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새별 ( Saebyeol Lee ),홍성희 ( Sunghee Hong ),황희숙 ( Heesook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수몰입이 유 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수몰입, 행복감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 적 역량,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수몰입은 행복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수 몰입은 유아교사의 행복을 57% 설명하며,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다음으로 교수몰입,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최적의 환경 구성과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lf-efficacy, teaching flow and happi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6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They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cale, self-efficacy scale, teaching flow scale and happ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lf-efficacy, teaching flow and happiness. Second,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flow affecte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lf-efficacy and teaching flow are critical variables to improv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이새별(Lee Saebyeol),황희숙(Hwang Hee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육환경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목표 달성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인 조직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유아교육 이론 및 창의성 전문가 13명과 유아교육 현장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27명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에서 2020년 3월 동안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결과의 분석은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을 반복해서 읽고 유사한 반응을 범주화하였다. 2차와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은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 CVR 값, 합의도, 수렴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다양성,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9요인, 103문항이 개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63문항으로 수정되었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총 57문항으로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주로 일반 기업 또는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직창의성 연구를 유아교육기관 조직에 접목하여 조직창의성 연구 분야를 확대하였으며, 대체로 개인수준의 창의성을 연구해온 유아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연구의 질적 도약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measures elements for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delphi method. In order this study, a panel of 27 experts consisting of 13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creativity and 14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forme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The first data were analyzed for content, and the second and third data were analyzed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kewness, median, quartile, CVR, convergence, and agre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he Delphi primary, three levels, nine factors, one hundred and thirty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Delphi second round was revised to Sixty-three question items in each of the eight factors on the three levels. At the third Delphi round was derived to Forty-eight question items in each of the eight factors, including professional competence(6 items), creative capabilities(11 items), administrator’s leadership(10 items), autonomy(6 items), communication(6 items), organizational culture(6 items), organizational resources(5 items), and creative management system(6 items), at three levels such a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scale was confirmed to be a highly reliable tool that can appropriately and consistently evaluate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regard, this sca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iagnosing and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새별(Saebyeol Lee),황희숙(Heesook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하여 관련 문헌 고찰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하여 최종안을 개발한 후, 부산 및 경상지역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 49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조사결과를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 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집된 자료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48문항을 선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위계적 2차 요인의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척도의 검사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합치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을 한 결과, 전체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는 .90으로 나타났으며, 공인타당도 척도와 본 척도의 모든 요인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척도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세 가지 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인성, 창의적 효능감,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총 48문항의 5점 Likert 평정척도로 확정되었다. 본 척도는 각 유아교육기관이 조직창의성 발현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개선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study sought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A total of 496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recruited for a survey, and an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validated through a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developed scale was confirmed through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Resul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ree factors of the individual level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1.41% of the total variance, the three factors of the group level accounte for 70.38%, and the two factors of the organization level accounted for 63.35%.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ight factors of the three levels determined them to be suitab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48 scale items was examined, and the items were selected for a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Cronbach's α for all items was calculated as .90.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OCEI scale and the developed scale showed a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The final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nsists of 48 items assessed on a five-point scale with eight factors: professional competence,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efficacy, administrator’s leadership, autonomy,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ive management system, The factors encompass three level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Hyun Park),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 계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교사 2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교수효 능감, 창의적 인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유아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의 창의적인 인성의 특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기회와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자신의 신념과 자신감을 기르기 위한 유아 교사 개인의 노력도 함께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find a way to improv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area, and data processing, including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43% were explained, followed b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upport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together with individual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ultivate their own beliefs and confidenc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연주(Yeonju Hwang),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및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B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그릿과 창의적 인성을 활용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ve impact of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sense of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In this study,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perform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sense of efficacy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ird,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enhances a teachers’ sense of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