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편성·운영·재구성을 제약하는 사항과 제약의 원인 연구

        이재창(Jaech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교육과정을 편성·운영·재구성하는 가운데 겪는 제약사항들의 종류와 그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교사의 학교급, 다문화교육과정 관련 접근법, 관련 전문성 신장 기회, 그리고 실행 수준에 따른 제약사항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제약사항들이 발생하는 원인을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초·중·고교 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명4, 중학교 교사 3명, 고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 결과의 원인을 각각 살펴보았다.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모든 학교급에서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짓는 제약을 겪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중학교 교사는 학교교육과정 지침, 고등학교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로 인한 제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기여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교육청의 지시, 부가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한다는 점과 국가수준 교육과정 지침, 사회적 운동 접근법을 활용하는 교사는 부장교사의 지시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교육 경력과 관련 업무담당경력은 교육지원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교육과정 연수이수시간과 타문화를 한국식으로 한정하는 제약이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제약하는 사항들은 각기 학교 구조적, 맥락적 원인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다문화교육과정에 특화된 연수를 제공하되,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보다 유익한 연수가 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내용, 실천 사례, 교수학습자료, 체험 활동 지원을 함께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과정을 학교교육 평가계획에도 반영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auses of constraint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ile organizing, operating, and restructur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of the constraints depending on each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the opportunity to develop expertise, and the level of practic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auses of major constraints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Questions to be surveyed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rior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fterw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r analysis. And the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teacher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urvey results. Results Regard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highest rate of responses was that all schools experienced re-strictions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Korean style.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nd restric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approach to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and related work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Support Office's guidelin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ning time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 restriction that limited other cultures to the Korean style. About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was examined that the constraints stemmed from school structural and contextual causes, respectively.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specialized i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but provide incentives fo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provide practical content, practice ca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make the training more beneficial.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reflect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evaluation plan is needed.

      • KCI등재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을 통한 대학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재창(Jaech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Schwab의 실제적 접근을 대학의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해봄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Schwab의 실제적 접근법을 통해 모듈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절충적 기예로서 선행연구 분석, 관련 교육과정 개발 이론 분석, S대 사례에 적합한 이론 적용 및 수정 등을 실시하였다. 둘째, 실제적 기예로서 S대 협의회를 통해 숙의 과정을 거쳤다. 셋째, 전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실제적 접근 적용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를 통해 S대 모듈형 교육과정 수요조사 결과 활용법, 전체 설계안 템플릿, 수업계획서 양식, 전반적인 운영 관련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편 Schwab의 실제적 접근은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절충적 기예로서 이론 분석에 따른 시사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숙의를 실시하여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하지만 교육과정 개발 안건이 대학의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어야만 정식 숙의가 가능하다는 점, Schwab의 숙의 구성 기준과 절차를 각 대학이 모두 준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을 자세히 소개해주는 사례형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숙의 관련 지침을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by applying Schwab's practic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modular curriculum at university,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were explored. Methods First, as an arts of eclectic,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alysis of the theory of relat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ories suitable for S cases were carried out. Second, as an arts of practical, it went through the deliberation process through the S University council. Thir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pplying the practical in the development of a modular curriculum were analyzed through the overall case. Meanwhile, Schwab's practical approach show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alysis as an arts of eclectic in the development of a modular curriculum. And the applicability was shown in that useful result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deliberation. Results Through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tilization method of demand survey, overall design template, lesson plan form, and overall operation for the S university modular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that formal deliberation was possible only whe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genda was adopted as the university's official policy. In addition, it turned out to be a limitation that it was practically difficult for each university to comply with Schwab's the deliberation composi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case studies that introduce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odular curriculum in detail need to be further activat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additional discussion to help the deliberation-related guidelines be used flexibly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두 여성 상담자가 상담실에서 경험한 차별과 억압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이옥희(Lee, OkHee),이재창(Lee, JaeChang),백란(Baek, Ra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2 동서정신과학 Vol.25 No.1

        본 연구는 두 여성 상담자가 상담을 수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차별과 억압을 경험하였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연구협력자인 두 여성 상담자는 자기 개인의 경험을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 분석하기에 적합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여성으로서의 ‘나’는 어떻게 살아왔는가?>, <차별과 억압을 경험하다>, <차별과 억압에 눈을 떠가다>, <차별과 억압을 살아내가다>인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가 자신의 전 생애 삶에서 누적되어 온 차별과 억압에 대해 눈을 떠가는 성찰의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삶의 전환점을 이해하게 되면서, 세상을 새롭게 지각하고 깨닫는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여성 상담자가 공적인 사회활동 장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을 사회정의 상담과 여성주의 상담에 기반하여,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탐구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상담자의 인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n depth that the two female counselors in counseling field experienced what kind of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in the course of their work life. To this en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counselor of a research collaborator by the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descriptive paper which is suitable for analyzing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for four large themes: <How did I live as a woman?>,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Awakening to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and <Living through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Through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explored how the researchers was awakening on the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accumulated throughout his life. It also reveals the process of perceiving and realizing the world anew by understanding the turning point of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explore the social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experienced by two female counselors in public social activities through a cooperative autoethnography descriptive method based on social justice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human rights of women s counselors will be continued.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made.

