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악 및 하악골에 식립된 치근형 골내매식체와 주위골조직의 반응에 관한 조직학적 비교연구

        이재황,허성주,조인호,Lee, Jae-Hwang,Hur, Song-Ju,Cho, In-Ho 대한치과보철학회 199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29 No.2

        Installation periods of implants in Mx. and Mn., is related to pattern of bone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istologic response in osseointegration at root formed implant-tissue interface at Mx. and Mn., the other is comparison of osseointegration level between Mx. and Mn. at 8 weeks. In this study, unilateral upper & lower molars were extracted in dog. After allowing to heal for 4 months, two kind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Swedevents, Corevents-were inserted in dog. The specimens were treated by conventional method. The interface zones between bone and implant were investiigated using X-rays, light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Around titanium implants that were installed in Ma and Mn., Radio lucencies don't exist 2. There are not inflammation and mobility of titanium implants that were installed in Mx. and Mn. Most of implant surface are covered by bony tissued partly by bone-marrow tissues. 3. Titanium implants installed in Mx, in contrast to same implants in Mn., shows more coverage by bone marrow tissue and lack of apposition lamellar bone, which lead to the assumption that bone formation in Mn. is faster than in Mx.

      • 새만금 경축순환농업단지의 적정 가축 사육두수와 조사료 재배면적의 관계 분석

        이재황,이승헌,최은희,김병기,Lee, Jae-Hwang,Lee, Seung-Heon,Choi, Eun-Hee,Kim, Byeong-Ki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1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8 No.1

        The suitable area of forage crop field was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all of the liquied manure would be used to nutrient of crops at the Saemangeum crop-livestock complex. At first, Korean cattle and dairy cattle were selected and swine was excluded becausr of high pollution availability. When forage crop was calculated from nutrient amounts of manure of livestocks and standard applicable fertilizer quantity to the selected forage crops, 232ha (278ha including infrastructure part)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in case of 2500 heads of Korean cattle and 300 heads of dairy cattle were raised. From the result by that calculated ares (232ha) to forage crop feeding could be possible to the Korean cattle and dairy cattle feeding using TDN index, more than 217ha of forage crop fields would be satisfied nutritionally.

      • KCI등재

        현행 법정홍수기 타당성 검토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용담댐 사례

        이재황,김기주,김영오,Lee, Jae Hwang,Kim, Gi Joo,Kim, Young-Oh 한국수자원학회 202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7 No.5

        Korea prepares for potential floods by designating June 21st to September 20th as the flood season. However, many dams in Korea have suffered from extreme floods caused by different climate patterns, as in the case of the longest consecutive rain of 54 days in the 2020's flood season. In this context, various studies have tried to develop novel methodologies to reduce flood damage, but no study has ever dealt with the validity of the current statutory flood season thus far. This study first checked the validity of the current flood season through the observation data in the 21st century and proved that the current flood season does not consider the effects of increasing precipitation trends and the changing regional rainfal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deal with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ed seven new alternative flood seasons in the research area. The rigid reservoir operation method (ROM) was used for reservoir simulation, and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was used to derive predicted inflow. Finally, all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ased on whether if they exceeded the design discharge of the dam and the design flood of the river. As a result, the floods in the shifted period were reduced by 0.068% and 0.33% in terms of frequency and duration, and the magnitude also decreased by 24.6%, respectively. During this period, the second evaluation method also demonstrated that flood decreased from four to two occurrenc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s expect a formal reassessment of the flood season to take place,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the preemptive flood response to changing precipitation patterns. 한국은 6월 21일부터 9월 20일까지를 법정홍수기로 지정하여 잠재적 홍수에 대비하여왔다. 하지만 2020년 54일의 역대 최장 장마 사례와 같이 과거와 다른 기후양상으로 인한 극한 홍수로 피해를 겪고 있다. 그동안 홍수 피해 저감을 위한 연구는 매우 많았지만, 법정홍수기가 앞으로도 유효할지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적 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관측 자료를 통해 현행 법정홍수기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행 법정홍수기가 강수량 증가 추세와 지역별 강수 특성의 강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에 대한 7개의 새로운 홍수기 후보군을 제안하였고, 이의 타당성을 모의 운영을 통해 분석하였다. 모의 운영 시 댐 운영룰 rigid operation method를, 댐 유입량 예측에는 long short-term memory model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홍수기 각 후보는 댐의 계획방류량과 하천의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느냐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첫 번째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홍수기 적용 시 초과 빈도와 지속시간이 각각 0.068%와 0.33% 감소되었으며, 크기 또한 24.6% 감소하였다. 두 번째 평가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역시, 홍수피해 발생 구간이 기존의 4회에서 2회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계기로 법정홍수기 재검토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져 새로운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강우 양상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길 기대한다.

