주차 BL2XO6군에서 pH 7.16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주차 이후는 pH7.0 이하의 값을 보여 시료 섭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변내 균총의 변화를 보면 BL2XO6군의 경우 Clostridium spp. 은 시료 섭취 후 변 내 균 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Bifidobacterium spp.은 시료 섭취 후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4주차에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이외 주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 longum은 모든 주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서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BL2XO2군의 경우 시료 섭취 후 Lactobacillus spp.과 B. longum은 synbiotics 섭취 1주에만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각 주차별로 변 내 균총의 변화율에서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균총은 Clostridium spp.와 Lactobacillus spp.이었다. 즉, Clostridium spp.은 2주차에서, Lactobacillus spp.는 4주차에서 BL2XO6군과 BL2XO2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시료 섭취 전·후 Bacteroidetes와 Firmicutes의 비율은 두 군 모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섭취 전·후의 변의 양, 변의 상태 및 배변 횟수, 복통 및 CSS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군에 따른 차이 역시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만을 섭취할지라도 장내 균총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유지하고 있어 synbiotics 섭취 후 prebiotics로 XOS 섭취는 자일로올리고당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B. longum을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와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통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ffect of prebiotics intake after administration of a synbiotics mixture (a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and a prebiotic, xylooligosaccharide containing sugar [XO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five healthy young volunteers (11 males and 14 fem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BL2XO2 and BL2XO6). The synbiotics mixture was orally administered to both groups for 2 weeks, and the prebiotics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the BL2XO6 group for 4 additional weeks. The daily dose of the synbiotics mixture comprised 1010 colony-forming unit of Bifidobacterium longum and 10 g of XOS, and during the prebiotics period, the daily dose of prebiotics comprised only 10 g of XOS. The fecal pH, microflora, and defec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aseline and at weeks 1, 2, 4, and 6. Results: The counts of B. longum and Bifidobacterium spp. in the BL2XO6 group exhibited a steady, increasing trend during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periods, whereas those of the BL2XO2 group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 in each week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unts of fecal Bifidobacterium in the BL2XO6 group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BL2XO2 group at week 6.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pp. exhibited a time-dependent variation, peaking at week 6 in both groups. Low counts of Clostridium spp.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the synbiotics and prebiotics in the BL2XO6 group (p < 0.05) throughout the study, whereas the inhibitory effect on Clostridium spp. was maintained only during the synbiotics period in the BL2XO2 group. The defecation characteristic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XOS after a synbiotics mixture containing B. longum and XOS can exert a prebiotic effect in healthy young volunteers by stimulating Bifidobacteriun spp. growth and inhibiting growth of Clostridium spp.

      • KCI등재

        가임기 여성의 요오드 섭취 수준의 안전성 평가 연구: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이정숙(Jung-Sug Lee)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6

