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가시책상 요구되는 기계공학교육의 내용과 방향

        이덕선,Lee, Deok-Seo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2 과학과 기술 Vol.5 No.10

        주요내용 1.공학교육의 방향설정의 근원은 National Requirements와 social Needs에 입각하여야 한다.2.우리나라 산업사회가 국내 기계공업에 대하여 바라고 있는 기술개선사항은 정밀성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균질한 제품을 생산하여 줄것을 원하고 있다.3.산업사회의 이와같은 Needs를 감안하여 우리나라 기계공학교육은 기계설계를 공학교육의 구심점으로 하여 교과를 편성할 것이며 소성가공에 대한 기계공학과 공업재료 및 열처리교육등을 더욱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4.국가ㆍ사회에 유위한 인재의 양성을 위하여는 대학ㆍ및 정부의 연계가 무엇보다도 긴요하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화개지역에서 영남육괴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지질구조

        이덕선(Deok-Seon Lee),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3 암석학회지 Vol.22 No.4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화개지역은 주로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캠브리아기 구성암류는 남-북 방향의 밀착습곡과 동-서 방향의 개방습곡 형태의 암상분포를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하동 회장암복합체의 서부에 위치하는 화개지역에서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변형된 암석구조에 대한 운동학적ㆍ기하학적 특징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연성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D₁ 변형과 관련된 구조요소는 대부분 D₂ 변형에 의해 전위되어 S<SUB>0-1-2</SUB> 복합엽리로 인지된다. (2) D₂ 변형은 동-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남-북 방향의 F₂ 습곡과 F₂ 습곡축면에 (준)평행하게 발달하는 D₂ 연성전단대를 형성시켰다. (3) D₃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발생하여 그 이전 형성된 구조요소들의 방향성을 국부적으로 동북동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재배열시켰다. 이는 선캠브리아기 구성암류의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밀착습곡과 동-서 방향의 개방습곡 형태의 암상분포는 각각 D₂ 변형, D₃ 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Hwagae area, which is situ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is mainly composed of Precambrian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Lithofacies distribution of the Precambrian constituent rocks mainly shows NS-trending tight fold and EW-trending open fold. This paper researched deformational phas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MRC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and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is area was formed through at least three phases of ductile deformation. (1) Most of structural elements related to the D₁ deformation were recognized as S<SUB>0-1-2</SUB> composite foliation which was transposed by the D₂ deformation. (2) The D₂ deformation occurred under the EW-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formed the NS-trending F₂ fold and D₂ ductile shear zone which is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₂ fold. (3) The D₃ deformation occurred under the NS-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partially reoriented the pre-D₃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It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Precambrian lithofacies showing NS and EW-trending folds in the Hwagae are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₂ and D₃ deformations,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경상분지 길안-청송 지역에서 단열계의 기하학적ㆍ운동학적 특성으로부터 고찰된 단층운동사