      • 기후변화에 따른 한국주요목본 16종의 식물계절학 비교

        이재황 ( Lee-jae Hwang ),정영호 ( Jung-young Ho ),이재근 ( Lee-jae Geun ),이승연 ( Lee- Seung Yeon ),유영한 ( You-young H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본 연구에서는 목본식물 호두나무 등 16종의 식물계절학(Phenology)을 기후변화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야외환경인 대조구와 온도를 상승시킨 온도상승구, 온도를 상승시키고 CO<sub>2</sub>를 처리한 기후변화처리구 총 3가지 환경에서 생육시켜 잎눈 파열, 잎자루 형성 시기, 잎의 전체모양형성 시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고로쇠나무를 제외한 모든 목본이 온도상승구와 기후변화처리구간의 차이가 적었고 대조구보다 모두 형성이 빨랐다. 호두나무는 평균 20일빨랐으며, 단풍나무는 평균 7일 빨랐다. 화살나무는 파열만 10일 빨랐다. 튤립나무는 파열을 제외하고 2일 빨랐다. 물푸레나무는 모두 7일 빨랐다. 버드나무는 파열만 9일 빨랐다. 은사시나무는 평균 5일 빨랐다. 뽕나무는 평균 14일 빨랐다. 까치박달은 잎자루 형성을 제외하고 2일 빨랐다. 산사나무는 파열과 잎자루 형성이 2일 빨랐다. 섬개야광나무는 파열은 2일, 나머지는 7일 빨랐다. 히어리는 평균 7일 빨랐다. 제주신갈나무는 파열은 14일, 잎자루 형성은 5일 빨랐다. 층층나무는 평균 7일 빨랐다. 아까시나무는 파열을 제외하고 7일 빨랐다. 고로쇠나무는 대조구가 기후변화처리구보다 파열만 6일 빨랐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호두나무등 15종의 목본식물들은 온도증가와 CO<sub>2</sub>처리에 의해 빠른 생장이 일어나는 것을 알았고 고로쇠나무는 파열만 대조구에서 기후변화처리구보다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IC 마스크 레이아웃 압축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모델

        이재황(Jae Hwang Lee),전주식(Chu Shik Jhon) 한국정보과학회 1993 정보과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마스크 레이아웃 압축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전문가 시스템 모델은 마스크 오브젝트에 대한 접근방안, 마스크 레이아웃 추상화, 마스크 레이아웃 지역화, 규칙적용 제어전략 등 마스크 레이아웃 압축 지식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모델의 유용성을 보이고자, 제안된 모델 하에서 마스크 레이아웃 압축 지식의 예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전문가 시스템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마스크 레이아웃 압축 전문가 시스템을 시험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문가 시스템 모델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knowledge-based expert system model for mask layout compaction. Our model addresses effective means of representing mask layout compaction knowledge, such as access methods to mask objects, mask layout abstraction, mask layout localization, and explicit definition of rule application control strategy. In order to show the validity of our model, we devise a mask layout compaction system using an existing expert system programming tool.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mask layout compaction problem can be solved under the framework of our expert system model.