        본 연구는 제6기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5–45세의 가임기 여성 1,559명을 대상으로 요오드 섭취 및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을 기준으로 요오드 섭취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요오드 섭취량 분석을 위해 요오드 영양성분 DB를 구축한 후 24시간 식사조사자료와 매칭하여 식이를 통한 요오드 섭취량을 분석하였고,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을 적용하여 하루 단위의 요오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요오드 섭취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WHO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였고, 요오드의 영양소 섭취기준 중 상한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BE를 산출한 후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을 적용하여 HQ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이 100 μg/L 미만이어서 요오드 결핍으로 진단되는 비율은 15.22%이었고, 요오드 섭취 과잉으로 진단되는 300 μg/L 이상인 대상자는 48.16%이었다.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은 평균 878.71 μg/L이었고, 요오드/크레아티닌은 589.00 μg/g이었으며, 요오드/크레아티닌은 30–45세 연령군이 15–18세, 19–29세 연령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이를 통한 요오드 섭취량은 273.47 μg/day,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을 통해 산출된 요오드 섭취량은 1,198.10 μg/day로, 두 조사방법에 의한 차이는 924.63 μg/day로 식이를 통한 요오드 섭취량보다 소변을 통해 산출된 요오드 섭취량이 더 높았다. 요오드 섭취량에 기여도가 높은 식품은 채소류, 어패류, 해조류 및 가공식품이었고, 요오드 섭취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HQ는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 적용 시 0.228이었고, 소변 중 요오드 함량이 1,000 μg/L 이상 시 평균 1.665로 1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다. 혈중 TSH는 2.14 mIU/L, free T4는 1.10 ng/L이었으며, 소변 중 요오드 수준과 HQ는 혈중 TSH 농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중 free T4 농도는 연령과 소변 중 요오드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국내 가임기 여성의 과반수는 요오드를 과잉 섭취하였고, 특히 상위 10% 정도는 HQ 1 이상으로 건강에 위험할 정도의 극단적인 섭취량을 보였다, 또한, 식이와 소변을 통해 산출된 요오드 섭취량 사이에 차이가 상당히 큰 것으로 보아 충분한 요오드 DB가 구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식이를 통한 요오드 영양상태를 평가하기보다는 소변으로 배출된 요오드 함량을 적용하여 요오드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며, 과잉의 요오드 섭취가 갑상샘질환 뿐만이 아니라 관련 질환의 유병율에 미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iodine intake based on ingestion levels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15–45 years old) using data from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Iodine intake was calculated using the 24 hours dietary recall method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The iodine nutrition database for the analysis of dietary iodine intake was constructed using the food composition database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the Ministries of Food and Drug Safety, China and, Japa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evaluation criteria and hazard quotient (HQ) calculated using biomonitoring equivalents (BE)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iodine intake. Results: Of the study subjects, 15.22% had a urinary iodine concentration level of less than 100 μg/L, which was diagnosed as deficient, and 48.16% had an excessive iodine concentration of over 300 μg/L. Urinary iodine concentration was 878.71 μg/L, iodine/creatinine was 589.00 μg/g, and iodine/creatinin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age of 30–45 years. The dietary iodine intake was 273.47 μg/day, and the iodine intake calculated from the urinary iodine excretion was 1,198.10 μg/day. Foods with a high contribution to iodine intake were vegetables, seafood, seaweed and processed foods. The HQ was 1.665 when the urinary iodine content was > 1,000 μg/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that the urinary iodine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dietary iodine intake, is more appropriate to evaluate the iodine statu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a comprehensive iodine database for Koreans has not been established.

      • KCI등재

        자일로바이오스를 함유한 설탕이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정숙(Lee, Jung-Sug),김아름(Kim, A-Reum),남혜경(Nam, Hye-kyoung),경명옥(Kyung, Myungok),조성은(Jo, Sung-Eun),장문정(Chang, Moon-Jeong)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1

        본 연구는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젊은 여성의 변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29세 여성 31명을 대상을 이중맹검법을 적용하여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시료 (XBS, n = 15)와 7% 자일바이오스 함유 설탕을 포함한 커피믹스 시료 (XBS coffee mix, n = 16)를 1일 2회씩 6주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료 섭취 결과 배변 횟수는 시료 섭취 전 XBS 2.13회/주, XBS coffee mix 1.56회/주에서 시료 섭취 1주차부터 증가하여 시료 섭취 6주차에는 각각 3.73회, 3.56회로 증가하였다. 또한 XBS와 XBS coffee mix 시료 모두 섭취 후 배변의 양, 복부 잔변감, 복통의 증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고, 변비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CSS 점수 역시 시료 섭취 전 XBS 10.53점, XBS coffee mix 10.75점에서 시료 섭취 후 1주차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시료 섭취 6주차에 XBS 7.22점, XBS coffee mix 6.51점으로 3점 이상 낮아졌다. 즉, 시료 섭취 전에 비해 시료 섭취 후 유의적으로 CSS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보아 7% 자일로바이오스 함유 설탕 섭취가 변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서 배변 및 변의 상태를 평가한 것으로 화학적 지표성분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한계는 존재하나 설탕보완재 역할을 지닌 자일로바이오스를 7% 정도 설탕에 첨가할 경우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시판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에 기능성 감미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xylobiose-sugar mixture intake on defecation frequency and constipation symptoms in 31 young women with constipation. Methods: Thirty-on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nd subjects in each group were administered 10 g of a 7% xylobiose-sugar mixture (Experiment 1: XBS, n = 15) or 10 g of a 7% xylobiose-sugar mixture containing coffee mix (Experiment 2: XBS coffee mix, n = 16) twice per day for 6 weeks. During the study, clinical efficacy was assessed by a daily diary record. The subjects recorded their defecation frequency and fecal characteristics. Results: During pretreatment week, mean defecation frequency of XBS subjects was 2.13 times/week, whereas that of XBS coffee mix subjects was 1.56 times/week. The mean defecation frequencies of XBS and XBS coffee mix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to 3.73 times/week (p < 0.05) and 3.56 times/week by week 6 (p < 0.05),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either XBS or XBS coffee mix, patients presen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amounts of stool, feelings of residual stool leftness, and abdominal pain symptoms (p < 0.05). The total constipation scoring system (CSS) for diagnosing constipation symptom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XBS group (10.53 score vs 7.22 score) and in the XBS coffee mix group (10.75 score vs 6.51 score) after 6 weeks. Improvement due to intake of 7% xylobiose-containing sugar seemed to las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onclusion: The addition of approximately 7% xylobiose to commercially available sweeteners has been shown to improve constipation.