      • KCI등재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 존중감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형순(HyenogSoon Lee),이재창(JaeChang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 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취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특히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가운데 가족 스트레스와 학업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 존중감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도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는 건강한 자아 존중감은 외부 자극이나 변화에 대한 개인의 반응, 즉 일상의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자아 존중감 형성과 정체성 확립이 삶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ampled 312 student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effects of job stres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dicates that job stress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hat is,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Second, the study of effects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ndicates that self-esteem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hat is,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t is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self-estee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a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훈(Sanghoon Park),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 concept by considering the academic meaning of major abilit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odel for measuring major ability. Method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interview, the concept of major ability was defined and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Second, after applying to actual classes,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surveys and FGI interview.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Results The detail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jor ability was defined as ‘knowledge or skills within the major that are observable and mobilized to solve microscopic problems as a part of major competency’. Second, an ABLE model(4 steps) was developed and validity was secured. Third, sub-elements of each stage of the ABLE model were established and validity was secur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s major ability were presen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전공능력에 대한 학술적 의미를 고찰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에 적합한 모델 및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방법 전공능력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전공능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 모델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을 통한 1차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수업 적용 및 적용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와 초점집단면접(FIG)을 통한 2차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최종 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능력을 ‘전공역량의 일부분으로서 겉으로 관찰가능하며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원되는 전공 내 지식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전공능력 측정을 위한 ABLE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Ability), 전공능력 설정(Base), 전공능력 배양(cuLtivation), 전공능력 측정(Estimation)의 4단계가 대학의 전공능력을 설정하고 측정하기 위한 절차 및 방법으로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셋째, ABLE 모델의 각 단계별 하위요소를 설정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 단계에서는 ‘내⋅외부 환경분석’, ‘산업전망 및 인력수급 현황 분석’, ‘주요 취업 분야 직무 분석’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설정 단계에서는 ‘전공능력 모델링(후보군 선정 및 분류)’, ‘전공능력의 정의 및 기술 내용’ 2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배양 단계에서는 ‘전공능력별 교과목 매칭’, ‘전공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내용 도출’, ‘전공교육과정 재구성’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측정 단계에서는 ‘수행평가’, ‘학생자가진단’ 2개의 하위요소가 최종 확정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전공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천세구(Chun Segu),채성기(Chae Sungki),이재창(Lee Jaech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지역의 육군 단기복무사병 1 개 중대 규모(150명)와 충청도 B지역의 육군 단기복무사병 1개 중대 규모 (153명)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가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또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군 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으면 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군 생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litary life stress of soldiers on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adjust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targeted one company of short-service army soldiers(150) in A area of Gyeonggi Province and one company of short-service army soldiers(153) in B area of Choongcheo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litary life stress of soldiers significantly influenced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adjustment too. Seco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adjustment. This means that even though military life stress is high, soldiers can adjust to military life better when they receive a lot of social suppor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in addition to constant effort to get rid of military life stress for improving military life adjustment of soldiers.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도덕과 교과서 시범 단원 분석 연구

