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way of undertaking a research phase in graphic design

        Younjoon Lee(이연준)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논문은 그래픽 디자인에서 디자인리서치의 중요성과 사회와 인간과 함께하는 디자인적 방법(Design tools)의 이해 고취가 목표이다. 본 연구는 총 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여자들은 IDEO 툴킷(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세 개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면 두 개의 설문지는 동일한 형태로 프로젝트 참여 ‘사전’과 ‘사후’에 각각 사용되었다. 마지막 은 학생들의 작업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6인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예비분석에서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이전의 리서치 경향 인터넷과 문헌자료에 의존도가 매우 높고 체계적인 연구의 형태를 보이지 않았다. 본 분석을 통해서는 리서치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디자인적 방법을 사용한 그룹의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찰’기법을 이용한 그룹의 긍정적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This pap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sign research and encourages an understanding of design tools that engage society and people. Twenty groups, a total of sixty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and they used an IDEO tool kit. A total of three surveys were given. One survey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another after the project. The last survey was given to six experts to evaluate the students' work. Preliminary analysis found that students, prior to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replied heavily on Internet research and a literature review, and did not display a structured research process. Primary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s that spent more time on research and utilised design tools performed better, particularly those utilising ‘observation’ techniques.

      • KCI등재

        중소기업의 전략적 디자인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 - 코스닥 상장 기업을 중심으로 -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디자인은 기업의 가치와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해서 성장에 기여해 왔다. 기업에서의 디자인 역할과 가치는 많은 성공사례를 통해 증명되어왔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의 균형적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은 최고경영자(CEO)의 인식과 지지에 좌우되므로, 기업의 비전과 미션, CEO 메시지, 회사 소개, 기업경영 소개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워릭대학과 디자인카운슬이 도출한 디자인 선도기업의 13가지 특징을 활용하여 위의 기업 자료를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하였다. 대상은 코스닥 매출 상위 100위 기업(2013년 기준)으로 하였다. 내용분석 된 코딩을 바탕으로, 빈도분석을 실행하였고 중소기업의 디자인 활용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차분석을 통해 디자인 활용 인식에 대해 산업 별 차이 여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 활용 및 가치 기여에 관한 추상적이고 보편적 특징은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적극적으로 디자인을 활용하거나 문화로 만들어 내기 위한 구체적인 수행 및 활동과 관련된 요소는 낮은 빈도를 보였다. 산업별로도 시니어 매니지먼트의 역할과 성공적인 제품과 서비스 요소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결과를 종합하여 기업의 최고 의사 결정권자인 CEO 및 경영진을 위한 디자인 인식 전환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Design can enhance corporate values and competitiveness, and sustain corporate growth. Roles and values of design have been proven through numerous success cases of desig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erspectives on design utilization within small-medium sized companies that are pivotal in achieving balanced national economy. Since design utilization in small-medium sized corporations determined by CEO`s perspective and commitment, documents ― corporate vision and mission, CEO`s message, corporation introduction, and business introduction ―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corporate documents by each category of `Leading business by design` published by the Design Council and Warwick University on 100 companies in sales (2013) listed on KOSDAQ. First, after coding the contents, perspectives on design utilization in small-medium sized corpora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frequency. Second, cross tabu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industries. The result showed high frequency of variables related to perception within general and abstract variables - strategic design attitude, utilization and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s related to specific performance and activities for vigorous design utilization and culture showed relatively low frequency. Some variables such as a role of senior management and successful product and services were difference between indust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change mind-sets to strategic design for CEO and senior management.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결과물의 범주와 인식 분석 연구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서비스디자인은 년 경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후, 학계와 현장에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신생 학문으로서 구체적 합의를 이룬 개념은 아직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까지 서비스디자인은 포괄적인 개념을 알리고 확산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이해관계에 따라, 참여자와 연구자의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디자인은 실무 결과물(유형화)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디자인(그래픽디자인, 제품디자인 등)의 형태와 구분 또는 기여할 수 있는 특징, 혜택과 장점을 위한 소통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결과물의 특징과 범주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서비스디자인 실무 결과물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와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프레임워크를 종합하여 서비스디자인 실무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이 결과물에 대한 소통방법을 제안하며, 서비스디자인 개념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fter services design was introduced in Korea around 2010, it spread fast in academia and in the field. However, service design has problems that all new studies are faced with. Comprehensive concepts of service design exist but materialization of consensus concep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until now, since the focus was on spreading `services design` term and concept, service design concepts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by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In service design,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one through tangible outputs. Thu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outcome traits of service design which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sign (e.g., graphic design, industrial design, etc.), and communication ways to deliver benefits and competencies of service design.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s of service design, and generated a framework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outcomes from the stage. Recognition of domestic service design outcom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y using the framework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forms of service design outcomes are categorized. This paper suggests ways to consider when communicating service design outcomes,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design concept.

