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도행전 1:6-8의 대위임 명령과 리더십 승계의 유형

        이승문(Lee, Seung Moon)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사도행전의 리더십 승계 유형에 대한 분석과 이상적인 모델 연구의 중점적인 핵심에는 〈예수그리스도-12사도(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위해 사도행전 1장 6-8절에 나오는 예수 승천단락에 반영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1장 6-8절 단락에 대한 종말론적 접근이나 기독론적 접근 등과 같은 신학적인 접근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누가는 이 단락을 통해 예수의 대위임 명령 유형(type)을 누가공동체의 리더십을 승계하는 모델로 설정하여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누가는 사도행전 1장 6-8절에서 증인이 되라는 선교위임을 통하여 리더십 승계가 예수로부터 제자들에게로, 더 나아가 제자들로부터 누가공동체 멤버들에게로 계속 승계가 이어지기를 기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선교위임을 통하여 누가공동체는 먼저 예수의 하늘로의 여행으로 인하여 예수가 성령을 통하여 제자들에게 부여한 권능으로 리더십을 승계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더 나아가 누가는 누가공동체 구성원들이 제자들에게 부여된 권능과 리더십을 승계 받았기에 이제 누가공동체 멤버들도 스데반이나, 바울처럼 증인으로서의 여행을 시작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read the ascension narrative of Jesus in Acts 1:6-8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succession.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ological and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I argue that the final words of the risen Jesus at his departure to the heaven demonstrate a type or a formula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Lukan community. In other words, with the charge of becoming witnesses to Jesus’ resurrection, the disciples are now the next agents of God’s salvific ministry on earth. In turn,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first witnesses are expected to be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 of witnesses, i.e., the members of the Lukan community. Hence the double succession, once from Jesus to his disciples, and then from the disciples to the community of believers who heard from them. Figures like Stephen and Paul represent the second-generation witnesses, who are invited to embark their own journeys as witnesses and ultimately succeed their predecessors to the leadership of the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빌립보 교회를 위한 바울의 리더십 승계 전략 : 초기 그리스도교회와 사회 정치적 상황을 중심으로

        이승문(Seung-Moon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논문의 목적은 빌립보 교회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사회 과학적 전망에서 재구성하고, 바울이 빌립보서를 저술한 목적과 빌립보 교회의 상황을 수습하기 위하여 동역자들을 어떻게 세우고자 했는지를 고찰하려는것이다. 빌립보 교회는 주로 루디아와 같은 하나님 경외자 출신을 포함한 이방인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되었다. 바울과 함께 빌립보 교회를 설립한 루디아 이후에 교회 내의 주요 리더십은 가정 교회의 지도자였던 유오디아와 순두게 등의 여성 리더들이 주도하였다. 루디아가 초기에 가졌던 리더십 이후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리더십들이 서로 갈등 관계에 직면한 소식을 듣자 바울은 ‘카리스마적 교회’보다 더 안정적인 ‘직무적 교회’ 로의 전환을 위해 빌립보서를 기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빌립보 교회는 교회 내의 리더십들 간 갈등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상태였기에 바울은 자신의 중재에 의해 교회의 대표자였던 에바브로디도의 리더십에 권위를 더 강화하여 복귀시킨 후 빌립보 교회의 대표 동역자로서 교회를 직무적 교회로 전환하기를 희망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아울러 바울이 디모데를 빌립보 교회로 파송하지 않고 자신의 곁에 두고자 했던 것은 여러 정황상 옥중에서 자신의 임박한 죽음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기에이를 대비한 자신의 리더십 승계가 긴요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Philippian church from a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so that it can better examine the purpose of Paul’s Epistle to the Philippians and how Paul empowers his co-workers in order to deal with the conflict within the church. Gentile Christians, including God-fearing gentiles like Lydia, constitute the better part of the Philippian church. After Lydia co-established the Philippian church with Paul, women leaders such as Euodia and Syntyche played the main leadership roles within the church. However, when Paul heard about the conflict between women leaders, he wrote the letter to the Philippian church for transforming the church from a ‘charisma-oriented’ church to a ‘office-oriented’ church (Max Weber). For this purpose, he reinforced the leadership of Epaphroditus and sent him to the church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since Paul anticipated the possibility of his death in the prison, he did not send Timothy and placed Timothy near him for the succession of his leadership.

