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과 단어 기억에 관한 심리언어학적 분석

        이숙의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0 No.-

        본고는 기억과 경험의 상관성에 관하여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읽기 과제 수행 결과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읽기 과제의 분석 결과 1, 2차 과제 수행 모두에서 경험과 단어 기억 정도는 비례했다. 반복 실험을 하더라도 모두 단어의 평균 정답수와 분포는 경험과 비례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장기기억 내의 정보가 단어 기억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경험이 많은 읽기과제수행 결과에서 잘못 기억한 단어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난 점이 이를 반증한다. 4장에서 경험이 단어의 인출을 방해한다는 근거에 대하여 피험자의 오답 단어 분석을 통해 언어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오답 유형은 제시단어와 인출단어 간의 어휘적 의미관계에 따라 '유의관계', '대립관계', '상하위 관계', '부분관계'로 유형화가 가능하고, '주제효과'에 따라 '유추에 의한 단어'와 '내용을 압축한 단어'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유형화는 기억 과정에 반영된 피험자의 의식적·무의식적 연상이 개별적이지 않고 보편적인 심리현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In this paper, word-memory tests are conducted through letting the subjects read two different materials presented objective data about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and word-memory, and examined psychological elements that influenced on the memory process through linguistic analysis. Even repeated tests seemed to show the results that the average number of answers and distribution are proportional to experience. However, it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and word-memory is always proportional; the effects of short term memory and the information from long term act as distraction elements. In Chapter.4, the subjects' false words on the basis that experience prevent them from recalling correct words were analyzed. Each false word is the presented word or the one that is related with a topic. The result of analysing each word by the co-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the word and topic reflect the psychological aspects that bring in the memory proces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 KCI등재

        현대국어 의존명사의 탈문법화

        이숙의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본고에서는 의존형태에서 자립 형태로 변화하는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범주의 비경계성, 문법화, 탈문법화에 관한 그간의 논의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국어 의존명사의 탈문법화에 대해 '척, 나름, 때문에'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탈문법화 현상에 관한 논의는 언어 전이가 단일 방향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기존 견해에 관한 반례를 제시한다. 이러한 예들은 문법의미가 강한 지점에서 약한 지점으로, 어휘의미가 약한 지점에서 강한 지점으로 일관되게 변화한다. 따라서 문법화의 반대 현상도 일련의 체계 속에서 일어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특정 어휘의 탈문법화 진행 여부나 발달 정도에 따라 범주 전이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의존명사의 탈문법화 유형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논의하였으며, '척, 나름, 때문'이 탈문법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밝히고 자립성과 어휘의미 획득 정도에 따라 탈문법화의 발달 정도가 다름을 보여 주었다. 국어의 탈문법화 현상으로 밝혀진 예가 드물어서 탈문법화 현상을 일시적인 언어 범주 전이 현상이나 문법화의 예외 현상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탈문법화 현상이 다른 언어에서는 체계적인 언어 전이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는 점에서 국어 어휘를 대상으로 한 탈문법화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도 보다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degrammatical phenomenon of Korean bounded morphemes. This is about language change and comparison between grammaticalization and degrammaticalization. First, the traditional (historical) theory of the grammaticalization and the degrammaticalization are introduced. Grammaticalization is a process of seper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autonomy. Grammaticalization is based on the premise of unindirectionality, whereas degramaticalization hypothesis is regarded as counter directional tendencies. A morpheme that is the result of degrammaticalization gains "more lexical meaning" and gets "less bounded." In this paper, three Korean bound nouns are analyzed, which are '척', '나름', and '때문'. Recently, '척' show a tendency to change from bound noun to free noun and '나름' changes from bound noun to adverb. The degrammaricalization of '나름'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is from bounded noun to adverb with postposition '-대로'. The second is without postposition. In quite recent '때문에' is undergoing degrammaticalization process, so it could be said "on the beginning moment of degrammaticalization." The results of studies on degrammaticalization in Korean are less than on the grammaticalization, which is due to lack of degrammatical phenomenon and short history of Korean letters in document. But considering that degrammarticalization has already been accepted as a general theory in language change, we also need an in-depth study of degrammarticalization in Korean language.

