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로사와 아키라(黑澤明)의「멋진 일요일」의 構成考-하숙집 장면을 중심으로-

        이시준 ( Sijun Lee ),장경남 ( Kyong Nam Jang ),황민호 ( Min Ho Hwa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0 No.2

        映畵は戰後的混亂と生活で中でも夢と希望を失わないようにという主題を明確に打ち出している。本稿ではこ的主題が各シ-ン的中で具體的にど的ように具現されているかを明らかにした。考察的結果を整理すると以下的通りである。第一に、構成に關してであるが、「素敵な日曜日」は書書よそ``個的シ-からなって書り、監督は``現實``と``夢(想像, あるいは童心)``を內容にする各シ-を適切に配置して連結させることによって主人公的心的な變化を效果的に表している。第二に、下宿的場面が持つ構成上的意義に關してであるが、二人的戀人的感情的解消(カ夕兒シス)を通じて、映畵的前半部的暗鬱な雰圍氣が後半部的明るい雰圍氣に轉換する機能を擔當している。第三に、``下宿的場面``で的演出に關してである。末ず監督は``雨``という自然現象と``沈默``を通じて主人公的慘めな心理を强化させ書り、二人に淚を流すようにして葛藤を解消させ映畵的前半部的暗鬱な雰圍氣から後半部的明るい雰圍氣へ轉換させるきっかけを作っている。最後に下宿的場面で登場した小品``熊人形``は後に野外音樂堂でもう一度登場する。こ的人形は女主人公的純수さと童心を象徵する。ぶらんこに乘る場面で童心を完全に回復した二人は、一緖に廢墟で想像的カフェ-を經營する口-兒プレ-を、野外音樂堂で指揮者となることができた。 The movie conveys the definite theme not to give up dreams and hopes against the postwar confusion and hardships of life. It`s clear how this theme is embodied in each sequ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srt, I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movie. Wonderful Sunday is composed of 14 sequences. The director placidly describes the pessimistic Yuzo regaining hope and dream due to the encouragement of the optimistic Masako. Each sequence is about ``reality`` and ``dream(imagination or innocence of childhood)``. The director arranges each sequence properly so that he can effectively represent Yuzo`s mental change. Second, It is in regard to the constructive meaning of the scene ``lodging louse``. From a constructive perspective, This scene changes the gloomy atmosphere of the first half into the bright atmosphere of the second half through two lovers` emotional dissolution(catharsis) and prepare for the subsequent scenes like theatre of situations ``hyacinth`` and the ``conducting in a concert garden``. Third, It is in relation to the directing of the scene ``lodging louse``. Above all, using natural phenomenon ``rain`` and non-speaking ``silence``, the director tries to describe effectively and reinforce Yuzo`s miserable state of mind. In addition, the tears of two main characters symbolize various emotions intricately. Shedding tears, they resolve an emotional conflict and taking this opportunity, the gloomy atmosphere of the first half is changed into the bright one of the second half. Finally, the props ``Teddy Bear`` appears in the scene ``lodging house`` and ``conducting in the concert garden``. A grown-up woman hanging a teddy bear on her bag in a war-worn and dark reality shows her ``childish``. In the scene of ``swinging``, regaining his innocence entirely Yuzo can imagine himself running a cafe with Masako on the ruin and conducting an orchestra. With this, the audience may not feel a sense of incompatibility from their behaviors.