      • KCI등재

        저주와 복과 약속의 삼중 대상인 `그리스도`와 갈라디아교회

        이승문(Lee, Seung Moon)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4

        본 논문의 목적은 바울이 갈 3:10-14 단락에서 ‘저주’와 ‘복’과 ‘약속’의 삼중 대상으로 그리스도를 언급함으로 갈라디아 교회 내의 어떠한 반응을 기대하였는지를 고찰하려는 데 있다. 즉 본 논문은 이러한 삼중 대상인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갈 3:10-14에 반영된 구조를 전후 문맥 속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바울은 저주의 대상과 복의 대상 그리고 약속의 대상을 각기 구분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여기서 독특한 점은 그리스도가 세 부류의 대상에 모두 포함되어 저주의 상징뿐만 아니라 아브라함의 복의 상징이며, 성령의 약속의 상징으로서 기능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바울이 의도한 것은 단지 저주의 대상과 복의 대상 그리고 약속의 대상을 구분 짓기보다는, 오히려 그리스도를 통하여 세 대상을 하나로 연결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바울이 이 단락 내에서 저주를 ‘그리스도’를 비롯한 ‘우리’와 모든 사람들이 설 수밖에 없는 자리로 설정하고 있는 의도를 포함하여 다루었다. 이러한 견지에서, 바울은 그리스도가 저주를 받은 이유와 우리를 저주에서 구속한 이유에 대해 논증한다. 그 이유는 이방인들에게 아브라함의 복을, 바울을 포함한 갈라디아 교회의 크리스천들인 ‘우리’에게 성령의 약속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무엇보다도 이방인들과 우리가 이와 같은 ‘복’과 ‘약속’을 받기 위해서는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믿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바울의 저주 단락의 강조점은, 율법의 행위들에 의존하는 자들을 믿음에 속한 자들과 구별 짓고 그들을 비난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유대인 크리스천들과 이방인 크리스천들 중에 율법의 행위에 의존하는 자들과 믿음에 속한 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함으로 갈라디아 크리스천들의 신앙의 동질성을 회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바울은 3:10-12에서 율법의 행위들에 의존하는 자들을 저주 아래 있는 자로 규정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13-14절에서는 바울을 포함한 갈라디아 크리스천들인 ‘우리’ 모두와 ‘그리스도’조차도 저주 아래 있는 자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울이 저주의 대상 가운데 율법의 행위들에 의존하는 자들과 함께 자신을 포함한 ‘우리’와 ‘그리스도’를 포함한 것은 결국 복과 약속의 대상 가운데에도 지금 율법의 행위들에 의존하는 자들도 미래에는 돌이켜 믿음에 속한 자들로 설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what response Paul intended to elicit from the Galatian churches when he presented Christ as a receiver of all three, namely, ‘curse,’ ‘blessing’ and ‘promise.’ That is, we will examine Galatians 3:10-14 in its context with respect to Christ in the triple receptions. While mentioning separately the receiver of curse, blessing and promise, respectively, Paul stated that Christ was a common receiver of all the three and symbolized not merely the curse of the law, but also of Abraham’s blessing and of the promise of the Spirit. In other words, Paul intended in the given text not to separate the receivers of curse, blessing and promise from one another, but rather to integrate the receivers of the three categories in Christ. Furthermore, this study also explains why Paul considered everyone, including ‘Christ’ and ‘we’ (3:13), to be under the curse of the law. He elucidated to the Galatian recipients why Christ was under the curse and, at the same time, redeemed ‘us’ from the curse. The reason was that Abraham’s blessing would be given to the Gentiles and ‘we,’ signifying the Galatian Christians and Paul, could receive the promise of the Spirit. The faith in Christ was essential in order that Gentiles and ‘we’ might receive the ‘blessing’ and the ‘promise’ altogether. In the pericope of the curse, Paul’s emphasis was not on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relied upon the works of the law and others who were of faith and reprehending the former. Rather, he purposed in that passage to restore the concord of the Galatian Christians in terms of their faith. To this end, our apostle attempted to resolve the ecclesial conflict between those who were of the works of the law and ones who were of faith. These two groupings were ethnically mixed of Jews and Gentiles. In 3:10-12, Paul regarded those who depended upon the works of the law as placed under the curse of the law, and, in 3:13-14, he also remarked that ‘we’ and even ‘Christ’ were under the same curse. Our apostle expected that those were of the law would turn to faith and become beneficiaries of the blessing and the promise.

