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자체 행정의 지속가능발전 성과 평가모델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영한(Young Han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2 지속가능연구 Vol.3 No.1

        우리사회는 경제적 사회적 양극화, 청년실업과 고령화, 공공재정의 적자 그리고 저성장 시대 진입등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권을 회복하고 자연권을 보호하기 위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지속가능사회 발전을 위한 협력적 역할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지자체의 선도적 노력과 민간 부분의 자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한 지자체 행정의 노력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Recent issues of our society are economic and social polarization, youth unemployment, an aging, financing deficit in public sector, slow economic growth, etc. Our society is overflowing with concern of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for the pubic sector and private sector to be demanded the collaborative role to develop sustainable society, especially leading rol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paper aims to be preliminary study on appraisal model to measure efforts and outcom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경남지역 논 토양 지형과 미생물 군집의 관계

        이영한(Young-Han Lee),안병구(Byung-Koo Ahn),손연규(Yeon Kyu Son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경남지역 논 토양 곡간 및 선상지 10개소와 하성평탄지 10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에 미생물 세포벽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미생물체량은 곡간 및 선상지가 1,266 mg kg<SUP>-1</SUP>으로 하성평탄지 578 mg kg<SUP>-1</SUP>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탈수소효소 활성도 곡간 및 선상지가 204 ㎍ TPF g<SUP>-1</SUP> 24h<SUP>-1</SUP>으로 하성평탄지 93 ㎍ TPF g<SUP>-1</SUP> 24h<SUP>-1</SUP>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논 토양평균 미생물 군집은 곡간 및 선상지가 총 세균이 32.9%, 그람음성 세균은 17.7%로서 하성평탄지의 총 세균 30.3%, 그람음성 세균 15.2%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주성분 분석결과 토양 유기물 함량과 총 세균 군집 비율이 경남지역 논 토양의 곡간 및 선상지와 하성평탄지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soil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in paddy soils at 20 sites in Gyeongnam Province. The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content of fan and valley 1,266 mg kg<SUP>-1</SUP> was higher than alluvial plain 578 mg kg<SUP>-1</SUP> (p〈0.05). In addition,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fan and valley 204 ㎍ TPF g<SUP>-1</SUP> 24h<SUP>-1</SUP> was higher than alluvial plain 93 ㎍ TPF g<SUP>-1</SUP> 24h<SUP>-1</SUP> (p〈0.05). The communities of total bacteria and Gram-negative bacteria in the fan and valley paddy soi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alluvial plain paddy soils (p〈0.05). Total bacteria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responsible factor for the obvious microbial community differentiation that was observed between the fan and valley and alluvial plain in paddy soils.

      • KCI등재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이영한(Young-Han Lee),장용선(Yong-Sun Z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2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적정수준 보다 각각 2.6배 및 2.3배 높았으며 대부분 토양 화학성분의 최소값과 최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 산록경사지는 토양 유효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미사질양토에서 곰팡이와 형광성 슈도모나스균 개체수가 사양토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이 28.4%, 제 2주성분이 20.1%로서 전체 48.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주성분은 토양의 세균개체수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곰팡이 개체수와 정의상관을 보인 반면 세균 개체수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Soil microbial diversity was responsible for a strong effect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This study evaluated a relationship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soil microbial diversities at 25 sites in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The average nutrients in the orchard soils were 2.6 times for available phosphorous, 2.3 times for exchangeable potassium and 1.3 times for exchangeable calcium higher compared to recommend concentrations in the orchard soils.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organic matter in the inclined piedmont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opographical soils (p<0.05). Populations of fungi and fluorescence Pseudomonas sp. in the silt loam soi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sandy loam soils (p<0.05).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the upland soil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population of bacteria sh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factor responsible for the clear orchard soils differentiation. The soil organic matter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opulation of bacteria whereas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opulation of fungi in orchard soils.

      • KCI등재

        단감 과원 토양 Fe, Mn 함량 변화와 pH 분석을 통한 석회소요량 추천

        이영한(Young-Han Lee),최성태(Seong-Tae Choi),이성태(Seong-Tae Lee),홍광표(Kang-Pyo Hong),송원두(Won-Doo Song),이진호(Jin-Ho Lee),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5