      • KCI등재

        효과적인 학습경험을 위한 실시간 원격강의 플랫폼 사용성 연구 -ZOOM UI디자인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정승재,이연준,Chung, Seung-Jae,Lee, Younjo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코로나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국내 교육기관은 실시간 원격강의 플랫폼을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사용 경험 문제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어 사용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ZOOM의 UI디자인 레이아웃에 따른 시선추적과 학습경험을 측정하여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고 레이아웃과 학습효과에 대한 규명을 입증하여 제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총 30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여 학습 시 시선추적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리드 레이아웃이 다른 레이아웃보다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참가자가 그리드 레이아웃에 가장 많은 주의를 집중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높은 학습경험을 위해서는 그리드 레이아웃과 참가자를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고 소통을 유도하는 레이아웃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In the digital era, Korean universities are using real-time remote lecture platforms as a tool for learning. However, it is confusing due to low usage experience problems, and usability studie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alyze, and propose gaze track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UI design layout of ZOOM. A total of 30 subjects were selected to conduct eye tracking and survey when learning. The experiment showed that grid layouts have a higher emotional realism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other layouts. Furthermore, it turns out that participants focused the most attention on grid layouts. Therefore, for high learning experience, grid layouts and layouts that visually highlight participants and induce communication are need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디자인 직군과 경영 직군의 데이터 활용 방식 분석 연구 : 문제의 발견과 해결 과정에서의 데이터 제공 디자인(Datainformed Design) 관점으로

        이민화(Minhwa Lee),이연준(Younjoon Lee)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4

        Background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actitioners in the ‘Design’ and ‘Business’ fields utilize data from a ‘Data-informed Design’ perspective in order to propose a co-design direction for those practitioners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centered on data. To achieve this, the data interpretation and ideation processes of design and business practitioners are observed, and the results are quantified. Methods : Through empirical research, we observed the process in which design practitioners and business practitioners analyze data and generate ideas. Subsequently, we separated the interpretation process from the ideation process for analysis.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we conducted protocol analysis and classified the topics into ‘Business Management’, ‘Design Output’, ‘Customer Response’, and ‘Infra & Structure’. We compared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speech between design and business practitioners for each topic. For the ideation process, we evaluated the ‘Novelty’, ‘Usefulness’, and ‘Commercial Appeal’ of ideas generated by design and business practitioners and we compared the results. Results :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the data interpretation process. By topic, designer practitioners spoke more frequently and for longer durations than business practitioners about ‘Design Output’, while business practitioners spoke longer than designer practitioners about ‘Business Management’. Furthermore, while designer practitioners tended to swiftly approach problems across topics based on their knowledge, business practitioners relied on data and focused on ‘Business Management’. The data-informed ideation process was analyzed.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when and how the two groups utilized numerical and visual data,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ideas based on numerical data. When analyzing data-informed ideation by topic,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ow the two groups utilized numerical and visual data, as well as in the evaluation of ideas by topic.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practitioners and business practitioners when interpreting and generating ideas based on the same data, and derives considerations for ‘Datainformed co-design’ for them.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