      • KCI등재

        『금석이야기집 今昔物語集』의 어령신앙(御霊信仰) 관련 설화에 대한 고찰

        이시준(Lee Sijun),장경남(Jang Kyongnam),황민호(Hwang Min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자가 원령(怨靈)이 되어 지벌을 내리는 것을 어령(御靈)이라 하고, 그것을 믿는 것을 어령신앙이라 한다. 이러한 원령과 어령신앙은 일본 고대말 원정기에 성립된 설화집『금석이야기집 今昔物語集』에도 숫자는 적지만 대표적인 어령신이 된 나가야왕 長屋王,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藤原廣嗣 그리고 도모노 요시오 伴善男등이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어령의 특징과 당시의 일본고대인의 어령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가를 정사의 사료와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금석이야기집』의 어령신앙 관련설화는 모두 고대 일본의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서 패배한 인물이 특정 개인이나 사회에 지벌을 내리고 어령으로 신앙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나가야왕,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도모노 요시오 등 어령신이 된 인물들은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 연류되어 모함을 받아서 유배를 가는 등의 이유로 억울하게 죽게 되는데 이는 나라 말, 헤이안시기의 정치적 특징과 관련이 있다. 또한, 『금석이야기집』의 어령신앙 관련설화는 어령 신앙자체가 원령의 억울한 누명을 위로하여 그 지벌을 피하고자 했던 만큼, 역사적 사실(史實)과 비교했을 때, 원령의 입장에서 억울한 누명을 확실히 인정하며 때로는 그 인물을 신격화하며, 모두에게 신앙을 받고 있기에 그 지벌은 중단되어 더 이상 없거나, 약하다고 하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석이야기집』이 일본 고대시대의 선행 설화집을 거의 망라한 일대 설화집임에도 불구하고, 령(어령)에 관한 설화가 매우 적고, 심지어 미치자네 원령신에 대한 언급하지 않는 것은 편찬의 목적과 관련되는 사안으로 이에 대한 고찰은 금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means that People have a belief in Mononoke[a vindictive spirit] who met a violent death, became a Spirit and inflicts divine punishment. In Konjaku monogatari made in the end of ancient Japan, representative Mononokes like Prince Nagaya, Fujiwara no Hirotsugu, and Domono Yoshio appears.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ales in relation to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n Konjaku monogatari include the story in which the character that got defeated in a conflict of political interests is punishing specific individual or society and worshiped as ‘Reigning Spirit’. The character who became ‘Reigning Spirit’ like Prince Nagaya, Fujiwara no Hirotsugu, and Domono Yoshio got involved in political interest, was entrapped, was sent into exile and was killed on a false charge. This story helps us understand Regency―political characteristic in Heian Period of Japan. Second, as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tself aims to lay a revengeful spirit to rest for avoiding the punishment, in comparison with a historical fact, tales in relation to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n Konjaku monogatari acknowlege the resentment over false charges from Mononoke’s point of view, sometimes deify that character and convey the contents that since Mononoke is worshiped by everyone, the punishment was stopped, got weaker or disappeared.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자가 원령(怨靈)이 되어 지벌을 내리는 것을 어령(御靈)이라 하고, 그것을 믿는 것을 어령신앙이라 한다. 이러한 원령과 어령신앙은 일본 고대말 원정기에 성립된 설화집『금석이야기집 今昔物語集』에도 숫자는 적지만 대표적인 어령신이 된 나가야왕 長屋王,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藤原廣嗣 그리고 도모노 요시오 伴善男등이 등장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어령의 특징과 당시의 일본고대인의 어령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가를 정사의 사료와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금석이야기집』의 어령신앙 관련설화는 모두 고대 일본의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서 패배한 인물이 특정 개인이나 사회에 지벌을 내리고 어령으로 신앙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나가야왕,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도모노 요시오 등 어령신이 된 인물들은 정치권력의 이해관계에 연류되어 모함을 받아서 유배를 가는 등의 이유로 억울하게 죽게 되는데 이는 나라 말, 헤이안시기의 정치적 특징과 관련이 있다. 또한, 『금석이야기집』의 어령신앙 관련설화는 어령 신앙자체가 원령의 억울한 누명을 위로하여 그 지벌을 피하고자 했던 만큼, 역사적 사실(史實)과 비교했을 때, 원령의 입장에서 억울한 누명을 확실히 인정하며 때로는 그 인물을 신격화하며, 모두에게 신앙을 받고 있기에 그 지벌은 중단되어 더 이상 없거나, 약하다고 하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석이야기집』이 일본 고대시대의 선행 설화집을 거의 망라한 일대 설화집임에도 불구하고, 령(어령)에 관한 설화가 매우 적고, 심지어 미치자네 원령신에 대한 언급하지 않는 것은 편찬의 목적과 관련되는 사안으로 이에 대한 고찰은 금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means that People have a belief in Mononoke[a vindictive spirit] who met a violent death, became a Spirit and inflicts divine punishment. In Konjaku monogatari made in the end of ancient Japan, representative Mononokes like Prince Nagaya, Fujiwara no Hirotsugu, and Domono Yoshio appears.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ales in relation to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n Konjaku monogatari include the story in which the character that got defeated in a conflict of political interests is punishing specific individual or society and worshiped as ‘Reigning Spirit’. The character who became ‘Reigning Spirit’ like Prince Nagaya, Fujiwara no Hirotsugu, and Domono Yoshio got involved in political interest, was entrapped, was sent into exile and was killed on a false charge. This story helps us understand Regency―political characteristic in Heian Period of Japan. Second, as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tself aims to lay a revengeful spirit to rest for avoiding the punishment, in comparison with a historical fact, tales in relation to the belief in Reigning Spirit in Konjaku monogatari acknowlege the resentment over false charges from Mononoke’s point of view, sometimes deify that character and convey the contents that since Mononoke is worshiped by everyone, the punishment was stopped, got weaker or disappeared.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가 실시한 조선 민간전승 조사 고찰