        경남지역 단감 재배지 31개소의 토양 미량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농가현장에서 pH 분석 값을 적용하여 석회소요량을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는 계산식을 구하였다. 가용성 미량성분 함량의 변화는 4월이 표토에서 Fe 76.5 mg kg<SUP>-1</SUP>, Mn 46.1 mg kg<SUP>-1</SUP>,Zn 16.9 mg kg<SUP>-1</SUP> 이었고 심토는 Fe 55.5 mg kg<SUP>-1</SUP>, Mn 35.9 mg kg<SUP>-1</SUP>, Zn 12.3 mg kg<SUP>-1</SUP>으로 가장 높았으며 Mn 함량은 4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표토의 pH가 높아짐에 따라 Fe 함량은 y=-18.8x+162(r=0.374, p≤0.001), Mn 함량은 y=-11.5x+98 (r=0.407,p≤0.001)의 고도로 유의적인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단위면적당 석회소요량 (kg 10a<SUP>-1</SUP>)은 표토의 pH와 y=-171x+1,148 (r=0.881, p≤0.001), 심토의 pH는 y=-190x+1,247(r=0.855, p≤0.001)의 고도로 유의적인 부의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산술식을 이용할 경우 농가현장에서 석회소요량을 신속하게 산출하여 토양개량제를 시용할 수 있으며 pH로 인한 양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weet persimmon yield can be limited by soil p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apidly determine the optimal level of lime requirement in sweet persimmon field.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Fe, Mn, and Zn were analyzed soil samples of 31 sweet persimmon fields at Gyeongnam Province every two months from April to October in 2008. The available Fe, Mn, and Zn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 top soil (76.5 mg kg<SUP>-1</SUP> for Fe, 46.1 mg kg<SUP>-1</SUP> for Mn, and 16.9 mg kg<SUP>-1</SUP> for Zn, respectively), and subsoil (55.5 mg kg<SUP>-1</SUP> for Fe, 35.9 mg kg<SUP>-1</SUP> for Mn, and 12.3 mg kg<SUP>-1</SUP> for Zn, respectively) in April. Furthermore, the M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ince April compared to other micronutrients. We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il pH and lime requirement (r=0.881, p≤0.001 for top soil, and r=0.855, p≤0.001 for subsoil). We suggest that a conversion factor is -171 top soil pH + 1,148 to lime requirement (kg 10a<SUP>-1</SUP>) for top soil, and -190 subsoil pH + 1,247 to lime requirement (kg 10a<SUP>-1</SUP>) for subsoil in sweet persimmon fields.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the improvement of lime requirement by soil pH value is necessary to rapidly apply to field, and prevent micronutrients over uptake by persimmon pla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벼 유기농업을 위한 무경운 피복작물 작부체계 평가

        이영한(Young-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무경운 논에서 유기농업에 적합한 녹비작물의 시용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경남농업기술원 시험포장인 이현미 사질양토 (모래 9.1, 미사 73.0, 점토 17.9%)에서 일미벼를 시험품종으로 토양 검정 시비처방과 화학농약을 사용한 경운 처리 구 (관행)와 무경운 논에서 화학농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 피복으로 무처리, 볏짚, 헤어리베치, 유채, 호밀, 자운영을 처리하여 연구하였다. 벼결주율은 무경운 처리인 무처리 5.3%, 볏짚 1.4%, 헤어리베치 2.8%, 유채 5.0%, 호밀 5.3%, 자운영 4.7%로 관행 처리 구 1.1% 보다 높았다. 벼 20주당 벼멸구 발생량은 관행 처리 구에서 65.3 마리, 무경운 처리 구는 3.4∼9.6 마리였으며 잎집무늬마름병 발병진전율도 관행 처리 구가 10.5%로 무경운 처리 구 0.7∼2.9%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발생 잡초는 물달개비, 사마귀 풀, 여뀌바늘, 마디꽃이 우점하였고 총 건조량은 무경운 볏짚 처리 구가 35.9, 무경운 무처리 구가 33.2 g m?²로서 높았으며 관행 처리 구는 14.5 g m?², 무경운 자운영 처리 구는 18.4 g m?²로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토양 pH와 유효인산 함량은 담수처리 후 무경운 처리 구에서 급격히 낮아지고 출수시에 높아졌다. 출수시의 토양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은 관행에 비해 무경운 피복작물 처리 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담수이후 관행 처리 구와 무경운 무처리의 토양 미생물 생체량이 급격히 낮아졌다. 관행 처리 구의 수량은 주당 이삭수가 12.6개, 수당 입수가 68.2개, 등숙비율은 89.4%로 높아 수량이 4.30 Mg ㏊?¹로서 가장 많았다. 무경운에서는 자운영 처리 구가 주당 수수 11.0개, 수당 입수가 64.6개 및 천립중 20.4 g 등으로 전반적인 수량 구성요소가 양호하여 수량이 2.69 Mg ㏊?¹로 다른 처리 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Toyo 식미치는 무경운 볏짚처리 구가 79.9의 수치로 가장 높았고 무경운 헤어리베치 79.2, 무처리 78.0, 자운영 77.9, 호밀 77.2, 유채 77.1 및 관행 74.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관행 7.4%, 유채 7.2%, 호밀 7.0%, 헤어리베치 6.6%, 자운영 6.4% 및 무처리 6.3%의 순으로 낮아졌다. 수량과 쌀 품질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유기농업을 위한 무경운 작부체계에서는 자운영이 가장 좋은 피복작물로 생각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no-tillag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for organic farming in padd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Ihyeon series (silt loam: 9.1% sand, 73.0% silt and 17.9% clay) which affected by different management practices. Planthopper population per 20 plant was significantly higher 65.3 for conventional tillage with chemical compounds (control) compared with 3.4∼9.6 for no-tillage treatments (without rice straw or green manure, amended with rice straw, hairy vetch, rape, rye, and Chinese milk vetch). Also, disease severity of sheath bl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10.5% for control compared to 0.7∼2.9% for no-tillage treatments. Four weed species, namely Monochoria vaginalis, Ludwigia prostrata, Rotala indica, and Aneilema keisak occurred in no-tillage paddy, whereas Monochoria vaginalis occurred in control only. The pH, available phosphate, and microbial biomass C in paddy were steeply decreased in response to submerging, but increased at first heading stage. Soil NH₄-N content at first heading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tillage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The grain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30 Mg ㏊?¹ for control than other treatments. Meanwhile, rice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69 Mg ㏊?¹ for no-tillage amended with Chinese milk vetch compared to other no-tillage treatments. The number of panicle per plant, grain number per panicle, and percent ripened grain were highly related for increasing the yield of rice. These results show that Chinese milk vetch was optimum cover crop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 KCI등재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세법적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李英漢(Young Han Lee) 한국세법학회 2007 조세법연구 Vol.13 No.3

