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장혜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3 청소년복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고,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서 만들어진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에서 415명의 표본을 선정하고, SPSS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8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각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이 진로장벽의 수준과 부적으로 관련이 됨을 발견했다. 즉,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있어서 보호역할을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였다. 즉,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진로장벽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지지가 미래에 대한 생각의 진로장벽에 대한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모두를 조절하였다. 또래지지의 수준이 증가할 때, 직⋅간접적인 부적 영향 모두가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through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differences by out-of-school duration. For this purpose, using an analytic sample from the 1st wave’s raw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this study verifies simpl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ith Models 4 and 14 of the PROCESS Macro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neglect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future orienta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In that, the level of parental neglect increases the level of depression, which in turn decreases the level of future orienta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out-of-school dur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through depression. Specifically, when out-of-school duration becomes longer,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becomes larger.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s diverse intervention ways to promote future orienta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차이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1차 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대상을 확보하였고,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의 모델 4와 14를 통해 단순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주요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은 미래지향에 부적으로 유의한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모방임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였다. 즉, 부모방임의 수준이 우울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미래지향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기간은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업중단 기간이 길수록 해당 부적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이른 음주시작과 문제음주가 우울감을 매개로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장혜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influences of early onset of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on suicidal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a sample of 952 multicultural adolescents living with at least one foreign-born parent from the 13th Korea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nducted in 2017.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onset of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having suicidal behavior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problem drinking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er likelihood of having suicidal behavior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inally,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arly onset of drinking on suicidal behavior, and perfect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roblem drinking on suicidal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reduce and prevent suicidal behavior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미취학 자녀를 둔 한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 대한스트레스학회 2023 스트레스硏究 Vol.31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rental stress on depression among single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es with a sample of 335 single parents raising children under seven years old from the raw data of the Study on the Status of Sole-parent Famili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21. Results: Single parents’ parenting stres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depression, moderated by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That is,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for parents who rated their health status as not good compared with those who rated their health status as good.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discussion suggested interventions for dealing with depression among single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미취학 자녀를 둔 한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에서 수행한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의 원자료로부터 7세 이하의 자녀를 둔 335명의 한부모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한 분석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우울에 대한 양육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이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비해 좋지 않은 경우에 더 두드러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미취학 자녀를 둔 한부모의 우울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주거환경이 한부모의 우울과 양육 스트레스를 통해 청소년 자녀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래혁,장혜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residential environment on adolescent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gether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single par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 representative sample from the raw data of the Survey of Single-parent Families in 2021 was used, and main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cales included in the survey.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utilizing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The following results were yielded from data analyses. First, single-parent families’ residential environ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dolescent children’s Internet addiction. Second, single parents’ depression had a simple mediation effect on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Internet addiction. Third, single parents’ parenting stress did not have a simple mediation effect. Finally, single par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had a dual mediation effect. That is, the level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which in turn decreased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finally decrease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has a point of contribution in that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single-parent families’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children and mechanisms behind the influence. Diverse strategies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한부모가정의 경제 악화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불안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장혜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1

        Under COVID-19 pandemic, concern about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hereafter, 'adolescents') is increasing. In this sen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through anxiety. Data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used. An analytic sample, which was made by using data from 5,851 adolescents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2020,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with the PROCESS macro Model 4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PROCESS macro Model 14.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This implies that adolescents having experienced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have much more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anxiety among adolescents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suggests that having experienced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among adolescents increases the level of anxiety and, in turn, increases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the mediating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anxiety was moderated by adolescents’ gender. That is, mediating effect was bigger on male adolescents than on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diverse intervention methods to solve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adolescents in disaster situations like COVID-19 were discussed. 코로나19 상황에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한부모가정의 경제 악화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및 불안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2020년 조사에 포함된 5,851명의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분석 표본으로 하여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14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한부모가정의 경제 악화는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한 한부모가정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수준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보였다. 둘째,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불안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했다. 이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경험이 불안 수준을 높이고, 이어서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을 높임을 의미한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한 한부모가정의 경제 악화 경험이 불안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해당 매개효과가 한부모가정의 여자청소년보다 남자청소년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정서적 지지에 의한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 대한스트레스학회 2022 스트레스硏究 Vol.30 No.4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with the Process macro Models 4 and 14.Result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negatively influenced smartphone overdependence.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emotion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orientation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rough depression.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ways to manage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정서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자료를 기반으로 Process macro Model 4와 14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우울은 미래지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부모의정서적 지지는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결핍이 정서문제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비스 도움 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래혁,장혜림 한국아동복지학회 2020 한국아동복지학 Vol.69 No.2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결핍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및 정서문제를 통한 간접적 영향과 서비스 도움 정도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2기아동패널 자료와 PROCESS macro for SPS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결핍은 학교적응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정서문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핍은정서문제를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직접적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대한 보호요인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결과, 결핍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정서문제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 영향 모두 서비스 도움 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rect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indirect influence of emotional problem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rvice usefulness. It used data from the second stag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Panel and utilized the PROCESS macro for the SP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depr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mediated the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chool adjustment. Furthermore,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 usefulness moderated both the direct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deprivation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