        이시준(Lee Sijun),김광식(Kim Kwangsik) 동아시아일본학회 2012 일본문화연구 Vol.44 No.-

        This paper examines the series of three studies on the Korean folklore conduct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academic affairs bureau compilation division in the 1910s. The compilation division which compiled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textbo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Korean textbook”) studied on 1912, 1913 and 1916. Examination of these studies will show the influence on these textbooks. First, the author discovers and examines the documents written by the textbook authors in compilation division in the 1910s, then analyz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including folktales. Especially I confirm that Shogo Oda, the division chief, conceived the idea of utilizing folktales to interest Korean children and also justify colonial rule based on the Ilsun-Dongjo-Ron (Japan-Korea single ancestry theory). The Korean textbook included “Hokburi Yeonggam” a folktale with a similar motif of the Japanese one for the first three periods in a row. The author verifies the background of including this folktale through the report collection published in 1913 and Korean folktale collections written in Japanese. Among the Korean folktale collections written in Japanese, “Chosen no Monogatari-shu (Korean folktale collection)” written by Toru Takahashi in 1910 was the only collection published before the first textbook compilation. This material is similar to the first Korean textbook, but there is a limit to the proof of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refore, the author analyzes the content of newly discovered “jeongseol-donghwa josa sahang” which Shinpei Ogura in compilation division had compiled, and verifies that the content overlapped the folktale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 It turns out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ducted investigation to include the folktales related to Japan/Korea. And the author also considers the possibility that “Hokburi Yeonggam” included in the first Korean textbook which Ogura helped compile was included with reference to the report collection published in 1913.

      • KCI등재

        1920년대 전후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설화집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이시준(Lee, Sijun),김광식(Kim, Kwangs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3

