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속도에 대한 욕구좌절감이 운전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순열 ( Lee Sun-yeol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7 교통안전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차량 운전 중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 운전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운전자의 속도에 대한 욕구좌절은 희망 주행속도와 실제 주행속도의 차이로 구성개념화 되었다. 연구결과 4가지 도로조건 모두에서 운전자들의 희망 주행속도는 실제 주행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4가지 도로조건을 종합한 평균 속도 욕구좌절은 운전 스트레스 척도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속도 욕구좌절이 높아짐에 따라 운전 스트레스 척도의 강도 점수와 진행장애 요인, 시간압력 요인 등이 다른 운전 스트레스 척도 점수들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속도 욕구좌절을 백분위 점수에 따라 4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여 운전 스트레스 척도 점수들과 과속단속 그리고 가해·피해 교통사고 경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속도 욕구좌절이 높은 운전자들은 속도 욕구좌절이 낮은 운전자들보다 운전 스트레스 척도의 점수들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운전자의 속도욕구좌절을 조절할 수 있는 교육개발의 필요성과 여러 가지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더불어,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였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whether speed desire frustration influences in driving stress. Stress desire frustra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prefer speed and normal speed. As a result, driver's the prefer speed is higher than the normal speed on 4 road condition. Also, driver's speed desire frustration caused statistical effect in driving stress on 4 road condition. speed desire frustration effect Driving Stress Scale 5 sub-scale factors. This is that driver who experience much speed desire frustration creates high driving stress. Speed desire frustration analyzed high driver and low driver's Driving Stress Scale(DSS) score and overspeed regulation and traffic accident experience difference. As analysis result, speed desire frustration high driver driving stress high appear. However, difference of overspeed regulation experience or traffic accident experience by speed desire frustration did not appear.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심리극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이순열 ( Sun Yeol Lee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해 심리극(psychodrama)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극을 활용한 집단상담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단 1회기 과정으로 4가지 장면(현재 장면-과거 장면-핵심과거 장면-현재훈습 장면)으로 구조화되었다. 총 65명(실험집단 35명, 통제집단 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극 집단상담 사전과 사후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를 통해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우울감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극이 가진 철학 및 치료적 위치에 대해서 언급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reason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psychodrama to reduce the depression of undergraduate.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oup counseling using depression and psychodrama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developed a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of undergraduate. Th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is structured into four scenes with only one session. I expect that scenes can be clarified and simplified more than the existing psychology drama through the current scene recreation. A total of 65 students (experimental group-35 students, control group-30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dictionary (1 day before) and after the day (after one da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I mentioned the philosophical and therapeutic position of the psychological drama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통일대비 북한의 교통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

        최재원(CHOI, Jae Won),박길수(PARK, Kil Soo),이재훈(Lee, Jae Hoon),정금숙(JEONG, Keum Sook),이순열(LEE, Sun Yeol),김임태(KIM, Im Tae)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이 연구는 통일을 대비해 북한의 교통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남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남한의 보행자와 운전자 역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운전면허취득과정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통사고 3대 원인 중 북한의 경우 남한 보다 도로, 환경적 요인과 인적요인에서 매우 열악한 결과로 나타나 향후 통일을 대비해 교통시설물과 교통안전교육에 더욱 중점을 둬서 추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