        2011년부터 상장사에 대하여 국제회계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세법이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의 경우 회계원칙의 변경은 세법적용에도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이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세법상 기업회계준용규정으로 인한 과세소득 변화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하여 기업회계와 세무회계간의 일시적 차이는 현재보다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제회계기준이 자산과 부채에 대한 공정가액 평가를 폭넓게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또한, 회계기준의 다층화로 인한 세법적용상의 혼선에 대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에는 상장사 및 국제회계기준 선택기업과 비상장사가 서로 다른 회계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행 세법상 기업회계준용규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회계상 재무제표 수치가 달라질 경우 과세소득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대비하여 기업회계기준상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상 계정 평가액이 과세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재무회계와 세무회계를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Listed companies will have to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by IFRS after 2011. In Korea, Tax law is influenced by GAAP, so that GAAP change provokes change of Tax law application. I expect the introduction of IFRS have an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So I analysis the effect of IFRS on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And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axable income change by IFRS adaptation. I find that IFRS introduction magnify temporary difference between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Because IFRS admit fair value assessments of balance sheet accounts widely. After IFRS introduction, GAAP applied to Korean Listed companies or IFRS selecting companies is different from that of unlisted companies(so called "multi stage GAAP"). So I think that we must prepare confusion of tax law application due to "multi stage GAAP". I anticipate that IFRS can make companies taxable income different. because current Korean tax law have applying GAAP provision. In conclusion, We need to examine the effect of IFRS on taxable income. and reexamine book-tax separation policy.

