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를 넘나드는 재일서사 이민진의 『파친코(PACHINKO)』론

        이승진(李丞鎭)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5

        This paper examines Min–Jin Lee’s Pachinko, a novel that surpasses nationalistic interest and imagination, within the history of Zainichi literature. The racist view of the Japanese toward the Korean–Japanese society intensified with the rise of the “anti–Korean” sentiment in the 2000s. New authors like Hwang Yeong–Chi and Choi Sil emerged and shed light on the young Korean–Japanese generation facing this sentiment. Tokyo Ueno Station, a novel by Yu Mi–Ri that won the U.S. National Book Award for Translated Literature in 2020, revealed the falseness of the “emperor system” in the midst of the social inequality in Japan. These authors show that Zainichi literature still conveys the critical mind embrac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Min–Jin Lee, a 1.5th–generation Korean–American author released Pachinko to the world after spending nearly 30 years writing. While adhering to the typical subject matter and theme of Zainichi literature, Lee portrays “differences” in a form of a chronicle by objectively and elegantly describing the attitude of human beings who face the providence of an unequal world. The attitude of the author, who moved away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East Asia, is revealed in her work which imparts historical facts through the creative use of the English language. Pachinko can function as a mirror that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the Zainichi literature; it leads to diverse interpretations. In this sense, a more elaborate approach to this work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일문학에 나타난 ‘집’이라는 장소

        이승진 ( 李丞鎭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재일조선인 문학에 묘사된 ‘집’이라는 공간에 주목하여, 그 변주 양상을 폭넓게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재일 2세대에게 ‘집’은 자신들의 자의식을 위협하는 존재이자, 동시에 안정시키는 이율배반적인 성격으로 그려진다. ‘아버지’와의 관계, ‘아버지의 집’으로 회귀할 수밖에 없다는 심리상태, 현실에서 대면하는 일본사회의 부조리함과 같은 문제 앞에서 ‘집’은 더 이상 1세들이 인식했던 자명한 장소가 아니라 훨씬 더 복잡하고 불가해한 성격으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이른바 ‘재일의 집’의 출현이었는데, 이때 이미 ‘1세의 집’, ‘조선의 집’과 명징하게 구분되는 재일 특유의 장소가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장소는 본질적으로 불투명하고, 불가해한 공간이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해명하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 2세 작가 김학영과 이회성을 시작으로 이기승과 이양지가 조형해 온 집은, 주인공들의 현실 인식 차이만큼이나 다양하게 분기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명되지 않는 장소라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 장소는 자식 세대가 자신들의 존재 근거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반대로 존재 근거를 위협하는 형태로 부상하기도 하지만, 어느 쪽이든 간에 자식들의 현실감각을 제어해 버린다는 점에서 재일의 ‘협소함’을 상징하는 역할을 떠맡아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 3세 작가들이 이 불가해한 집을 끊임없이 응시해온 배경에는, 재일이라는 삶이 근본적으로 지난한 것이며 외면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현실인식을 가장 적절하게 투영해 낼 수 있는 장소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유미리와 가네시로 가즈키와 같은 신세대 작가의 등장과 함께 ‘재일의 집’은 변용한다. ‘민족’과 ‘조국’이라는 관념이 ‘알 수 없음’의 영역으로 넘어온 지 오래인 그들에게 ‘집’은, 과감히 해체하거나 자신의 일상감각에서 포착할 수 있는 대상이어야 했다. 하지만 ‘재일의 집’을 가까스로 저 협소함에서 탈출시킨 듯 보이는 이들 작품 역시, 주로 ‘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등장인물들의 고뇌를 풀어내고 있다는 사실은, ‘집’이 여전히 재일세대의 ‘자의식’을 둘러싼 물음들과 밀접히 관계하는 장소임을 의미한다. 여기에 ‘재일의 집’을 둘러싼 해석의 의미와, 다양한 전망의 가능성이 소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本稿は、在日朝鮮人文学に描かれた「家」という空間に注目し、その変容を幅広く考察したものである。在日2世文学において、「家」は、子供たちの自意識を脅かす存在であり、同時に安定させる二律背反的な性格をもって描かれてきた。「父」との関係、「父の家」に回帰するしかないという心理状態、現に直面している日本社会の不条理さという問題の前で、「家」はもはや1世たちが認識していた自明の場所ではなく、はるかに複雑で不可解な性格に変貌してしまう。いわゆる「在日の家」の出現とも言えるが、この時、すでに「1世の家」や「朝鮮の家」とは異なる、在日特有の場所が作られたと見てよい。 この場所は、本質的に不透明で、不可解であり、それゆえ、どのような方法であれ、解明してみたい欲望を呼び起こす空間でもある。そして、在日2世作家、金鶴泳と李恢成をはじめ、李起昇と李良枝が描いた家は、多様に分岐しているものの、まだ解明されていない場所という点で共通するように見える。この場所は、子供たちが自分たちの存在根拠を確認する過程において重要な役割を果たすのだが、結局、子供世代の現実感覚を制御してしまうという点で、在日の「狭さ」を象徴してきた。それにもかかわらず、2、3世の作家がこの不可解な家を絶えず見つめてきた背景には、この場所こそ、在日するという辛さを最も適切に投影できる空間であったからであろう。 やがて、柳美里や金城一紀のような新世代の作家の登場と共に「在日の家」は変容する。「民族」と「祖国」という観念が「解らなく」なってきた現在、彼らにとって「家」は、思い切って解体するか、自分の日常感覚をもって理解可能な場所で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しかし、「在日の家」という狭さから、辛うじて逃げ切ることができたように見える彼らの作品もまた、主に「家」という空間を中心に登場人物たちの苦悩が描かれているということは、「家」がまだ在日の世代の「自意識」をめぐる問いと密接に関係していることを意味するといえよう。ここに「在日の家」をめぐる解釈の意味と、さまざまな見通しの可能性があると思わ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