        이덕선(Deok-Seon Lee),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4

        경상분지 영양지괴와 의성지괴가 접하는 길안-청송 지역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 트라이아스기 청송화강암, 백악기 퇴적암류(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그리고 백악기 화성암류(안산암, 석영반암, 규장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북서, 북북서, 동북동, 남북, (북)북동 등 경상분지를 대표하는 다양한 방향의 단층들이 발달한다. 본 연구는 이들 단층의 발달사 및 운동성을 조사하기 위해 길안-청송 지역에 발달하는 단열계의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내 발달하는 단층들의 운동성은 대부분 주향이 동성으로 인지되며, 방향성별 단열조의 출현빈도는 동북동, 북북서, (서)북서, (북)북동, 남북 등의 방향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방향성별 단열조의 연장성은 (서)북서, 북북서, 동북동, (북)북동, 남북 등의 방향 순으로 우세하게 나타나고, 이러한 우세 방향성은 단층들의 연장성과 거의 일치한다. 방향성별 단열조의 발달사 및 운동성은 (1) (서)북서 방향 단열조의 우수향 전단단열운동 → (2) (서)북서 방향과 북북서 방향 단열조의 공액성 전단단열운동(전자: 우수향, 후자: 좌수향) → (3) 북북서 방향 단열조의 우수향 전단단열운동 → (4) (서)북서 방향 단열조의 좌수향 전단단열운동 → (5) 동북동 방향 단열조의 우수향 전단단열운동 → (6) 동북동 방향과 남북 방향 단열조의 공액성 전단단열운동(전자: 좌수향, 후자: 우수향) → (7) (북)북동 방향 단열조의 좌수향 전단단열운동 등으로 요약되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길안-청송 지역에 발달하는 단층들의 발달사 및 운동성과 밀접한 관련성 있다. The Gilan-Cheongsong area, which is in contact with Yeongyang and Uiseong Blocks of Gyeongsang Basin, Korea, consists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Triassic Cheongsong granit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Iljik, Hupyeongdong, Jeomgok Formation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andesite, quartz porphyry, felsite). In this area are developed faults trending in (W)NW, NNW, ENE, NS, (N)NE direc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in the Gyeongsang Basin. We analyzed the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fracture systems to inquire into movement history and sense of these faults in this are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faults were mainly strike-slip movement. The orientations of fracture sets show ENE, NNW, (W)NW, (N)NE, NS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Their prolongation presents (W)NW, NNW, ENE, (N)NE, NS in descending order of predominance, and also agrees with that of faults in this area. The development sequence and movement sense of fracture se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NW: dextral shearing → (2) (W)NW and NNW: conjugate shearing(the former: dextral, the latter: sinistral) → (3) NNW: dextral shearing → (4) (W)NW: sinistral shearing → (5) ENE: dextral shearing → (6) ENE and NS: conjugate shearing(the former: sinistral, the latter: dextral) → (7) (N)NE: sinistral shearing, and this resul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sequence and movement sense of faults developed in this area.

      • KCI우수등재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 남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지역의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

        이덕선(Deok-Seon Lee),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3 암석학회지 Vol.22 No.2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이하, 변성암체)와 덕천강 이남의 하동 남부 회장암복합체(이하, 회장암체) 그리고 이들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백악기 퇴적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캠브리아기 구성암류의 암상분포는 주로 남북 방향성을 보이고, 부분적으로 북동 방향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하동 남부 회장암체와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체에 발달하는 변형된 암석구조에 대한 운동학적·기하학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체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연성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첫 번째(D₁) 변형은 상부가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연성전단작용에 의해 지리산 변성암체와 하동 남부 회장암체에 북동 방향의 광역적인 지체구조와 칼집 내지 “A”형 습곡을 형성시켰다. 두 번째(D₂) 변형은 동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D₁ 변형과 같이 광역적으로 발생하여 능동 및 수동적 습곡작용에 의해 그 이전에 형성된 북동 방향의 광역적인 D₁ 지체구조의 방향성을 대부분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시켰으며, 압쇄암화작용을 통해 하동 남부 회장암체와 지리산 변성암체의 동쪽 경계부를 따라 적어도 2.3~1.4 km 이상의 폭을 갖는 연장성이 우수한 남북 방향의 연성전단대(하동전단대)를 형성시켰다. 세 번째(D₃)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하에서 발생하여 그 이전 형성된 구조요소들의 방향성을 국부적으로 동북동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재배열시켰다. 이는 선캠브리아기 구성암류의 부분적인 북동 방향의 암상분포와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암상분포는 각각 D₁과 D₂ 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덕천강 이북의 하동 북부 회장암체의 동부를 따라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하동전단대는 하동 남부 회장암체에서도 연장성 있게 발달함을 의미한다.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is mainly composed of the Precambrian Hadong southern anorthosite complex (HSAC), the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and Cretaceous sedimentary rock which unconformably covers them. Lithofacies distribution of the Precambrian constituent rocks mainly shows NS and partly NE trends. This paper researched deformational phas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SAC and JMRC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and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was formed through at least three phases of ductile deformation. The first phase (D₁) of deformation happened due to the large-scale top-to-the SE shearing, and formed the sheath or “A”-type fold and the regional tectonic frame of NE trend in the HSAC and JMRC. The second phase (D₂) of deformation, like the D1 deformation, regionally occurred under the EW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most of the NE-trending D₁ tectonic frame was reoriented into NS trend by the active and passive folding, and the persistent and extensive ductile shear zone (Hadong shear zone) with no less than 2.3~1.4 km width was formed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HSAC and JMRC through the mylonitization process. The third phase (D₃) of deformation occurred under the NS-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partially reoriented the pre-D₃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It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Precambrian lithofacies showing NE trend locally and NS trend widely in this are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1 and D₂ deformations, respectively, and the NS-trending Hadong shear zone in the eastern part of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of Deokcheon River, also extends into the HSAC with continuity.