      • KCI등재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Jung-Sug Lee),황지윤(Ji-Yun Hwang),권세혁(Sehyug Kwon),정해랑(Hae-Rang Chung),곽동경(Tong-Kyung Kwak),강명희(Myung-Hee Kang),최영선(Young-Sun Choi),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6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학령기 아동 대상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 41문항 (식품섭취 영역: 20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 21문항)을 개발하였다. 학령기 아동 260명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문항과 1일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별 점수와 식사섭취 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성이 높은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학교 유형별로 층화추출된 초등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0개 항목,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 계수를 활용하여 5개 요인별 가중치와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학령기 아동용 영양지수를 위한 5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 이었다. ‘균형’ 요인에는 과일, 흰 우유, 콩이나 콩제품, 생선류, 고기류 섭취 빈도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요인에는 끼니별 채소 반찬 섭취, 반찬 골고루 먹기, 편식의 3개 평가항목이, ‘절제’ 요인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음료, 가공 육류, 라면, 카페인 음료, 길거리 음식 (학교 앞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평가항목이, ‘실천’ 요인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는 빈도, 숨이 찰 정도의 운동 빈도 3개의 평가항목이, ‘환경’ 요인에는 아침식사 빈도,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하기의 3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C) 평균 점수는 65.7점이었고, 요인별 점수는 균형 66.4점, 다양 67.0점, 절제 55.4점, 환경 75.3점, 절제 69.2점이었다. 영양지수와 각 요인별 등급은 전국단위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 to 100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50 to < 75 백분위의 경우 ‘중상’ 등급, 25 to < 50백분위의 경우 ‘중하’ 등급, 0 to < 25 백분위의 경우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 점수가 72.4–100점의 경우 ‘상’ 등급, 65.8–72.3점의 경우 ‘중상’ 등급, 59.2–65.7점의 경우 ‘중하’ 등급, 65.7점 미만의 경우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는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실천, 환경 요인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고, 상대적인 영양지수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가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는 초등학생들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교육사업, 영양정책의 효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for evaluating th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Methods: The NQ-C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3 stage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food behavior checklist (FBC) items of the NQ-C were derived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ilot survey, 2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8 second graders and 132 fifth grader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 well as 24-hour dietary intakes,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and survey team staff, if required. Based on the pilot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checklist items were reduced from 41 to 24. A total of 20 items for NQ-C were finally selected from results generated from 1,144 nationwide samples surveyed. Construct validity of the NQ-C was assessed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near Structural RELations. Results: Analyses of the exploratory factors of NQ-C identified that 5 dimensions of diet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ccounted for 46.2%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C and 5-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btained weights of the FBC items.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NQ-C is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nutrition adequacy,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이정숙(Lee, Jung-Sug),강명희(Kang, Myung-Hee),곽동경(Kwak, Tong-Kyung),정해랑(Chung, Hae Rang),권세혁(Kwon, Sehyug),김혜영(Kim, Hye-Young),황지윤(Hwang, Ji-Yun),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5