      • KCI등재

        전화 상담대화 분석을 통한 종결표현의 화용적 분석

        이숙의 한국어의미학회 2019 한국어 의미학 Vol.64 No.-

        In this study, the counseling conversation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was analyzed and the meaning of sentence end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conversation participant was examined. In addition, how participants’ strategies are reflected in the use of sentence endings are examined. A total of 34 conversation counseling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transferred in this study. As a result, a total of 6,616 sentences and 23,300 tokens were analyzed The discussion mainly focu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ending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 P1 and the consultant P2 intentionally use the sentence endings. Second, P1 uses formal endings and informal endings for problem solving of P2. Thir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counseling conversation, P1 uses the integrated form with ‘- 실까요?’. This intentionally carries out indirect speech act. Fourth, P2 tries to avoid direct expression of its own mistakes in problem description at the stage of problem description. P2 uses the ‘--거든요’ and ‘-ㄴ데요’ that have the meaning function of ‘reason’. Finally, P2 uses ‘-죠’, which has the meaning of ‘confirmation’, to achieve the communication purpose of ‘problem solving’.

      • KCI등재

        생략어 복원 말뭉치 구축과 활용 방안

        이숙의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5 No.-

        This paper introduces a Zero Anaphora Resolution corpus and describes the construction and using of the corpus. The Zero Anaphora Resolution is built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atural language contexts, while the terminology is still unclear. The Zero Anaphora Resolution is useful for finding the rationale for extracting the correct answer in the automatic question and answer system. However, the construction method needs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n this paper, Wikipedia articles about ‘the president of Korea and sports’ were constructed as a corpus. If the encyclopedia document includes 'NP-이다(VNP)' as a predicate that needs to be restored, the accuracy of the automatic question and answer system can be increased. Wikipedia articles have many passive sentenc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resolution of the subject, not the resolution of the object. In the zero anaphora resolution of direct quotation, the headword or clear noun phrase that is the evidence sentence for the correct answer should be restored without focusing on the point of grammatical agreement.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pecific corpu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 Zero Anaphora Resolution Corpus is very useful for analyzing information about core vocabulary or semantic networks of vocabulary used in text. The advantage of using the corpus is that it is possible to closely grasp the structural analysis of literary works with many characters, the shifting of top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f there is this kind of sample corpus,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as an educational material on omission of subject and subject words of discourse. 본고에서는 국어학 분야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생략어 복원 말뭉치를 소개하고 전산학 분야와 인문학 분야에서 생략어 복원 말뭉치 구축에 고려해야 할 사항과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생략어 복원 말뭉치의 내용과 필요성, 형태를 소개하고, 소규모 생략어 복원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자동질의응답기술에서의 생략어 말뭉치의 필요성과 담화 내 정보 추출에 사용되는 언어정보 활용을 위한 지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언어 연구에서 텍스트 분석 과정에 생략어 복원 말뭉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4장에서는 목적에 따라 말뭉치의 구축 형태와 적용하는 문법 사항이 달라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백과사전 말뭉치 생략어 복원에서는 ‘-이다’ 구문에서 지정사를 복원 대상 술어로 설정하면 자동 질의에 대한 정답 추론이 가능한 근거 문장 찾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 직접 인용문의 생략어 복원에는 인칭 일치를 통한 자연스러운 문장 구축에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정답의 근거가 되는 표제어나 선행 문장의 명시적 명사구를 복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생략어 복원 말뭉치를 적용한 인문학 언어분석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말뭉치 형태가 필요하다. 생략어 복원 말뭉치를 언어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사용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제고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의미부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온톨로지 구축-고급 단계 [인지적 행위] 동사를 중심으로-

        이숙의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n Ontolog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focused on learner who is placed in advanced level. Lexical items, in here, are from the vocabulary index for foreign learners which is a one of report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or building a ontology, each meaning of verbs has to be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the [cognitive act] class. In section 3, class hierarchy and definition, lexical definition and semantic relation, case frame structure and argument information are described, and these information are referred to CoreNet and Sejong Electronic Lexicon of Korean. For building Korean educational ontology, in senction 4, prótége 4.1 which is a one of ontology construction tool was used. Each verb and noun(argument) was inserted into it’s class and connected by property relation markers.