        1908년 경성일보 기자 우스다 잔운의 「조선총화」(『암흑의 조선』에 수록)를 시작으로 1910년대부터 일본어로 간행된 조선설화집(이하, 일본어 조선설화집)이 본격적으로 간행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이야기집과 속담』(1910), 아오야기 쓰나타로의 『조선야담집』(1912), 나라키 스에자네의 『조선의 미신과 속전』(1913), 미와 다마키의 『전설의 조선』(1919) 등이 계속해서 간행되었다. 필자는 그간 조선설화 자료를 발굴하고 기초적 서지사항을 밝히는 작업을 주력해 왔는 바, 그 연장선에서 본고에서는 이하의 고찰을 하였다. 먼저 다카기 도시오의 신문연재 설화자료를 발굴 소개하고 『신일본교육구전설화집』의 수록작품과 관련지어 출전, 영향관계에 대한 문제, 신문연재 설화와 단행본에 수록된 설화와의 구체적인 비교고찰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그리고 야마사키의 『조선의 기담과 전설』에 관해서는 선행연구가 불충분했던 야마사키의 경력을 조사하고, 설화집 발간 경위가 '일선동조론'에 기초한 신념을 가지고 '내선인 융화'를 위해 일본인을 대상으로 조선을 이해시키고, '내선동원'임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임을 명확히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지마 야스히데의 『온돌야화』에 관해서는 선행연구가 불충분했던 다지마의 경력을 조사하고, 『온돌야화』의 편찬의도, 수록설화의 출전, 소화의식에 관해 언급하고, 출전인 『요지경』과 『개권희희』의 비교고찰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1908년 경성일보 기자 우스다 잔운의 「조선총화」(『암흑의 조선』에 수록)를 시작으로 1910년대부터 일본어로 간행된 조선설화집(이하, 일본어 조선설화집)이 본격적으로 간행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이야기집과 속담』(1910), 아오야기 쓰나타로의 『조선야담집』(1912), 나라키 스에자네의 『조선의 미신과 속전』(1913), 미와 다마키의 『전설의 조선』(1919) 등이 계속해서 간행되었다. 필자는 그간 조선설화 자료를 발굴하고 기초적 서지사항을 밝히는 작업을 주력해 왔는 바, 그 연장선에서 본고에서는 이하의 고찰을 하였다. 먼저 다카기 도시오의 신문연재 설화자료를 발굴 소개하고 『신일본교육구전설화집』의 수록작품과 관련지어 출전, 영향관계에 대한 문제, 신문연재 설화와 단행본에 수록된 설화와의 구체적인 비교고찰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그리고 야마사키의 『조선의 기담과 전설』에 관해서는 선행연구가 불충분했던 야마사키의 경력을 조사하고, 설화집 발간 경위가 '일선동조론'에 기초한 신념을 가지고 '내선인 융화'를 위해 일본인을 대상으로 조선을 이해시키고, '내선동원'임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임을 명확히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지마 야스히데의 『온돌야화』에 관해서는 선행연구가 불충분했던 다지마의 경력을 조사하고, 『온돌야화』의 편찬의도, 수록설화의 출전, 소화의식에 관해 언급하고, 출전인 『요지경』과 『개권희희』의 비교고찰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일본의 여우각시담의 전승과 변용에 관한 고찰