        최혜미(Choi Hyemi),홍후조(Hong Hoo-Jo),임재일(Lim Jaeill),이재창(Lee Jaechang),한진호(Han Jinho),백경선(Baek, Kye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도덕과 ‘핵심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시범 단원’을 2015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학습 완결형 교과서’와 ‘핵심성취기준에 따른 내용 적정화 교과서’라는 관점에서 분석 논의한 것이다. 나아가 시범 단원 교과서가 도덕과 본래의 역할과 기능에 적합한지 검토하여,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범 단원은 교과서 본문, 참고서, 문제집 기능이 갖추어진 학습 완결 형 교과서로 평가되었으나, 교사가 자율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학생의 상호작용이 담 긴 활동이 부족하다고 지적되었다. 한편 핵심성취기준은 ‘단원’ 수준에서 모두 포함 되었고 심동적 영역의 비중이 인지적·정의적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각 ‘장’ 수준에서는 일부 핵심성취기준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거나 편중되어 있어 이를 교정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덕과는 학습자의 실천역량 강화가 중요한 교과이므로 체계적인 내 용 전개와 실천역량 함양을 위한 핵심성취기준 중심의 학습 완결형 교과서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모든 교과에 동일한 교육과정 총론 기준을 적용하기보다 교과 맞춤형 기준을 제시해야 바람직한 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onstration unit ‘core achievement standard-based ethic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5th grad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extbook completion learning system without requiring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extbook reductioning of educational content by core achievement standards’ reviewed in a context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urther, we tried to get implications about appropriate of ethics textbook development by looking over whether or not the demonstration unit is suitable for original role and function of eth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emonstration unit was evaluated to expanded completion textbook equipped the function of text of textbook, reference book, workbook, but pointed out to insufficiency of educ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Second, though including ‘core achievement standards’ and being of great importance to psychomotor domain tha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relatively in unit, some core achievement standards which are invisible in each chapter or focus on certain chapter should be modified. In conclusion, ethics should construct by core achievement standards-centric expended textbook for systematic developing content and cultivation of practical competency. It will be desirable textbook by suggesting customized standard according to nature of subject than applying general curriculum standard to all subject.

      • KCI등재

        교류분석이론의 이고그램 성격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활용 및 중독 경향

        홍성혁(SungHeuk Hong),백지현(JiHyun Baek),엄미아(MiA Um),이재창(JaeChang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현대의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높다. 스마트폰의 기능은 앱을 스토어에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화 되었다. 그러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형태도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격특성에 따라 스마트폰의 사용 경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K-KSEG(Kim s-Korea Standard EgoGram) 이고그램 검사지 및 스마트폰의 활용지수와 중독지수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성격 특성과 스마트폰 사용 행태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인과의 관계성 지표인 CP나 NP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활용에 부정적으로 반응하며, 합리성 지표인 A나 자신의 감정 및 욕구에 관한 지표인 FC, AC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활용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엄격하고 강한 가치관의 지표인 CP가 높은 사람이 오히려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의 눈치를 보는 지표인 AC가 높은 사람도 취약하였다. 그러나 합리성 지표인 A는 중독에 통계적으로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The proportion of smart phones in modern day life is very high. The functionality of smartphones has diversified as the ability to easily install apps from the store. The use of such a smartphone will also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usage tendency of smartphone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using K-KSEG(Kim s-Korea Standard EgoGram), smartphone technology quoti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CP or NP, which are indicators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 the more negative the respondents use the smartphone. The higher the level of FC and AC, which are indicators of their own feelings and desires, and A, which are indicators of rationalit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use of smartphones. Smartphone addiction was the most vulnerable person with high CP, which is an indicator of strict and strong sense of value. However, the rationality index, A, showed a statistically inadequate relationship to addiction. People with high CP and AC should be careful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 간접적 소통을 통한 감성 기반 앱세서리 제안

        정규호(Gyuho Jung),최혁진(Hyeokjin Choi),남궁경훈(Gyunghoon Namkoong),김현(Hyun Kim),이소영(Soyoung Lee),이재창(Jaechang Lee),신창범(Changbeom Shin),전기석(Kiseok Je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및 도시화로부터 야기되는 부모·자식 간의 소통 부재와 이에 따른 부모세대의 상실감 및 우울증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실버산업의 확장과 연대하여 성장세에 있는 앱세서리와 패키지가 결합된 팹세서리를 최종형태로 다루었고 이와 연동되는 앱세서리 서비스를 개발하여 상호간 간접적 소통의 증대를 꾀하였다. 노년층에게 친숙한 자개형태의 디자인과 소통의 매개를 가족들의 사진으로 기획하여 실버세대의 행동유도를 이끌어내고자 하였으며, 동적감지 센서를 통한 업데이팅 여부 수신으로 자녀가 부모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2차적 상호 교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첨단 기기조작의 숙련도가 현저히 낮은 노년층을 위한 직관적인 UI와 조작 패널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UX 컨셉을 제안하였다. 패키지와 일체화 된 기기구성으로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위 결과물은 자연친화적이며 기업적 경쟁력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 내용은 특허 출원 중에 있으며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사용자 경험측면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In this study we have purposed to decrease prime age’s deprivation and depression from aging society’s problem and urbanization. In line with expansion of silver industry, we have developed smart device appcessory which combined package and service for increase indirect communication mutually. We have induced senior’s action from friendly design and sharing family’s picture, We also using dynamic detection updating for junior’s relief. So we has built secondary interactive communicating system. To propose convenient UX concept, we developed intuitive interface and operation panels. And the product also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ompetitively from semi-permanent using. This studies are in patent level, We also verify capability of user experience by making proto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