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 주요국의 연금제도 변화와 빈곤 측면에서의 성과 비교연구: 노동시장 구조와의 결합

        이다미(Dahmi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3

        본 연구는 유럽 주요국을 대상으로 연금제도와 노동시장 구조가 결합하여 65세 이상 노인빈곤에서 나타낸 성과와 그 경로를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Fs/QC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빈곤은 연금제도만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며, 근로 당시 노동시장 구조와 어떻게 결합하느냐에 따라 그 성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근로 당시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의 정도가 각각 노인빈곤 유발과 예방의 필요조건으로 나타난 것은 각국이 노동시장 유연성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그 성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관대한 공적연금만으로 노인빈곤을 예방하는 경로는 확인되지 않았고, 오히려 노후최저소득보장이 취약할 때 노인빈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 이중화라는 부정적 결과를 관리할 수 있는 정책조합 역시 적절한 수준의 노후최저소득보장에 있었다. 이상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외부노동시장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노동시장정책과 더불어 노후최저소득보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다층체계를 구성하는 제도 간 역할분담이 보다 명확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b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pension systems and the labour market structure (i.e. labour market flexibility and dualisation), and its outcomes for poverty alleviation of the elderly in major European countries using Fs/QC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overty is managed not only by the pension system but also by how it is combined with the labour market environment at the time of work. Second, the outcome for poverty alleviation of the elderly depends on how countries manage the labour market flexibility. Third, while the generous public pension alone does not prevent elderly poverty, limited minimum income protection for the elderly causes elderly poverty; adequate minimum income protection for the elderly manages the adverse outcome such as labour market dualisa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labour market policy -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secondary labour market – to be accompanied by adequate minimum income protection for the elderly. Furth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between income-related pension and basic income security system.

      • KCI등재

        한국 노동시장의 젠더불평등과 성별 연금격차

        이다미(Lee, Dahm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7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과거 노동시장에서 발생한 젠더불평등이 성별 연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OLS 회귀분석을 통해 연금 급여수준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다른 조건들이 모두 동일할 때 여성은 남성보다 24.7% 더 적은 연금급여를 확보하고 있었다. 이때 교육수준과 근속기간과 같은 인적 특성과, 종사상지위, 사업체규모와 같은 노동시장 특성이 성별 연금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금격차의 구체적인 원인을 차이와 차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Oaxaca-Blinder 요인분해를 실시한 결과, 총 연금격차 가운데 49.4%가 남녀의 분포 차이에서 발생하고, 나머지 50.6%는 노동시장에서의 남녀 차별로 인한 보상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같은 분포 차이와 보상 차이의 요인별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분포 차이의 가장 큰 원인은 성별에 따른 교육수준과 근속기간의 차이였고, 보상에서의 격차는 기능직과 특정 규모의 사업체에서 발생하는 남녀차별이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에 대한 크레딧제도의 확대 및 보편적 기초연금의 강화, 노동시장의 성별 직종분리 완화, 장기간 지속되어 온 차별적 임금체계의 개선 및 여성할당제 등을 통해 노동시장과 연금제도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정합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gender inequality in the past labour market affects gender pension gap among the national pension recipients focusing on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using KReIS 5th dat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OLS regression, women receive approximately 25% lower national pension benefit than men when the other conditions are controlle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job tenure and labour market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work status and firm size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mpact on gender pension gap. Secondly,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 reveals that gender gap from differences explains 49.4% of total pension gap, while the gap from discrimination accounts for the rest 50.6%. Thirdly, the major cause of the gap from differences is in both education level and job tenure. Gender discrimination by technical occupation and in specific-scale workplace influences the the gap of pension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institutional coherence between labour market and pension system is required through policies such as enlarging pension credit for women, alleviating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improving discriminative wage structure among the wage earners and introducing gender quota system in the long-term.

      • KCI등재

        가설적 위험 인구집단 방식에 따른 향후 세대별 노후소득 수준 비교: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중심으로

        이다미(Dahmi Lee),정창률(Chang Lyul Ju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퇴직연금이 향후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유의미한 제도로 기능하게 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어느 정도의 노후소득을 보장할 수 있을지를 ‘가설적 위험 인구집단’ 방식을 사용하여 세대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만 받게 될 때, 거듭된 소득대체율 하락으로 인해 상대빈곤선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퇴직연금이 의무화되어 노후소득 보장의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게 된다면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하락이 상쇄되어 미래세대의 노후소득 수준은 지금보다 크게 개선될 수 있고, 서구 국가들과 비교하여도 그 수준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이 45%로 인상되더라도 거의 모든 계층에서 급여인상은 미미한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노후소득에서 퇴직연금의 비중이 커질수록, 후세대로 갈수록, 계층별 연금격차는 점차 커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적정한 노후소득보장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퇴직연금의 의무화를 통한 역할 강화가 필수적이며, 여성, 저임금근로자와 같은 취약계층을 위한 국민연금 차원의 개선책이 동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with the mid-term or long-term old-age income levels between generations in Korea by using hypothetical risk biographies" method when the occupational pension becomes mandator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no biographies will receive old-age income beyond relative poverty line when they receive the National Pension(NPS) only. However, when the occupational pension becomes mandatory, the future old-age income in Korea will increase significantly with offsetting the effect on reduction in income replacement ratio in the NPS, which will be not less than those of the Western countries. Second, the effect that increases in income replacement ratio in the NPS by 5% will be insignificant in nearly all biographies. Third, the bigger the proportion of the occupational pension is, the larger pension gaps between income levels and between genders will b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dequate old-age income secur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oles of occupational pension throughout its compulsion and, other remedial actions in the NP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women and low-income earners should be accompanied.