        본 연구는 3~5세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어린이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38개 후보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후보 평가항목 중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잘 반영해 주는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어린이집 3~5세반 100명의 부모/보호자를 대상으로 식사섭취 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항목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다양성,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평가항목과 영유아 식생활지침과 어린이 급식관리지침서 영양관리기준에 근거하여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영양지수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집 목록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 어린이집을 기본 층화변수로 5개 권역을 설정하여 어린이집 수를 할당하고 어린이집 당 약 10명을 표본으로 하여 총 41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정적 요인분석에 의해 영양지수 구조 모형에 포함된 평가항목은 14개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영양지수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전문가 자문에 의한 요인 검토와 조정을 거친 결과 영양지수는 3-factor structure로서 균형, 절제, 환경의 3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균형’ 영역에는 콩제품, 생선, 고기, 채소, 흰 우유 섭취의 5개 평가항목, ‘절제’ 영역에는 가공육류, 가공음료, 과자류, 패스트푸드 섭취의 4개 평가항목, 그리고 ‘환경‘ 영역에는 아침식사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 식사 전 손씻기, 바른 식생활을 위한 노력 정도, TV시청·스마트폰·컴퓨터 사용시간 (screen time)의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영역별 가중치는 균형 0.45, 절제 0.30, 환경 0.25로 설정하였으며, 영역 내 항목 가중치는 표준화 경로계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국 3~5세 취학전아동 (n = 412명)의 NQ-P 점수는 평균 60.64점 (중앙값: 60.84점, 최소값: 34.99점, 최대값: 88.72점)이었고, 영역별 평균 점수를 보면 균형 60.49점, 절제 51.49점, 환경 71.66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Q-P는 14개 문항의 체크리스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수 점수는 물론, 균형, 절제, 환경의 3개 영역 (요인)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영양지수 점수와 영역 점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상대적인 NQ-P 등급을 부여하고,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Purpose: Screening of preschool-age children for nutrition programs to improve dietary intake and behaviors requires cost-effective and easily administered validated assessment t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caregiver-administered instrument for measuring diet quality and behaviors of preschoolers as a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Methods: Development of NQ-P was carried out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24-h dietary record was selected as the gold standard reference tool. The 38 items of the NQ-P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parents who recorded 24-h dietary intakes of 100 responders aged 3~5 yr.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questionnaires.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20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The 412 nationwide subjects sampled through daycare centers completed the 20-item checklist questionnai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P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After analyses of exploratory factors, NQ-P items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diet (balance, moderation, and environment). The three-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49.28%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P and three-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by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preschoolers" NQ would be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nutrition adequacy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reschoolers.

      • KCI등재

        한국 성인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Lee, Jung-Sug),김혜영(Kim, Hye-Young),황지윤(Hwang, Ji-Yun),권세혁(Kwon, Sehyug),정해랑(Chung, Hae Rang),곽동경(Kwak, Tong-Kyung),강명희(Kang, Myung-Hee),최영선(Choi, Young-Sun)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4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성인 대상 영양지수 (NQ for adults)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성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및 포커스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성인 368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을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고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성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5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성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1개 항목,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후 추정된 경로계수를 적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성인 NQ를 위한 4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25, 절제 0.30, 식행동 0.20이었다. ‘균형’영역에는 과일, 달걀, 콩이나 콩제품, 우유 또는 유제품, 견과류, 생선류 섭취 빈도 및 아침 식사 빈도 7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에는 채소 반찬, 물 섭취 빈도와 편식 수준 3개 항목이, ‘절제’ 영역에는 패스트푸드, 라면류,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당음료 섭취 빈도, 야식, 외식이나 배달음식 섭취 빈도 6개 항목이, ‘식행동’영역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건강한 식습관 노력 정도, 건강 인지 수준, 30분 이상 운동한 빈도, 음식 먹기 전 손씻기 5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 평균점수는 53.2점 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균형 38.6점, 다양55.9점, 절제 67.1점, 식행동 47.0점 이었다. NQ를 기준으로 58점 이상인 경우 ’양호’로, 58점 미만인 경우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인 NQ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NQ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및 식행동 영역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이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성인 NQ는 체계적인 영양관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교육사업 및 정부의 영양정책 효과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NQ) to assess overall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s of Korean adults. Methods: The NQ was develop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items of the NQ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 2013)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A total of 368 adults (19 ~ 64 years) participated in a one-day dietary record survey and responded to 43 items in the food behavior checkli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esponses to the checklist items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adults were calculated. Item reduction was performed,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053 nationwide adult subject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velop a final NQ model. Results: The 21 checklist items were used as final items for NQ.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our factors: nutrition balance (seven items), food diversity (three items), moderation for the amount of food intake (six items), and dietary behavior (five items). The four-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41.8% of the total variance. Indicator tests of the NQ model suggested an adequate model fit (GRI = 0.9693, adjusted GFI = 0.9617, RMR = 0.0054, SRMR = 0.0897, p < 0.05), and item loadings were significant for all subscales.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 and four-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Q for adults would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adult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Further investigations of adult NQ are needed to reflect changes in their food behavior, environment,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