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극 부호 신뢰 전파 비트 반전 알고리즘의 저지연 복호 방법

        이용제(Yongje Lee),이우석(Useok Lee),힌트사(H. H. Fisseha),선우명훈(Myung Hoon Sunwoo)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극 부호 신뢰 전파 반전 복호 알고리즘은 기존의 신뢰 전파 복호 알고리즘의 성능보다 우수한 오류정정 성능을 갖는다. 하지만,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복호 지연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호어 분할 및 낮은 신뢰도 비트 추정에 기반한 저지연 복호 방법을 제안한다.

      • 글씨에서 피어나는 활자

        이용제(Lee Yongje)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20 글짜씨 Vol.- No.19

        초록활자는 글씨의 역할을 이어받은 것으로, 초기 활자는 시대정신과 사회 구성원의 정서가 반영된 글씨체를 그대로 본떠 만들었다. 한글 활자체도 사회 구성원이 반복해 쓰면서 형성한 글씨 미감을 반영한 필서체와 글씨의 특징을 삭제 또는 강조한 인서체가 있다. 조선왕조의 쇠락을 시작으로 일제 강점기와 6·25 그리고 산업화와 경제 성장에 치중했던 최근까지, 한글 활자체는 100년 이상의 시간 동안 글씨와 단절된 채 개발됐다. 또한 글씨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한글 조형의 공통된 미감은 온전히 이어지지 못했고, 활자체의 모태 역할도 사라졌다. 사회 구성원 사이에 공통된 미감이 흐려지면서 몇 가지 문제가 생겼다. 첫째, 교육용 활자체를 개발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한글 글자체의 조형 품질을 판단하는 일이 어려워졌다. 셋째, 한글 필서체가 사라지면서 활자체 양식이 단조로워졌다. 글씨에서 활자로, 활자에서 조판으로 이어지는 한글 시각 문화를 다시 온전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에게 교양 차원의 글씨 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사회 구성원 사이에 글씨에 대한 공통감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으로는 한글 글자체 변화 양상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각각의 양식과 조형 질서를 연구해야 한다. 한글 조형의 질서가 세워지면 글자체의 조형 판단 기준을 세울 수 있게 되어, 높은 품질의 활자체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그 첫 시도는 옛 글자체를 현대 사회 환경에 맞춰 개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한글 글자체의 조형 질서를 이해할 수 있게 되고, 한글 시각 문화의 표현 능력이 지금보다 더 커질 것이다. 이는 모두 글씨와 활자의 관계가 복원된 상황을 전제로 하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글씨와 활자의 관계를 회복하면 잊혀 있던 500년 이상의 한글 필서체 문화를 바탕으로 높은 품질의 한글 시각 문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ype has carried on the mantle of the handwriting letter. The early type was derived from the handwriting style that reflected the spirit of the times as well as the sentiment of society. Korean type style also carries this mantle of society and can be viewed as handwriting style or script called ‘필서체 (Pilseoche)’: a societal aesthetic that develops over time and repeated use; and printed letter called ‘인서체 (Inseoche)’: that omits or emphasizes characteristics of letters. After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occurred in Korea. Until recently, when Korea focused on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Korean typefaces have been developed separated from the handwriting letter for over 100 years. Moreover, as the role of handwriting letters diminishes, commonalities in Haneul form and structure have not been retained, and the role of a formal basis for letterforms have disappeared. A few issues arise as this societal aesthetic slowly depletes. First, developing typefaces for school and edu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Second,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formal qualities of Korean letters. Third, as the Korean Pilseoche disappears, type style has become more simplistic. To reestablish this natural progression of writing to type, type to typesetting in Korean typography, an initiative to teach handwriting is needed. The goal here is to reach a general consensus of Korean letters. Along with this, the different styles of Hangeul should be organized and researched. With this guiding principle, we can discuss the formal qualities of Hangeul and increase the quality of type design. Developing older typefaces to be used today could be the first step. This can be a guide for the formal qualities of Hangeul as well as open up the possibilities of expression in Hangeul. Of course, this is in line with establishing a clear path between the handwriting letter and the type which will, by all accounts, take time. However, once this is established, 500 years of rich handwritten culture can be rediscovered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visual culture of Hangeul.

      • KCI등재후보

        네모틀 한글 조합규칙에서 닿자 그룹 설정 방법 제안

        이용제(Lee Yongje),김진영(번역자)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6 글짜씨 Vol.8 No.2