        이시준(Lee, Sijun),최유미(Choi, Yoom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여우각시를 둘러싼 이류혼인담은『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를 비롯하여 많은 문헌에서 다루어졌다. 『영이기』상권 제2화는 시조유래ㆍ자손후일담을 전하는 여우혼인담으로서 ‘이류로부터 어떤 특별함이 계승된다는 것’을 인정하여 여우에 대한 신성성을 보여준다. 『영이기』상권 제2화의 계보를 잇는 여우각시담은『부상략기』,『수경』,『신명경』에도 수록되어 있으나『신명경』의 수록담은 여우에 대한 신성성이 배제되었다. 한편 불교수용자의 감각으로 재구성된 가야노 요시후지 계통의 여우각시담이 『선가비기』,『금석이야기집』,『원형석서』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은 여우를 유독 요사한 존재로 그려내며, ‘여우를 기피하는 시각’이 깔려 있었다. 그러나 좀 더 후대에 나타난「고와타기쓰네」와「시노다즈마」는 여우를 우호적으로 그리고 있으며, 이는「시노다즈마」가 불교포교를 목적으로 한 창도문예의 한 편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인과응보’라는 불교적 교훈을 강조하여 설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현대 옛날이야기의 여우각시담 역시 대체로 혼인의 원인을 이류구조(동물구조, 동물방생)에서 찾고 있으며, 결말도 인과응보적인 관점에서 구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역사상 최고의 음양사 아베노 세이메이를 여우의 자식이라고 한 것은, ‘이류 자식의 번영’을 이야기한 고대 신화와도 관련된다. 이들 이야기는 엄밀히는『영이기』의 여우각시담과 다른 내용이지만, 내재되어 있는 원형은 바로『영이기』로부터 이어진 것으로, 그 원형은「시노다즈마」를 통해 재현되었고, 현대의 옛날이야기에도 그 맥이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Nihon Ryoiki〉 was the Japanese first Buddhist fable established by Monk Kyokai in period of Kouin(810~824). The stories are composed of three volumes which include fables regarding not only Buddhist miracles and interests but also heterogeneous marriages stories in which humans and minorities are married. Heterogeneous marriage stories were once revealed in ancient Japanese myth. This myth is the archetype of heterogeneous marriage stories and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such stories. The fact that this myth is recorded in the 〈Nihon Ryoiki〉 shows the evidence of chronological change and the clue for contemplation of change. 〈Nihon Ryoiki〉’s fox wife tale acknowledges the sacredness of minorities just like myths. It can be seen in various types of documents - 〈Hus?ryakki〉, 〈Mizukagami〉, Otogi Zoshi, etc. - and shows the chronological change. The tales of snake groom and Oni(goblin) groom were not transmitted through certain genealogy, but the perspective of avoiding snakes or the evilness of Oni characterized in 〈Nihon Ryoiki〉 can be seen in later fables so that the influence of such tales can be guessable. The story has a long tradition of marrying animals and human. In this study dealt with the story of the fox. Next, we will conduct research on other animals, such as snakes and monkeys, as well as Fox. 여우각시를 둘러싼 이류혼인담은『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를 비롯하여 많은 문헌에서 다루어졌다. 『영이기』상권 제2화는 시조유래ㆍ자손후일담을 전하는 여우혼인담으로서 ‘이류로부터 어떤 특별함이 계승된다는 것’을 인정하여 여우에 대한 신성성을 보여준다. 『영이기』상권 제2화의 계보를 잇는 여우각시담은『부상략기』,『수경』,『신명경』에도 수록되어 있으나『신명경』의 수록담은 여우에 대한 신성성이 배제되었다. 한편 불교수용자의 감각으로 재구성된 가야노 요시후지 계통의 여우각시담이 『선가비기』,『금석이야기집』,『원형석서』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은 여우를 유독 요사한 존재로 그려내며, ‘여우를 기피하는 시각’이 깔려 있었다. 그러나 좀 더 후대에 나타난「고와타기쓰네」와「시노다즈마」는 여우를 우호적으로 그리고 있으며, 이는「시노다즈마」가 불교포교를 목적으로 한 창도문예의 한 편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인과응보’라는 불교적 교훈을 강조하여 설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현대 옛날이야기의 여우각시담 역시 대체로 혼인의 원인을 이류구조(동물구조, 동물방생)에서 찾고 있으며, 결말도 인과응보적인 관점에서 구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역사상 최고의 음양사 아베노 세이메이를 여우의 자식이라고 한 것은, ‘이류 자식의 번영’을 이야기한 고대 신화와도 관련된다. 이들 이야기는 엄밀히는『영이기』의 여우각시담과 다른 내용이지만, 내재되어 있는 원형은 바로『영이기』로부터 이어진 것으로, 그 원형은「시노다즈마」를 통해 재현되었고, 현대의 옛날이야기에도 그 맥이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Nihon Ryoiki〉 was the Japanese first Buddhist fable established by Monk Kyokai in period of Kouin(810~824). The stories are composed of three volumes which include fables regarding not only Buddhist miracles and interests but also heterogeneous marriages stories in which humans and minorities are married. Heterogeneous marriage stories were once revealed in ancient Japanese myth. This myth is the archetype of heterogeneous marriage stories and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such stories. The fact that this myth is recorded in the 〈Nihon Ryoiki〉 shows the evidence of chronological change and the clue for contemplation of change. 〈Nihon Ryoiki〉’s fox wife tale acknowledges the sacredness of minorities just like myths. It can be seen in various types of documents - 〈Hus?ryakki〉, 〈Mizukagami〉, Otogi Zoshi, etc. - and shows the chronological change. The tales of snake groom and Oni(goblin) groom were not transmitted through certain genealogy, but the perspective of avoiding snakes or the evilness of Oni characterized in 〈Nihon Ryoiki〉 can be seen in later fables so that the influence of such tales can be guessable. The story has a long tradition of marrying animals and human. In this study dealt with the story of the fox. Next, we will conduct research on other animals, such as snakes and monkeys, as well as Fox.