      • KCI등재

        경기도 일부 공원묘역의 지하수 오염가능성

        이재황(Jae-Hwang Lee),이준수(Jun-Soo Lee),김계훈(Kye-Hoo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는 묘역의 운영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43개 묘역 중 28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 묘역에 일곱가지의 수리지질학적 인자들(지하수위, 지하수 함양량, 대수층 매질, 토양 매질, 지형 구배, 비포화대 구성물질, 대수층의 수리전도도)을 사용하여 지하수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는 DRASTIC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지 DRASTIC 지표는 82 126 범위였고 평균은 113.99(?1.48)이었다. 연구대상지인 경기지역의 묘역의 DRASTIC 지표는 북부가 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DRASTIC 지표는 동일한 매장률과 매장밀도를 가지는 지역들 간에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이 연구는 DRASTIC 모델을 이용하여 묘역의 지하수 오염가능성을 평가할 때 모델 적용에 필요한 일곱 가지 기본 인자뿐 아니라 매장률과 매장밀도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ulnerability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the some cemeteries in Gyeonggi Province. Twenty-eight out of 43 cemeteries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RASTIC model was applied to those cemeteries, and the reliance of the model was assessed using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target areas. The DRASTIC model was used for the assessment of the potential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hydrogeological factors. Seven factors including depth of water, net recharge, aquifer media, soil media, topography, impact of the vadose zon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aquifer were assessed. The DRASTIC index of the study area ranged from 82 to 126 with an average value of 113.99(±11.48). The DRASTIC index was relatively greater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an that in the southern area. The DRASTIC index was similar for the areas with the similar burial rate and burial dens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urial rate and burial density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7 basic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of the cemeteries.

      •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토양탄소저장 성과지표의 현장적용

        이재황 ( Jae-hwang Lee ),김재옥 ( Jae-ok Kim ),이소진 ( So-jin Lee ),이승헌 ( Seung-heon Lee ),박치형 ( Chee-hyurng Park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은 농업인의 환경보전 인식제고 및 토양, 용수, 생태 등 농업환경 보전·개선을 위한 계획수립 및 이행활동을 지원해 주는 사업이다. 사업의 효과분석을 위해 현재 3가지 성과지표(인식도 개선, 생물다양성 증진, 온실가스 감축)를 활용하여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과지표 중 온실가스 감축 분야의 이행활동에 따른 현장적용 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성과지표는 환경보전 영농활동 전·후의 토양탄소 저장량을 비교하여 평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 농업분야 토양탄소 저장량 산정에 관한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 등(2021)이 제시한 ‘농경지토양 유기탄소 저장량 계산기’를 준용하여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 시행 지구의 토양탄소 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농경지 토양 유기탄소 저장량 계산기는 IPCC Tier1 방법에 따라 토양탄소 저장량이 계산되며, 계산식에 활용되는 토지이용, 관리체계, 유기물 시용 인자의 축적계수도 IPCC에서 제시하고 있는 계수를 준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업환경 보전프로그램 중 토양탄소 저장에 영향을 미치는 이행활동은 ‘농업부산물 환원’, ‘녹비작물 재배 환원’, ‘경운 최소화’ 등 3가지 활동이 포함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탄소저장과 관련된 환경보전형 영농활동을 실시했던 7개 지구(사업지 a∼g)를 선정하여 이행활동 전·후 탄소저장량을 비교하였다. 사업지 a지구는 3개 활동을 모두 수행하였으며, 사업지 b, c, d, e, f지구는 농업부산물 환원과 녹비작물 재배 환원 2개 활동, 사업지 g지구는 녹비작물 재배 환원을 제외한 2개 활동을 수행하였다. 각 지구별 이행활동을 수행한 총 합계면적은 각각 20.2 ha, 7.8 ha, 9.5 ha, 23.7 ha, 47.7ha, 18.6 ha, 88.4 ha였다. 사업지 g지구는 타 지구들에 비해 토양탄소 저장을 위한 이행활동 면적이 넓었고, 특히, ‘경운 최소화’ 활동이 총 이행활동 면적의 50%(43.8 ha)를 차지할 정도로 타 활동에 비해 이행비율이 높았다. 각 지구별로 토양탄소 저장량은 이행활동 전 대비 각각 5.5%, 8.7%, 10.0%, 15.5%, 20.0%, 10.0%, 33.0% 증가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전반적으로 계산식에 활용되는 인자별 계수간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참여면적의 합에 의해 토양탄소 저장량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사업지 f지구(18.6 ha)가사업지 c지구(9.5 ha)에 비해 이행활동 면적이 약 2배가량 넓었으나 토양탄소 저장량 증가비율은 10.0%로 동일하였다. 이는, 사업지 f지구의 경우 탄소축적계수가 낮은 밭과 과수원의 분포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연간 탄소저장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산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탄소저장량 계산기는 IPCC의 기본계수를 사용하여 활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우리나라에 실정에 맞는 계수의 적용이 요구되며 각 이행활동에 따른 개별 탄소저장량 산출방식 등의 추가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참여마을 토양탄소저장 및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