        한글 폰트 개발에 충분한 투자를 할 수 없어서, KS코드 기준의 2,350자를 한 글자씩 그리기 어려울 경우와 한글 11,172자를 그려야 할 때, 한글 폰트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으로 조합규칙을 활용한다. 조합규칙이란 음절 단위의 낱글자를 표현할 때, 첫 닿자와 홀자 그리고 받침닿자의 모양을 필요한 숫자만큼 각각 디자인하고, 함께 쓸 낱자들을 연결하는 일종의 설계이다. 따라서 조합규칙은 함께 쓸 낱자의 그룹 설정과 이를 연결하는 설계가 중요하다. 한글 활자는 글자의 물리적 면적과 시각적 공간을 조율하며 디자인한다. 따라서 조합규칙을 이용한 한글 활자디자인을 설계할 때, 이 두 관계에 의해서 빚어지는 크기감과 공간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많은 양의 글을 읽을 때 쓰는 본문활자는 독서 피로도와 관계가 있으므로 글자의 균형을 지키고 비례를 유지하는 일은 기본이다. 따라서 음절단위 낱글자의 형태 조건에 맞춰 닿자와 홀자의 균형과 비례를 다듬어야 한다. 조합규칙을 활용한 한글 폰트를 분석해보면, 조합규칙 그룹을 물리적인 면적 중심으로 설정하여, 글자의 균형과 비례가 흐트러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앞으로도 조합규칙을 활용한 한글 폰트는 지속해서 개발될 것이므로, 글자의 균형과 비례를 조금 더 안정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크기를 주의하여 그룹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조합규칙 그룹을 설정하는데, 기존의 물리적인 면적과 함께 시각적인 공간을 고려하여 그룹을 설정했으며, 또한 닿자와 홀자의 위치에 따라서 그룹을 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가로모임꼴 받친글자에서 첫 닿자는 [ㄱ] [ㄴ, ㄷ, ㅁ, ㅅ,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로 분류하고, 세로모임꼴 받친글자에서 첫 닿자는 [ㄱ, ㅅ] [ㄴ] [ㄷ, ㅁ,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로 분류하고, 가로모임과 섞임모임꼴 받침닿자는 [ㄱ, ㄷ, ㅁ, ㅅ, ㅇ] [ㄴ]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로 구분하고, 세로모임꼴 받침닿자는 [ㄱ, ㄷ, ㅁ, ㅇ] [ㄴ] [ㅅ,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로 구분해 보았다. 제시한 그룹 설정은 네모꼴 활자 중에서도 바탕체와 돋움체를 2,350자 이상 그릴 때 유용하다. 그리고 조합규칙은 글자의 개성과 폰트의 쓰임 등, 조건과 함께 목적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그에 맞춰 낱자의 물리적인 면적과 시각적인 공간을 조율하면서 설계해야한다. When it is difficult to draw 2,350 letters individually based on the KS code standard due to insufficient funding, or when we need to draw 11,172 Hangeul letters, we use Combination Rule to produce Hangeul fonts with economic efficiency. The Combination Rule designs the required number of the first dat-ja (consonant), hol-ja (vowel), and ending dat-ja forms for expressing phonemes, and connects the phonemes used together. For this system, grouping the phonemes used together and design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honemes are crucial. Hangeul type is designed as coordinating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letter. Therefore, in designing a Hangeul type by using Combination Rul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size and space created by these elements. In particular, for a text-type used for an extensive reading, which directly influences the extent of fatigue in reading, it is essential to keep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the letters. In this case, we need to refine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datja (consonant) and hol-ja (vowel) according to the formal condition of a phoneme. When we analyze Hangeul fonts using the Combination Rule, the groups are set up based on the physical area. This results in the loss of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letters. Since Hangeul fonts using the Combination Rule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future, we need a better group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visual size and maintains the balance and proportion of letters. In this study, the groups of Combination Rule a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letter. At the same time, the groups are adjusted in relation to the positions of dat-ja and hol-ja.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mentioned above, in horizontal combination form bat-chin letters, first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ㄴ, ㄷ, ㅁ, ㅅ,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 in vertical combination form bat-chin letters, first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ㅅ] [ㄴ] [ㄷ, ㅁ, ㅇ, ㅈ, ㅋ] [ㅍ, ㄲ, ㅆ] [ㄹ, ㅂ, ㅊ, ㅌ, ㄸ] [ㅎ, ㅃ, ㅉ]; horizontal and mixed combination form ending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ㄷ, ㅁ, ㅅ, ㅇ] [ㄴ]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vertical combination form ending consonants are categorized as [ㄱ, ㄷ, ㅁ, ㅇ] [ㄴ] [ㅅ, ㅈ, ㅋ, ㅍ, ㄲ] [ㄹ, ㅂ, ㅌ, ㄳ, ㅆ] [ㅊ, ㅎ]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The suggested grouping is useful when we draw more than 2,350 letters of square form types, especially in the cases of Batang and Dotum fonts. The combination rule should be designed as considering uniqueness of a letter, specific usages, restricting conditions, and purposes of a font and as balancing the physical area and the visual space of a phoneme.

      • 루트킷 탐지를 위한 리눅스 커널 감시 코드 삽입의 시스템 성능 부하에 관한 연구

        문현곤 ( Hyungon Moon ),허인구 ( Ingoo Heo ),이진용 ( Jinyong Lee ),이용제 ( Yongje Lee ),백윤흥 ( Yunheung P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시스템을 공격하는 악성코드 기술과 그 방어 기술이 발전하면서,최근의 많은 악성코드들이 운영체제를 직접 변조하는 커널 루트킷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널 루트킷에 대한 여러 대응책들이 나오고 있으며,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루트킷 탐지능력 향상을 위해 운영체제 커널에 코드를 삽입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루트킷 탐지를 위해 커널에 대한 코드 삽입 기술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고,이와 같은 코드 삽입이 운영체제 커널이나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