      • KCI등재

        일본의〈천인각시〉설화 유형에 관한 통시적 고찰

        홍성용(Hong, Seounyoung),이시준(Lee Sij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일본의 〈천인각시 天人女房〉, 혹은 〈날개옷설화 羽衣說話〉는, 전 세계적으로 백조처녀 설화 Swan Maiden tales에 속하며,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설화와 유사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어 비교학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일본의 구전설화 자료가 국내에 거의 소개되지 않은 탓으로 기존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밖에 일본의 설화자료가 다루어지지 않았고, 한일 양국의 관련설화를 적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유형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남아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 번째로 일본의 문헌설화의 개요와 유형 분류를 검토하였고, 두 번째 일본의 구전설화 유형분류에 관한 검토 및 문헌설화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일본민담통관 日本昔話通觀』의 분류가 과도하게 세분화되어 내용을 파악하기 곤란하고, 한국의 설화와의 비교를 위해서도 하위유형을 통합해야만 했다. 이에 오자와 도시오의 ‘세계이동’의 개념을 이용하여, 「지상체재형」, 「천인승천형」, 「남편승천형」, 「재이별형」의 4가지 분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선녀와 나무꾼> 의 유형과 비교하였다. 한국의 유형 분류 중 ‘세계이동’ 개념과 유사한 기준을 가진 배원룡의 분류가 필자의 유형과 비교하는 데에 있어 가장 적합한 분류였다고 판단된다. 유형 분류를 통해서 보면 일본의 <천인각시>는 ‘천녀중심 이별이야기’가 많으며,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는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나무꾼 중심 난제극복 이야기’가 많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비교 결과, 일본의 「지상체재형」은 한국에 존재하지 않고, 한국의 「나무꾼 선녀 동반 하강형」 및 「나무꾼 시신 승천형」은 일본에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세계이동의 구도를 가진 유형이었다. 일본의 <천인각시>유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유형분류를 제안했는데,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비교 설화적 관점으로는 한일 양국의 관련설화를 적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즉 유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각 유형에 속하는 설화 각편(各編), 특히 일본의 『통관』수록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비교대상의 설화를 명확하게 밝힌 것은 소기의 성과라 할 수 있다. Japanese 〈A Heavenly being wife〉, or 〈Feather robe tale〉 belongs to Swan Maiden tales worldwide, which has been researched from a comparative research viewpoint, since it has similar story to〈A fairy and a woodman〉. However, Japanese oral tradition tale material has been only partly introduced, and there"s some missing points, e.g. such tale type was not suggested to be accurately compared with the relevant Korean and Japanese tale. Here, this research firstly reviewed the outline of Japanese literature tale and type classification, second, considered the review of Japanese tradition tale type classification and relation with literature tale. And, third,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content since the classification of 『Japanese folk tale overview(日本昔話通觀)』 was too wide and difficult to comprehend the content, also, subordiate type should be integrated also for comparison with Korean tale. Here, this research suggested 4 classifications, i.e. 「Ground stay type」, 「Heavenly man"s ascension type」, 「Husband ascension type」, 「Re-separation type」, using the concept of Ojawa Dosio"s "World movement". Lastly,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consideration with Korean 〈A fairy and a woodman〉 type. Among Korean typ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Bae, wonryong"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imilar standard with "world movement" was most proper in respect of comparing with the researcher"s type. 