      • KCI등재

        무경운 및 유기농 논에서 품종에 따른 벼 생육 및 미질 특성 구명

        이영한(Young-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저 투입 녹색성장이 가능한 무경운 논에서 우리나라 주요 벼 품종 32종과 일본 벼 품종 2종을 대상으로 이현미사질양토에서 유기농업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량, 수량 구성요소와 쌀 품질을 분석하였다. 벼 생육초기 초장은 중생종 품종이 조생종 및 중만생종 품종에 비해 짧은 경향이었다. 벼멸구 발생 밀도는 벼 품 종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일품벼>동진1호=호진벼>동안벼>소비벼 순으로 벼멸구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조생종 품종이 벼멸구에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잎집무늬마름병 발병 진전 비율은 새추청벼>추청벼>칼로스>남원벼>상미벼 순으로 높은 반면 화성벼>주남벼>새상주벼=히또메보레>일품벼>화영벼 순으로 낮았다. 우리나라 벼 품종별 수량은 화신벼가 2.95 Mg ㏊?¹, 일품벼 2.91 Mg ㏊?¹, 소비벼 2.86 Mg ㏊?¹, 내풍벼 2.73 Mg ㏊?¹, 새계화벼 2.70 Mg ㏊?¹ 순으로 높은 반면, 중생종인 화봉벼는 1.38 Mg ㏊?¹, 화영벼가 1.62 Mg ㏊?¹, 해평벼는 1.78 Mg ㏊?¹로 매우 낮았다. Toyo 식미치는 내풍벼 84.0, 상미벼 83.6, 화성벼 82.4, 새상주벼 82.3, 히또메보레 82.2, 화영벼 82.0, 일품벼 81.0 순으로 높은 반면, 남원벼 69.3, 새계화벼 71.4, 화봉벼 72.3, 동안벼 73.0, 동진1호 73.4의 순으로 낮았으며 중생종이 Toyo 식미치가 높았다. 등숙 비율이 높아질수록 Toyo 식미치가 증가되고 단백질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완전미 비율이 높아졌다. 주성분 분석결과 무경운 논에서 유기농업에 적합한 벼 품종으로 조생종은 상미벼, 상산벼와 오대벼, 중생종은 내풍벼와 소비벼, 중만생종은 화신벼, 추청벼, 신동진벼가 양호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optimum 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he yield, yield components, and qualities of thirty two Korean rice cultivars, and two Japanese rice cultivars. The column length of early rice plant was shorter in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s compared to early, and medium-late maturing rice cultivars. Planthopper population per 20-plant was lower in Ilpumbyeo, Dongjinbyeo, Hojinbyeo, Donganbyeo, and Sobeebyeo in that order while was higher in rice cultivars of early maturity. The disease severity of sheath blight was higher in Saechucheongbyeo>Chucheongbyeo>Namwonbyeo>Sangmibyeo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that was lower in Hwaseongbyeo>Junambyeo>Saesangjubyeo=Hitomebore>Ilpumbyeo>Hwayeongbyeo in that order, respectively. The grain yield of Korean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95 Mg ㏊?¹ for Hwasinbyeo, 2.91 Mg ㏊?¹ for Ilpumbyeo, 2.86 Mg ㏊?¹ for Sobeebyeo, 2.73Mg ㏊?¹ for Naepungbyeo, and 2.70 Mg ㏊?¹ for Saegyehwabyeo compared with 1.38Mg ㏊?¹ for Hwabongbyeo, 1.62 Mg ㏊?¹ for Hwayeongbyeo, and 1.78 Mg ㏊?¹ for Haepyeongbyeo of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s, respectively. Toyo taste value of medium maturing rice cultivars tended to higher than that of early, and medium-late maturing rice cultivars. Ripening rate of rice cultivars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Toyo taste value while negative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According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se results show that Sangmibyeo, Sangsanbyeo, and Odaebyeo for early maturity, Naepungbyeo, and Sobeebyeo for medium maturity, and Hwasinbyeo, Chucheongbyeo, and Sindongjinbyeo for medium-late maturity were optimumrice cultivars for organic farming in no-tillage paddy.

      • KCI등재

        정보이용자관점의 원칙중심회계-금융위원회의 회계감독지침이 회계정보의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영한 ( Young-han Lee ),안성희 ( Sung-hee Ahn ),황문호 ( Mun-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6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을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감독기관이 특정 회계처리지침을 발표하는 것은 원칙중심회계제도에 부합하지 않는 역행적 규제로 평가되기도 하는 한편, 회계기준의 해석과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게는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해줄 수 있는 긍정적 조치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정보이용자의 관점에서, 투자자들은 감독기관의 회계처리지침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금융위원회가 2018년에 발표한 제약ㆍ바이오기업들에 대한 연구개발비 회계처리관련 감독지침 발표일에 해당 기업들의 주식수익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감독지침을 따른 제약ㆍ바이오기업들의 회계정보가 감독지침 발표 전의 회계정보에 비해 주가관련성이 달리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감독지침 발표일(2018년 9월 19일)을 전후하여 제약ㆍ바이오기업들의 누적초과수익률은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다. 특히 연구개발비 중 자본화한 개발비의 비중이 클수록 보다 큰 시장반응이 나타났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감독지침의 발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제약ㆍ바이오기업이 감독지침에 따른 회계처리를 반영한 정보(개발비 및 경상개발비)의 주가관련성이나 이익반응계수(ERC)는 감독지침 발표 전의 회계정보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 분석결과는 원칙중심 회계환경에서 산출된 회계정보의 회계처리 적정성 여부와 회계감독 리스크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회계감독지침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회계감독지침이 회계이익의 정보유용성이나 개발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유의하게 제고시켰다는 실증적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원칙중심 회계환경에서 규정중심 회계의 특징인 감독기관의 구체적 회계처리지침이 정보이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그리고 회계처리지침이 회계정보의 주가관련성을 제고하는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감독기관 회계처리지침에 대한 정책방향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investors evaluate the accounting guidelines of supervisory auth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us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tock returns of those companies changed on the date of publication of the accounting supervisory guidelines announced in 2018. A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value relevance for R&D expenditures around the issuance of accounting guidelines. As a result,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was significantly positive around the supervisory guidance announcement date. In particular,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capitalized development costs among R&D expenditures, the greater the market response, which means that investors are positively evaluating the announcement of supervisory guidelin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value relevance 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ERC) for R&D expenditures was not different from before the supervision guidelines were issued. The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guidance can reduce of the uncertainty about accounting processing and accounting supervision risks, however it does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accounting guideline enhances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about the regulators’ accounting gui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