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장애인 부부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송희 ( Songhee Lee ),임정숙 ( Jeungsuk Lim ),이미우 ( Miwoo Lee ),정세미 ( Semi Chu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Method: Five families, which were composed with par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to this study. One-tim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mother of each family and it was recorded, coded, and analysed using method of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Result: Three superordinate themes, nine subordinate themes, and 22 concepts were derived. The essence of disabled parents``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was “disabled parents`` growth with their children despite of prejudice.” This represented that even though disabled parents faced with diverse kinds of difficulties, they put their heart and soul into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y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have their feet on the ground firmly. Finally, disabled parents went out into the world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llustrated how those stories about raising children could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mily relation, and suggested possible ways to support disabled parents for raising children.

      • KCI등재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

        정순둘 ( Soondool Chung ),이미우 ( Miwoo Lee ),정세미 ( Semi Chu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연령규범이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고령근로자를 위한 고용서비스 인지가 활동적 그리고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1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중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총 630명이며, SPSS Win 18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분리적 연령규범은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용서비스 인지는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don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and negative perception on older workers, and to find out moder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welfare services in those relationship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pessimistic perception on older workers, which is basal ageism. For this purpose,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630 participants, who were 20 years old and over and lived in 15 different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sed by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s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negative perception on older workers among provinces(metropolitan areas, small towns, and rural areas); second, age norm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essimistic perception on older workers; third, moder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welfare services has been verifi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people to take a flexible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using media broadcasting and promotion of employment welfare services. Public and 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needed to chang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n older workers. Lastly, programs, which are appropriated and tailored in specific provinces, improving awareness of older workers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

        정순둘 ( Chung Soondool ),정세미 ( Chung Semi ),이미우 ( Lee Miw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와 고령친화적 환경이 연령다양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연령통합적 사회구성을 위한 대안방안에 모색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45세 이상 응답자 6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65세의 연령을 기준으로 중년층과 노년층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간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 환경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연령다양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두 집단에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다양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 고령친화적 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류에 있어서 중년층은 사회교류가, 노년층은 자녀의 교류가 연령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연령다양성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차원에서 고령친화적 환경의 마련이 필요하며, 개인적 차원에서 중년층은 사회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방안과 노년층은 자녀와의 교류가 강화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연령통합인식을 연령다양성 관점에서 조망하였으며, 개인차원의 가족, 사회의 교류와 지역적 차원인 고령친화적 환경의 마련이 연령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social interaction, and age-friendly environment on the perspective of age heterogeneity, and seeks measures for building an age integrated society. A total of 659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iddle-age group consisted of those aged between 45 and 64, and the old-age group consisted of those aged over 65.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ge-friendly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explaining age heterogeneity in both the middle-age and old-age groups. However, social interaction was only significant in explaining age heterogeneity in the middle-age group, whil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only significant in explaining age integration in the old-age group. As a result, establishing an age-friendly environment for both groups, interacting more actively with their children for the old-age group, and engaging in more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for the middle-age group c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age integ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xamines age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 heterogeneity, and that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human interaction and age-friendly in an integrated context.

      • KCI등재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정순둘 ( Chung Soondool ),정세미 ( Chung Semi ),이미우 ( Lee Miwoo ),임정숙 ( Lim Jungsu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별로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령집단은 20-44세, 45-64세, 65세 이상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령별 연령통합인식의 수준과 연령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세 연령집단 모두 지역사회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족주의로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활동참여수준은 45-64세 연령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나이로 인한 차별경험은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든 연령이 접근 가능한 지역환경구성, 긍정적 가족가치관과 관계 형성, 세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사회참여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and to find out variables affecting age integra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00 adults who are aged 20 and over.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varied across age groups, 2)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3) community accessibility and famil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plain age integration, 4) social particip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explain age integration only in the 45-64 age group. However, discrimination experiences due to age were not related to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Suggestions for age integration and constructions for age integrated society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정순둘 ( Soondool Chung ),임정숙 ( Jeungsuk Lim ),이미우 ( Miwoo Lee ),정세미 ( Semi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변수인 우울이 높고, 건강정보이해력과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강정보이해력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older people`s life satisfaction from identifying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exploring several variables (perceiv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affecting perception on ageing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study used data (400 people age 65 and over) from survey on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nducted by ``supporting project of enhancing humanities and social capacity``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older people negatively perceived psycho-social ageing; 2) older people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3) showing slightly low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4)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 on perceived psycho-social aging. With these results, the ways were suggested to improve positive psycho-social ageing and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