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II}$/ Cu / ZnO 계에서의 메탄올-물의 반응

        이영숙,한종수,조민수,이계수,Young-Sook Lee,Chong-Soo Han,Min-Soo Cho,Kae-Soo Rhee 대한화학회 1988 대한화학회지 Vol.32 No.1

        알카리토류 금속-구리-산화아연계 촉매위에서 메탄올-물혼합물이 이산화탄소와 수소로가는 반응을 150$^{\circ}C$${\sim}\;3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구리-아연계 촉매에 알카리토류 금속이 첨가되면 촉매의 활성도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 생성에 대한 선택성은 증가했다. 마그네슘-구리-산화아연 촉매에서는 200$^{\circ}C$부터, 바륨-구리-산화아연계 촉매에서는 250$^{\circ}C$부터 촉매활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250$^{\circ}C$에서 이산화탄소 형성에 대해 가장 높은 선택성을 나타낸 촉매는 바륨-구리-산화아연계 촉매이다. 알카리토류 금속과 산화아연이 반응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이들 촉매에 대해 각각 이산화탄소-승온탈착 실험과 수소-승온환원 실험을 실시하였다. 산화마크네슘, 산화칼슘, 산화바륨의 순서로 이산화탄소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며, 산화아연은 산화구리의 환원온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했다. 이들 결과들로부터 산화아연은 구리의 산화환원과정에서 수소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알카리토류 금속은 이산화탄소를 흡착한다고 할 수 있겠다. The reaction of methanol-water mixture to $CO_2$ and $H_2$ on alkaline earth metal-copper-zinc oxide has been studi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0 ${\sim}\;300^{\circ}C$. Generally the addition of the alkaline earth metal to Cu/ZnO resulted in an enhancement of selectivity for $CO_2$ formation and a reduction of catalytic activity. Measurable activities were found from 150$^{\circ}C$, 200$^{\circ}C$, and 250$^{\circ}C$ on Mg/Cu/ZnO, Ca/Cu/ZnO, and Ba/Cu/ZnO respectively. However, the highest selectivity for $CO_2$ formation was observed in Ba/Cu/ZnO catalyst at 250$^{\circ}C$. The effect of alkaline earth metal or ZnO on the reactivity was investigated using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of $CO_2$ or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with $H_2$ over catalyst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CO_2$ interacts more strongly in the sequence of MgO < CaO < BaO and ZnO decereases the reduction temperature of CuO. From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ZnO activates $H_2$ in the redox process of Cu component and alkaline earth metals adsorbs $CO_2$ in the catalytic process.

      • 주부교실-가정사고

        이영숙,Lee, Yeong-Suk 한국건강관리협회 1975 건강소식 Vol.3 No.8

        사고란 반드시 밖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정 내에도 항상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앗차하는 순간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고는 교통사고 못지않은 피해를 주부에게 준다. 애기를 키우고 있으면, 사고의 위험은 더욱 크다. 개나 고양이 같은 가축을 기를 때도 사고가 따른다. 주부는 항상 주의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 주부교실-임신과 태아발육

        이영숙,Lee, Yeong-Suk 한국건강관리협회 1975 건강소식 Vol.3 No.3

        임신은 여성에겐 최대의 중대사다 어떠면 하나님이 처음 우주와 인간을 창조할 때에 여성에게 부여한 최대의 역할이 이것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많은 여성들이 임신에 대한 지식이 너무 빈곤하다. 이로 인해서 함부로 몸을 가누다가 무서운 병에 걸리기도 하고, 유산, 조산을 일으켜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게도 하며, 이처럼 엄청난 결과는 아니라도 일부의 체격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일도 허다하다.

      • 말기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서울대학교병원 경험의 분석-

        이영숙,허대석,윤영호,김현숙,최경숙,윤여정,Lee, Young-Sook,Heo, Dae-Seog,Yun, Young-Ho,Kim, Hyun-Sook,Choi, Kyung-Sook,Yun, Yeo-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의 말기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한 해동안 상담에 참석한 말기암환자 및 가족들의 상담기록지를 중심으로 연구자들이 상담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참석자 312명은 가족(84%)이 환자(16%)의 4배 이상 참석했고, 대부분 1회만 참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석한 환자 또는 가족이 돌보는 환자의 현황은 나이별로 60대, 50대, 40대가 많았고, 암의 종류는 폐암, 위암, 간암 순으로 많았다. 가족의 특성은 261명으로 배우자, 자녀, 며느리, 형제자매, 부모순으로 많았다. 프로그램에 오게된 경로는 의사의 권유(69%), 병원 포스터(26%), 기타 순이었다. 이것은 의사가 환자와 가족을 집단에 참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문은 우선적으로 의료적인 정보에 대한 욕구가 많았다. 이것은 환자나 가족이 의료진으로부터 정보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가족은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서 정보의 제공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여러가지 실제적인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그 결과 계속적인 24시간 전화상담 서비스 호스피스 시설 가정간호 서비스의 확대, 3차 의료기관과 1,2차 의료기관과의 의뢰 체계 등을 필요로하고 있었다. 따라서 병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서 제공될 수 있는 자원, 호스피스 시설과의 연계가 필요하며 이를 관리해줄 수 있는 환자 관리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결론 : 본 프로그램은 1회(single-session)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환자와 가족이 궁금해하는 점들을 만족시켜주므로서 암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대처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 프로그램이 위기에 처한 말기암환자와 가족을 지지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추후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평가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다른 병원에서도 각 병원의 특성과 참석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발전된 프로그램이 나오기를 바란다. Purpose :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is program consists of each of doctor, nutritionist, nurse, pharmacist, and social worker to provide them with the information an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cope with terminal cancer.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is new program per se, and to appreciate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to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by analyzing the concerns and specific questions of the participants. Methods : The methodological approach employed in this research is 1996 content analysis of the group counseling reports, and interview of the 312 participants. The analysis includ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mily relationship to the patients, times of attendance to the group session, source of information to the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61 family members(84%) and 51 patients(16%). Majority responded to the program with a single-attendance. Diagnosis are mainly lung cancer, stomach cancer, liver cancer. The ratio of participants by family members is decreased in the order of spouse, children, daughter-in-law, brothers and sisters, and parents. The source of information to the program is largely through medical staff(69%) as compared with posters in the hospital (26%). The participants are interested primarily in the medical information. Their interests are various, such as pain control, patient care, nutrition, psychosocial problem and etc. Conclusion : This program is characterized largely as a family-supporting program which primarily offers information for terminal cancer. This program is a sort of a hospice program, which maximizes the present quality of living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s long as life continues by encouraging them to live with terminal cancer. Thus, this group program can be employed as an active support network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care-giving services, it is required to have 24-hour telephone service, hospice facilities, home care servi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referral hospitals and the primary care physicians, in particular. Such a development of services is the ultimate goal for improving care. But the immediate goal of the program is to make possible better education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to live with termin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