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세대 AR 플랫폼 하드웨어 요구사항 도출을 위한 모바일 AR 앱 성능 분석

        오기석(Kiseok Oh),손샘(Sam Son),신훈(Hoon Shin),박연홍(Yeonhong Park),이재욱(Jae W. Lee)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Mobile augmented reality (MAR) has seen remarkable growth to draw increasing attention from industry as a new killer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ain processes of AR applications through system performance analysis from a microarchitecture perspective for MAR apps running on a smartphone host system, and to assess the adequacy of today’s hardware system for those workloads. Thus,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the performance of AR workloads and helps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future AR platform design.

      • KCI등재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s 결합기를 이용하여 선형성과 효율을 향상한 outphasing E급 전력 증폭기

        은상기(Sang-Ki Eun),조춘식(Choon Sik Cho),이재욱(Jae W. Lee),김재흥(Jaeheung Kim)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12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s(CRLH-TL) 결합기를 이용한 outphasing E급 전력 증폭기를 2.4 ㎓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하였다. CRLH 전송 선로가 포함된 전력 결합기는 2차와 3차 고조파를 억제하여 선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의 outphasing 전력 증폭기가 갖고 있던 출력 손실 문제를 해결하여 PAE 측면에서도 이점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14 ㏈m의 전력이 인가되었을 때 31.8 ㏈m의 최대 출력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이 때 PAE는 약 50 %로 확인되었다. 선형성 향상을 확인하기 위한 IMD3 측정에서는 일반적인 기존의 λ/4 전송 선로를 사용하는 outphasing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약 5 ㏈ 정도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outphasing class-E power amplifier using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s(CRLH-TL) is proposed at 2.4 ㎓. The power combiner including CRLH-TL is designed to suppress the second and third harmonics to increase linearity and the output problem of the conventional outphasing amplifier is also solved by the proposed outphasing amplifier. So the PAE is improved. The measured maximum output power at the fundamental frequency shows 31.8 ㏈m, whereas the PAE shows 50 % with 14 ㏈m input power excited. The IMD3 is improved by 5 ㏈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outphasing amplifier.

      • KCI등재

        BPM을 이용한 안테나 배열의 집속 빔 전파 해석

        김재흥,조춘식,이재욱,Kim Jaeheung,Cho Choon Sik,Lee Jae W. 한국전자파학회 200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6 No.5

        A method of calculation fur propagating and focusing of focused beams generated in antenna arrays, using BPM(Beam Propagation Method), is present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diffraction theory, the beam focusing and Propagation is studied specially for the case of the antenna way fed by the Rotman lens that is able to focus microwave power on its focal arc or generate multiple beams. There are difficulties in performing a full-wave simulation using a commercial EM simulation tool for propagating and focusing of beams because of the structural complexity and the feeding assignment of the antenna array. Therefore, as an alternative solution, the BPM is presented to calculate the beam propagation from the aperture-type antennas. From the point of view of optics, the propagations of the lens have been simplified from the Fresnel diffraction integral to the Fourier transform. Using Fourier Transform, a beam propagation method is developed to show improvement of the resolution by controlling the wavefront of wave Propagating from an aperture-type antenna array. The beam width(or spot size) and the intensity are calculated for a focused beam propagating from an array having $10\lambda$ of its size. For the beams with $20\lambda,\;30\lambda$, and $50\lambda$ of geometrical focal length, the half-power beam widths(or spot size) are about 1.1\lambda,\;1.3\lambda,\;and\;1.9\lambda$ respectively. 본 논문에서는 빔 전파법(BPM: Beam Propag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안테나 배열에서 발생된 집속된 빔의 전파 또는 집속 현상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물 쪽(object side)으로 적응적 집속을 위해 로트맨 렌즈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회절이론을 바탕으로 집속 현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 EM simulation tool을 이용하여 분석하기에는 구조물의 복잡성과 집속된 빔의 입전 설정 등 몇 가지 어려움이 있기에 이의 차선책(alternative solution)으로 푸리에 회절 이론에 기초한 빔 전파법을 이용하여 집속 현상을 계산하는 방법인 BPM을 소개하였다. 즉, 개구면을 통한 빔 전파는 Fresnel Diffraction Integral(FDI)에서 푸리에 변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BPM으로 발전시켜 개구면 형(aperture-type) 안테나로부터 전파되는 파의 빔 폭(beam width or spot size), 세 기(intensity or gain), 그리고 실제 초점거리를 산출하였다. $10\lambda$의 배 열 크기를 갖는 안테나에 대해 $20\lambda,\;30\lambda$, 그리고 $50\lambda$의 기하 초점거리(geometrical fecal length)를 갖는 파에 대해 BPM을 통해 계산한 결과, 빔 폭은 차례로 1.1\lambda,\;1.3\lambda,\;1.9\lambda$이 산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