        이재황 ( Jae-hwang Lee ),김재옥 ( Jae-ok Kim ),이소진 ( So-jin Lee ),김이부 ( Eve Kim ),박치형 ( Chee-hyurng Park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사업은 농업인과 주민에게 친환경 영농활동 및 마을 단위 환경관리 활동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사업의 효과분석을 위해 참여마을별로 생물다양성 등급, 주민인식도 변화, 온실가스 감축 3가지 지표를 매년 분석해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참여 마을을 대상으로 농업환경보전 이행활동에 따른 토양탄소저장 및 온실가스 감축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을 위해 현 등(2021)이 제시한 ‘농경지토양 유기탄소 저장량 계산기’를 개선·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기존 계산기와 비교하여 일부 이행활동에 대해서는 Tier 2(국가고유 계수) 수준의 계수를 활용하였고, 탄소감축이 가능한 추가 활동도 계산식에 반영하였다. 또한, 이행활동에 따른 탄소저장 중심의 기존 계산방식에서 온실가스 감축량 계산기도 추가 반영하여 개선하였다. 토양탄소 저장효과와 관련된 이행활동은 ‘농사 후 남은 농업부산물 잘라 밭 토양환원’, ‘휴경기 녹비작물 재배 및 밭 토양환원’, ‘경운 최소화’, ‘바이오차 투입’ 4개 활동이었으며,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관련된 활동은 ‘완효성 비료사용하기’, ‘논 가을갈이’ 2개 활동을 포함하였다. ‘22년도 25개 참여마을의 중 탄소저장 및 온실가스 감축 관련 활동을 이행한 면적은 평균 27.1 ha였다. 이행활동 중 농사 후 남은 농업부산물 잘라 밭 토양 환원하기가 참여 지구수(22지구)가 많고 참여면적(280 ha)도 넓었다. 그 외 완효성 비료 사용하기(19지구, 88 ha)와 경운최소화(10지구, 30 ha)의 이행비율이 타 활동에 비해 높았다. 25개 마을의 총 탄소저장량은 3,145 tonCO<sub>2</sub>(평균 125.8 tonCO<sub>2</sub>)이었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은 395 tonCO<sub>2</sub>eq(평균 16 tonCO<sub>2</sub>eq)였다. 활동별로 농사 후 남은 농업부산물 잘라 밭 토양환원하기(1,706 tonCO<sub>2</sub>)와 경운 최소화(1,282 tonCO<sub>2</sub>) 활동의 탄소 저장량이 높았다. 메탄 감축에 효과가 있는 논 가을갈이 활동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이 388 tonCO<sub>2</sub>eq로 산출되었다. 현재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한 계수개발과 산정식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 실정에 맞는 계수개발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계산기는 지속적인 개선과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추가적인 농업분야 탄소감축을 위한 영농개선활동도 지속적으로 발굴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