      • KCI등재

        예수의 죽음과 누가공동체의 불가피성의 심리기제

        이승문(Seung Moon Lee)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meaning of what Jesus said on the cross—“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Luke 23:34a)”—and the passage on Jesus’ trial in light of a social-scientific bibl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a critical point of who is responsible for Jesus’ death. As the Lukan community was expanding and diverse groups were included, Luke had to find a wa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inclusion of a certain group who is in/directly responsible for Jesus’ death. Under this problem, conflict between diverse groups in the Lukan community was aggravated, and then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acceptable” or “unacceptable”—in light of class and ethnic differences. Given this situation, Luke assigned responsibility to every member, not a particular group. In addition, Luke tried to relive responsibility and minimize a problem of guilt. Luke stood with the “acceptable” group who tried to accept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Jesus’ death and transformed the problem of Jesus’ death as “our” problem. Luke further assigned responsibility to “laos” who symbolically represents the newly defined people of God and consequently to everyone. In this process of assigning responsibility, Luke emphasized Jesus’ declaration of forgiving sin and ignorance in order to restore the damaged identity. More importantly, Luke reinterpreted Jesus’ death in that his death ultimately fulfills the prophecy and God’s salvific plan.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Luke transformed the inner conflict in the Lukan community and encouraged to continue its inclusive and comprehensive mission in the world.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meaning of what Jesus said on the cross—“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Luke 23:34a)”—and the passage on Jesus’ trial in light of a social-scientific bibl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a critical point of who is responsible for Jesus’ death. As the Lukan community was expanding and diverse groups were included, Luke had to find a wa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inclusion of a certain group who is in/directly responsible for Jesus’ death. Under this problem, conflict between diverse groups in the Lukan community was aggravated, and then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acceptable” or “unacceptable”—in light of class and ethnic differences. Given this situation, Luke assigned responsibility to every member, not a particular group. In addition, Luke tried to relive responsibility and minimize a problem of guilt. Luke stood with the “acceptable” group who tried to accept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Jesus’ death and transformed the problem of Jesus’ death as “our” problem. Luke further assigned responsibility to “laos” who symbolically represents the newly defined people of God and consequently to everyone. In this process of assigning responsibility, Luke emphasized Jesus’ declaration of forgiving sin and ignorance in order to restore the damaged identity. More importantly, Luke reinterpreted Jesus’ death in that his death ultimately fulfills the prophecy and God’s salvific plan.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Luke transformed the inner conflict in the Lukan community and encouraged to continue its inclusive and comprehensive mission in the world.