일본의 〈천인각시 天人女房〉, 혹은 〈날개옷설화 羽衣說話〉는, 전 세계적으로 백조처녀 설화 Swan Maiden tales에 속하며,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설화와 유사한 줄거리를 가지고 있어 비교학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일본의 구전설화 자료가 국내에 거의 소개되지 않은 탓으로 기존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밖에 일본의 설화자료가 다루어지지 않았고, 한일 양국의 관련설화를 적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유형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남아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첫 번째로 일본의 문헌설화의 개요와 유형 분류를 검토하였고, 두 번째 일본의 구전설화 유형분류에 관한 검토 및 문헌설화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일본민담통관 日本昔話通觀』의 분류가 과도하게 세분화되어 내용을 파악하기 곤란하고, 한국의 설화와의 비교를 위해서도 하위유형을 통합해야만 했다. 이에 오자와 도시오의 ‘세계이동’의 개념을 이용하여, 「지상체재형」, 「천인승천형」, 「남편승천형」, 「재이별형」의 4가지 분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선녀와 나무꾼> 의 유형과 비교하였다. 한국의 유형 분류 중 ‘세계이동’ 개념과 유사한 기준을 가진 배원룡의 분류가 필자의 유형과 비교하는 데에 있어 가장 적합한 분류였다고 판단된다. 유형 분류를 통해서 보면 일본의 <천인각시>는 ‘천녀중심 이별이야기’가 많으며, 한국의 <나무꾼과 선녀>는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나무꾼 중심 난제극복 이야기’가 많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비교 결과, 일본의 「지상체재형」은 한국에 존재하지 않고, 한국의 「나무꾼 선녀 동반 하강형」 및 「나무꾼 시신 승천형」은 일본에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세계이동의 구도를 가진 유형이었다. 일본의 <천인각시>유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유형분류를 제안했는데,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비교 설화적 관점으로는 한일 양국의 관련설화를 적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즉 유형을 제시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각 유형에 속하는 설화 각편(各編), 특히 일본의 『통관』수록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비교대상의 설화를 명확하게 밝힌 것은 소기의 성과라 할 수 있다. Japanese 〈A Heavenly being wife〉, or 〈Feather robe tale〉 belongs to Swan Maiden tales worldwide, which has been researched from a comparative research viewpoint, since it has similar story to〈A fairy and a woodman〉. However, Japanese oral tradition tale material has been only partly introduced, and there"s some missing points, e.g. such tale type was not suggested to be accurately compared with the relevant Korean and Japanese tale. Here, this research firstly reviewed the outline of Japanese literature tale and type classification, second, considered the review of Japanese tradition tale type classification and relation with literature tale. And, third,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content since the classification of 『Japanese folk tale overview(日本昔話通觀)』 was too wide and difficult to comprehend the content, also, subordiate type should be integrated also for comparison with Korean tale. Here, this research suggested 4 classifications, i.e. 「Ground stay type」, 「Heavenly man"s ascension type」, 「Husband ascension type」, 「Re-separation type」, using the concept of Ojawa Dosio"s "World movement". Lastly, this research conducted comparative consideration with Korean 〈A fairy and a woodman〉 type. Among Korean typ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Bae, wonryong"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imilar standard with "world movement" was most proper in respect of comparing with the researcher"s type.

      • KCI등재

        『日本靈異記』の冥界觀 : 先代中國說話集の影響を中心に 선대 중국설화집의 영향을 중심으로

        李市埈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7 No.2

        『冥報記』に大きな影響を受けている『靈異記』には計16の冥界譚が收錄されている。本稿の目的は『靈異記』と『冥報記』を比較しながら、『靈異記』の冥界譚の特徵を浮彫りにすることある。まず、冥界譚の一般的な話型を提示し、『靈異記』と『冥報記』の兩說話をここに適應させ、話型による關連話の指定に客觀性を期した。具體的なモチ-フや思想などに關しては「物乞いの冥鬼」と「善業と惡業の輕重を量る方法」が兩書で共通的であって、『靈異記』に及ぼした『冥報記』の影響であろうと推測した。一方、「黃泉の國」「黃조火物」などのように『靈異記』に上代の他界觀·死靈觀が投影されている点に關しては『靈異記』の冥界觀から古代の思想を直接引き出すのは飛躍であると結論づけた。今後『靈異記』の冥界觀の全貌を明らかにすべく、より多くのモチ-フと內容を對象に『冥報記』との比較を豫定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