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역량과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해외시장진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영득 ( Youngdeuk Lee ),강명수 ( Myungsoo Kang ),김병재 ( Byoungjai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 진출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성공요인과 혁신성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영자, 조직, 종업원 차원의 요인과 관련하여 리더십, 운영시스템, 변화주도행위를 혁신역량에의 영향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혁신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혁신역량에의 영향요인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본국과 해외진출국가 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 혁신영향요인 모두 혁신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혁신역량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향력의 정도에 있어서는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차이에 있어서는 중국의 경우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이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운영시스템과 리더십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종업원의 개별적 변화주도행위는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 진출 기업에게 있어서는 현지 특성에 맞는 혁신역량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경우 보다 고도화된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의 창출을 위해서 종업원 개인의 변화주도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추가적인 활동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midsize company entering overseas market.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managerial, organizational, and employee - level factors, we set leadership, operating system, and taking charge at work as variables influenc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factors on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home country and overseas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ll of the influenc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innov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e degre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Chin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the case of Korea, operating system and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does not affect innovation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y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In Korea, there are additional activities to induc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is required for improve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 KCI등재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치적 의견표현

        영득(Park, Youngdeuk),이정희(Lee, Chungh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2

        본 연구는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치적 의견표현 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의견표현은 시민들이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행위로서 개인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정치행위이나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다. 본 논문은 온라인에서의 행태와 오프라인에서의 행태를 인과적 진술로 연결하기보다는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의 행태에 초점을 맞추었다. 노엘 노이만의 침묵의 나선이론을 중심으로 한 논의를 통해 정치적 의견표현을 추동하는 인자로서 고립의 공포, 의사소통 효능감, 비관용 경험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립의 공포와 의사소통 효능감은 본 연구에서 기대했던 바와 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의 방향도 기대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비관용 경험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력은 있으나 그 영향력의 방향은 기대했던 바와는 반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정치적 의견표현을 하는 이용자들의 성격이 적극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나 이는 별도의 검증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ich variables could explain the actors’ political opinion expression behavior in the online spa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research proposed a main hypothesis. The main hypothesis which adopted psychological approach, is that political opinion expression is caused by ‘fear of isolation’, ‘experience of intolerant behavior(direct and indirect)’ such as insult, personal attack etc., ‘communication efficacy(internal and external)’. This hypothesis is derived from Noelle-Neumann’s Spiral of silence theory and it is modified releasing its assumptions and adopting other variables including communication efficacy and experience of intolerance from others. The result shows that political expression in the non-political community is influenced by variables including fear of isolation, direct experience of intolerant behavior from others, internal communication efficacy. In conclusion, actors in the non-political online community are quite active rather than passive. They are not affected by other community users’ opinion and threatening behavior while they are only affected by self-confidence and their personality traits.

      • KCI등재

        SNS활용과 정치참여

        영득(Youngdeuk Park),이재묵(Jaemook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7 연구방법논총 Vol.2 No.1

        본 논문은 SNS 활용이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 제20대 총선 자료를 분석하여 규명한다. 선행연구들은 인터넷, SNS와 같은 뉴미디어가 정치참여에 필요한 정치정보 취득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치참여를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SNS 활용과 투표참여가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SNS 활용은 비선거적 정치참여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SNS가 제공하는 사회연결망과 사회자본에 힘입어 시민들이 스스로를 조직화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NS(Social Networking Sites) utiliz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20th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SNS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by reducing the cost of political information acquisition,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NS utilization and voting participation are not significant. However, SNS utiliz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electoral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eems to be because citizens can organize themselves by the social network and social capital provided by SNS.

      • 세대에 따른 통일과 대북인식 차이 분석: 코호트 분석을 중심으로

        영득 ( Park Youngdeuk ),이재묵 ( Lee Jaemoo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6 글로벌정치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제20대 총선 직후 시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통일과 대북인식에서 세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결과는 북한에 대한 인식은 386 세대가 가장 우호적이고 전전세대와 전후세대가 가장 적대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80년 이후에 출생한 탈냉전세대, 90년 이후에 출생한 밀레니엄 세대의 대북관은 연령대가 근접한 386세대나 X세대보다는 전전세대, 전후세대와 유사하다. 젊은 세대들은 통일 필요성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대가 높은 세대일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볼 때, 대북관과 통일인식은 단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성장기에 공유하는 경험에 따라 구성되는 세대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reports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the need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North Korea among cohort groups. The analyses show that the 386 generation has the most favorable to North Korea, and that the prewar generation and postwar generation are the most hostile. In particular, the post-Cold War and Millennial generation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war generations and the postwar generations.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the post-Cold War generation have the most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need for national unific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attitudes of North Korea and national unification are not on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but also according to the generations.

      • KCI등재

        제7회 광역단체장 투표선택 결정요인 분석: 보수의 분화와 중앙정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영득(Youngdeuk Park),이재묵(Jaemook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논문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권자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투표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크게 중앙정치의 영향력, 특히 대통령 국정지지가 투표선택에 미친 영향과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의 직무수행 평가가 투표선택에 미친 영향력 비교와 보수유권자의 분화를 살펴보는 것에 맞추어졌다. 분석결과, 제7회 지방선거에서 대통령의 직무평가는 민주당 후보에 대한 투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반면, 지방자치단체장의 직무수행 평가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자유한국당에 투표한 유권자와 바른미래당에 투표한 유권자를 비교한 결과, 바른미래당 투표에 영향을 미친 것은 주로 정책적 요인보다는 정당 호감도와 같은 감정적인 요인이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voting decision in the 7th gubernatorial elections. The focus of analysis is largely on the influence of national politics on voting choice and on the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ve vo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valuation of the president’s performance shows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whereas the evaluation of the job performance of the local governor shows no significant impac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voters who voted in the Liberty Korea Party and the voters who voted in the Bareunmirae Party, an emotional factor has more influence than policy preferences on the support for the Bareunmirae Party.

      • KCI등재
      • KCI등재

        영구자석형 동기발전기의 회전자 위치검출 센서의 옵셋 검출에 관한 연구

        박규성(Kyusung Park),신성환(Sung-Hwan Shin),이호광(Hokwang Lee),영득(Youngdeuk Yoon),이근호(Geunho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 No.9

        In this paper, an algorithm is suggested to detect an offset angle of the absolute rotor position sensor after the initial assembly of a PMSG. Unlike previous studies in a stationary state, this one is not designed to detect an electrical angle but rather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rotor is detected while operating the generator. Also,a position sensor, current sensors and voltage sensor were used to ensure reliability. This technique completes the detection of the sensor offset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a zero-crossing of the EMF is measured using a voltage sensor to detect the electrical angle offset when the alternator is actuated by the engine. In the second step, a high frequency current is injected along the d-axis on-line during the control of the generation, eventually to obtain the inductance using a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d then to ultimately extract the final electrical angle offset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inductance magnitude. The suggested algorithm was validated with PSIM simulation and, furthermore, was tested with actual experiments on a dynamome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