      • KCI등재

        부르다'의 인지의미와 목적어의 의미 틀

        이숙의 어문연구학회 2003 어문연구 Vol.41 No.-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semantic features and subordinate categories of arguments I tried to analysis the semantic frame for arguments of Korean verb 'bureuda'. The analysis in this chapter is based on conceptual frame theory proposed by Fillmore. This also introduces cognitive models of the verb 'bureuda' with reference to categorization proposed by Lakoff. It points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meanings and the arguments. The verb 'Bureuda' concords N₁, if N₁has the semantic features [+vocal] [+language] in it's category, 'Bureuda' concords that N₂, if the category of N₂ has the semantic features [+price] [-declared] [+on material].

      • KCI등재

        라디오 정치 인터뷰 담화의 의사소통 전략 분석

        이숙의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3

        본고에서는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라디오 정치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전략을 분석하였다. 정치담화는 정책, 공약, 정당의 입장 등을 다루는 전형적인 공적 대화의 한 유형이다. 라디오 인터뷰는 형식적으로는 진행자와 정치인 두명이 참여하지만, 유권자 즉 청취자가 의사소통 과정에 깊게 관여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선거 기간 정치 인터뷰의 목적은 후보의 능력을 부각하는 것이다. 후보의 긍정적 이미지를 알리는 데 초점을 둔 대화라는 점에서 체면 세우기/위협하기 전략이 화자-청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뷰에 등장하는 후보 또는 다른 후보와 관련이 깊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답변자는 정당과 자신을 동일시 하여 정당의 입장에 불리한 질문에는 자기 자신의 생각이라는 한정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고, 인터뷰 내용이 수정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책임회피 전략을 수행한다. 책임회피 표현은 Grice 격률에 어긋하는 표현으로 불분명한 의미의 함축을 포함하는데, 간접 지시 표현, 의문문의 사용, 모호한 표현, 화제돌리기 등이 해당된다. Goffman(1967)의 체면에 관한 연구 이후 화자가 발화에 담는 사회적 가치의 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매체적 특질에 따른 담화 분석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선거 승리를 목적으로 하는 유세 기간의 라디오 인터뷰 정치담화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전략을 분석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서술형 질의응답시스템의 부가의미역에 대하여 -법률분야 <조건>의 부가의미역을 중심으로-

        이숙의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69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to consider the feature of documents for automatic language processing such as QA, and focuses on the need for detailed guidelines for semantic roles anno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QA system of descriptive legal documents. In the legal document, the analysis was focused on <conditions> among high-frequency semantic roles of adjuncts, and the necessity of a new semantic roles of adjuncts was discussed. Chapter 2, explained the importance of automatic recognition of semantic roles of adjuncts in the Q & A system. Chapter 3 introduced the semantic roles of Prop Bank and ETRI,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classifyingsemantic roles of adjuncts for perception of boundary clauses. In order to annotate semantic roles of adjuncts for boundary claus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high-frequency connective endings and analyze vocabularies which is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ve ending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a specific semantic roles of adjuncts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connective endings. In Chapter 4, a method of sequentially applying semantic roles of adjuncts when automatically finding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law was proposed. In a question about the law, <time> or <extent> can be interpreted as <condition> in an answer.

      • KCI등재

        토론 프레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이숙의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llustrating the frame of ‘discussion’. In this paper, the core members of ‘Discussion frame’ are chairman, arguers and topic which are related on the object categories. ‘Discussion frame’ comprises sub-event categories which are ‘cause(e1)’, ‘beginning(e2), ‘conflicting(e3)’ and ‘ending(e4). Each sub-event categories are activated by salient attribute. ‘Topic’ is highlighting function for the first stage(e1) of discussion frame and ‘chairman’ is highlighting in the second stage(e2) and the last stage(e4). The conflicting frame(e3) can function as a core sub-event of the discussion frame, so in this frame, ‘the arguer’ which is the core member of discussion frame and ‘conflicting’ feature is salient. The last of this paper proposed the Korean discussion frame by using same way of FrameNet methodology. A study on the frame is for knowledge of the world and human experience, it is specified depending on culture and society, so data from this kinds of studies could be helpful for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