      • KCI등재

        초대교회의 리더십 승계의 모델과 기능 -사도행전 1:9-11과 사회과학적 비평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승문 ( Lee Seung Moon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8 대학과 선교 Vol.3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신약성서의 리더십 승계 유형에 대한 분석과 이상적인 모델 연구의 중점적인 핵심에는 <예수그리스도-12사도(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사도행전 1장9-11절에 나오는 예수 승천단락에 반영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예수-제자들 리더십 VS 엘리야-엘리사 리더십 패턴을 비교 연구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신 연구로는 국내의 정종성(2013) 등과 국외의 John S. Kloppenborg와 Joseph Verheyden이 공동 편집한 The Elijah-Elisha Narrative in the Competition of Luke(2014) 등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으나, 신학적인 관점과 수사학적 관점 등으로 엘리야와 세례요한이 닮았고 엘리야가 예수와 공통점이 있다는 등등의 유비를 통해서 새롭게 보려고 시도하였으나 다소 미진한 상태에 있다. 그 이전에 연구된 켈리(Joseph G. Kelly, 1984)를 비롯한 일군의 학자들이 사도행전 1장의 예수의 승천 단락에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와 엘리야-엘리사 리더십 승계의 유사성과 연관성에 대해서 매우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다루고 있으나 그 차이점과 개별적인 신약성서의 누가-행전의 개별적인 중점 사항을 간과하고 있어서 매우 설득력이 부족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와 엘리야-엘리사 리더십 승계를 임파워링 리더십과 함께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였다. 누가공동체는 동양사상의 체계순환론의 두번째 단계인 수성기(守成期)에 속하여 수성 리더십이 필요하였다고 보았다. This essay aims to analyze types of leadership succession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reflected in the ascension of Jesus in Acts 1:9-11, which rep-resents an ideal model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New Testament. By comparing the empowering leadership of Jesus-disciples and that of Elijah-Elisha, this paper offers an innovative and novel model of leadership succession. There are some recent literatures, such as The Elijah-Elisha Narrative in the Competition of Luke, eds. by John S. Kloppenborg and Joseph Verheyden, which attempted to present new perspectives, but they still need further development. Specifically, previous studies by Joseph G. Kelly and other scholars provided sophisticated accounts of affinities and re-latedness between the leadership succession of Jesus-disciples and that of Elijah-Elisha, but they overlooked differences and special foci of the Luke-Acts. Therefore, this essay presents a rigorou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leadership succession of Jesus-disciples and that of Elijah-Elisha from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s.

      • KCI등재

        갈라디아 공동체의 ‘그 영’[성령]의 경험과 ‘그 영’[성령]의 약속의 대상

        이승문(Seung Moon Lee)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4

        본 논문은 갈라디아서의 ‘그 영’[성령]의 경험(3:2-5)과 ‘그 영’[성령]의 약속(3:14)의 대상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연구의 주제가 사회학적 성서해석의 전망에서 바울과 갈라디아 공동체와 갈라디아 대적자들의 삼자간 역학관계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 멤버들이 ‘그 영’[성령]을 받은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아브라함의 복과 아브라함의 자손들과 그리고 아브라함의 약속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음을 천명했다. 더 나아가 바울은 그들에게 성서의 약속을 상기시킴으로 복음의 진리 가운데 서도록 했다. 갈라디아서 3장에서 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가 ‘율법의 저주’의 대상이며, ‘아브라함의 복’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 영[성령]의 약속’의 대상임을 주장했다. 이와 같이 바울이 주장한 것은 갈라디아 공동체의 갈등을 해소하고, 그들을 대적자들의 ‘다른 복음’으로부터 바울이 전한 복음으로 회귀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바울은 ‘그 영[성령]의 약속’과 ‘그 영[성령]의 경험’의 이야기를 통하여 ‘다른 복음’에 동조한 갈라디아 공동체 멤버들을 바울의 복음으로 옮기도록 유도했다.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the social functions of ‘the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pirit’ and ‘the promise of the Spirit’ that are dominant in Galatians 3:2-5, 3:14, and to articulate upon how they were interpreted in the interplay of Paul, the Galatian community, and the opponents of the Galatian community. Paul argued that the Galatian members could be the object of the blessings of Abraham, sons of Abraham, and joint heirs in the promises of Abraham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receiving the Spirit. In addition to this, Paul helped to remind them about the promises of the Scriptures by which they could stand in truth of the Gospel. In Galatians 3:10-14, Paul asserted that the Galatian community was the object of ‘the promises of the Spirit’ as well as ‘the curse of the Law’ and ‘the blessings of Abraham.’ The intention behind this assertion was to resolve the conflict within the community, to help them to reject the opponents’ gospel, and conform to the gospel presented by Paul. In essense, Paul persuaded the Galatian members of the different gospel to transfer in his gospel through the Story of ‘their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pirit’ and ‘the promises of the 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