      • KCI우수등재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서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지역의 지질구조

        이덕선(Deok-Seon Lee),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3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지체구조는 한반도의 일반적인 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이 아닌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본 논문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에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 형성과 관련된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암류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D₁ 변형은 S<SUB>0</SUB> 엽리의 상부가 남동쪽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연성전단작용으로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에 F₁ 칼집 내지 “A”형 습곡과 F₁ 습곡축면에 (준)평행한 S<SUB>0-1</SUB> 복합엽리 내지 S₁ 엽리와 D₁ 연성전단대 그리고 F₁ 습곡축에 평행한 L₁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2) D₂ 변형은 동서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D₁ 구조요소를 (재)습곡시키는 남북 방향의 F₂ 개방, 밀착, 등사, 층간 습곡과 F₂ 습곡축면에 (준)평행하게 발달하는 D₂ 연성전단대와 S<SUB>0-1-2</SUB> 복합엽리 내지 S₂ 엽리와 D₂ 연성전단대에 수반된 S-C-C 구조와 L₂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지질도 규모의 F₂ 습곡의 날개부에 해당하는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동쪽 경계부를 따라서는 F₂ 수동적 습곡작용 동안에 입도 세립화와 함께 압쇄구조와 신장선구조를 형성시키는 압쇄암화과정에서 적어도 1.4 km 이상의 폭을 갖고 연장성 있는 남북 방향의 D₂ 연성전단대(하동전단대)가 형성되었다. (3) D₃ 변형은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환경 하에서 동서 방향의 F₃ 킹크 내지 개방 습곡을 형성시켰고, D₃ 변형 이전의 남북 방향구조 요소들을 국부적으로 (동)북동 내지 (서)북서 방향으로 재배열시켰다. D₂ 변형 이전의 D₁ 광역 지체구조의 방향성은 현재와 달리 북동-남서 방향이었다. 하동 북부 회장암복합체와 그 주변부의 지리산 변성암체에 발달하는 광역적인 남북 방향의 지체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D₁ 지체구조가 F₂ 능동 및 수동적 습곡작용에 의해 남북 방향으로 재배열되어 형성되었다. 연구지역의 세 번의 변형작용은 (북)북동 방향의 염기성 암맥군의 관입 집중기로 알려진 고생대 말 이전에 발생하였다.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the Precambrian Hadong northern anorthosite complex (HNAC) and the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and the Mesozoic granitoids which intrude them. Its tectonic frame is built into NS trend, unlike the general NE-trending tectonic frame of Korean Peninsula. This paper research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t each deformation phase to clarify the ge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which was built in the HNAC and JMRC.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were formed at least through three phases of deformation. (1) The D₁ deformation formed the F₁ sheath or “A”-type folds in the HNAC and JMRC, and the S<SUB>0-1</SUB>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₁ foliation and the D₁ ductile shear zone which are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₁ fold, and the L₁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parallel to the F₁ fold axis owing to the large-scale top-to-the SE shearing on the S<SUB>0</SUB> foliation. (2) The D₂ deformation (re)folded the D₁ structural elements under the EW-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formed the NStrending F₂ open, tight, isoclinal, intrafolial folds with the S<SUB>0-1-2</SUB> composite foliation and the S₂ foliation and the D₂ ductile shear zone with S-C-C structure and the L₂ stretching lineation which is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₂ fold. The extensive D₂ ductile shear zone (Hadong shear zone) of NS trend was persistently developed along the eastern boundary of HNAC and JMRC which would be to the limb of F₂ fold on a geological map scale. The Hadong shear zone is no less than 1.4 km width, and was formed in the mylonitization process which produced the mylonitic structure and the stretching lineation with the reduction of grain size during the F₂ passive folding. (3) The D₃ deformation formed the EW-trending F₃ kink or open fold under the NS-trending tectonic compression environment and partially rearranged the NS-trending pre-D₃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The regional trend of D1 tectonic frame before the D₂ deformation would be NE-SW unlike the present, and the NS-trending tectonic frame in the HNAC and JMRC like the present was formed by the rearrangement of the D1 tectonic frame owing to the F₂ active and passive folding. Based on the main intrusion age of (N)NE-trending basic dyke in the study area, these three deformation events are interpreted to have occurred before the Late Paleozoic.

      • KCI우수등재

        산청 회장암복합체 내 발달하는 단열계의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

        이덕선(Deok-Seon Lee),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6 암석학회지 Vol.25 No.4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산청지역은 주로 선캄브리아시대 지리산 변성암복합체, 산청 회장암복합체,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청 회장암복합체 내에는 다수의 단열조의 상대적인 시간관계(선후관계 및 공존관계)와 전단단열의 발달순서 및 운동감각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하학적 지시자가 잘 관찰된다. 본 논문은 이들 다수의 단열조에 대한 방향성과 운동학적·기하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산청 회장암복합체에 발달하는 인장단열의 발달순서와 전단단열의 발달순서 및 운동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산청 회장암복합체에 발달하는 단열계는 적어도 5회의 변형단계(Dn 단계에서 Dn+3 이후단계로 명기)를 걸쳐 형성되었음이 인지된다. (1) Dn 단계: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인장단열 형성기. 이후 응력장 변화로 인해 우수향 → 좌수향 전단단열운동을 활동하였다. (2) Dn+1 단계: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인장단열 형성기. 이 단계의 단열조는 이후 좌수향 → 좌수향 → 우수향 전단단열운동으로 재활동하였다. (3) Dn+2 단계: 북서-남동 방향의 인장단열 형성기. 이후, 우수향 전단단열운동을 겪었다. (4) Dn+3 단계: 남-북 방향의 인장단열 형성기. (5) Dn+3 이후단계: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인장단열 형성기. Dn 단계는 송림조산운동 전기, Dn+1 단계는 송림조산운동 후기, Dn+2 단계는 대보조산운동 시기, Dn+3 단계는 불국사 조산운동 시기 그리고 Dn+3 이후단계는 불국사 조산운동 시기 이후에 형성되었다. The study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of the Yeongnam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the Precambrian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and the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the Mesozoic granitoids which intruded them. Several fracture sets with various geometric indicators, which determine their relative timing and shear sense, are well observed in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sequence of extension fractures, the movement sense and development sequence of shear fractures in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on the basis of detailed analysis of their geometric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fracture system of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was formed at least through five different fracturing events, named as Dn to Post-Dn+3 phases. (1) Dn phase: extension fracturing event of NNW trend. The fracture set experienced the reactivations of dextral → sinistral shearing with the change of stress field afterward. (2) Dn+1 phase: extension fracturing event of (N)NE trend. The fracture set experienced the reactivations of sinistral → sinistral → dextral. (3) Dn+2 phase: extension fracturing event of NW trend. The fracture set experienced the activated of dextral shearing. (4) Dn+3 phase: extension fracturing event of N-S trend. (5) Post-Dn+3 phase: extension fracturing event of (E)NE trend. Dn deformation formed during the early Songnim orogeny. Dn+1 deformation formed during the late Songnim orogeny. Dn+2 deformation formed during the Daebo orogeny. Dn+3 deformation formed during the Bulguksa oroge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