      • KCI등재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에 따른 소득원천별 가구소득불평등과 요인분해: 2010년·2015년 소득분배상태의 변화

        이다미 ( Lee Dahmi ),강지혜 ( Kang Jihye ),조한나 ( Cho Hanna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6 사회보장연구 Vol.32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usehold income inequality and inequality contribution by income sources according to householder`s labour market characteristics - wage workers/non-wage workers/the unemployed -. The raw data of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in 2010 and 2015 were analysed by using Lerman & Yitzhaki(1985)`s decomposition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labour income between permanent worker and temporary/daily worker is noticeably large, and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temporary/daily worker`s household income has been worse for past 5 years. Second, public transfer income except tax credit has contributed to resolve labour/business income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effect of (direct) tax is more significant than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 Third, the result of decomposition of Gini coefficient reveals that labour/business income,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of a household`s income, has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otal inequality among the income sourc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s the proportion of income from the second earner increasing, household income inequality gets worse. Fourth, in permanent employees group, tax and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 shows the highest redistribution effect. On the other hand, public transfer income is effectively solving inequality among temporary/daily workers. Marginal effect of public transfer to lessen inequality is represented high in the group of the unemployed. Finall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structuring labour market for the better condition of unstable employees, enlarging public transfer income such as national pension and reinforcing redistribution function of tax and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 ‘좋은’ 시간제 일자리는 가능한가?

        남재욱(Jaewook Nahm),이다미(Dahmi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시간제 일자리가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속 열악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정책 실패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요인과 한국의 노동시장 제도 간에 정합성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시간제 일자리는 고용조건을 평가하는 모든 지표에서 가장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제 일자리가 열악한 주요 원인은 고용형태나 시간제 일자리 내부의 양극화보다는 시간제 일자리의 대부분이 서비스 부문 소기업에서 창출되고 있는 것에 있었으며, 이는 한국 서비스 산업의 낮은 생산성과 극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로 인해 심화된다. 셋째, 사용자를 중심으로 놓고 볼 때, 좋은 시간제 일자리의 외면은 숙련배제적 생산으로 인한 노동자 보유(retention) 불필요, 초과근로 · 한시적 근로 · 외주/하청 등 유연성 확보 대안의 존재, 노동조합 · 정부 등의 외부 압력 부재 혹은 부족, 장시간 노동문화 등 노동시장 제도 환경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제도 환경을 개선하고,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민간 지원 중심의 정책에서 노동자의 근로시간 결정권 확대 및 동등처우 법적 보장 중심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nt working conditions of the part-time workers and analyse the causes of unfavorable situations of them in spite of the policy efforts by the government in Korea. Unlike existing researches focused on policy failures, this study take note of the institutional accordance/discordance between Korean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to create qualified part-time job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art-time workers in Korea are on the most disadvantageous working conditions even compared to temporary or atypical workers. Second, the reason of the disadvantageous working conditions is that most part-time jobs are created from the service sector SMEs, which have low productivity and lousy working conditions. Third, employers in the primary labor market tend to refuse to create qualified part-time jobs because of their skill-saving production systems, alternative ways to gain numerical labor flexibility, absence or lack of external pressure from the labor or state, and long working-hour labor culture. To improve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create qualified part-time jobs, it is necessary to reorient the current part-time work policy from support for private employers to guarantee of workers’ rights. Furthermore, comprehensive labor market institution reform is required beyond policies limited to part-time employment.

      • KCI등재

        동아시아의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방하남(Hanam Phang),이다미(Dahmi Lee)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4

        지난 반세기 동안 동아시아 국가들–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초저출산 문제와 고령화를 겪으며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인구구조의 변화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유사한 역사·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이들 국가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인구고령화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인구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과거 경제성장에 기여해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게 되면서 인구학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인구학적 배당’의 개념을 통해 향후 인구고령화가 가져올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및 노동력의 고령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필요로 하며,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필수 과제임이 증명되었다.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점차 은퇴생애가 길어짐으로써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여성,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생산성 향상과 노후보장체계의 정비를 통해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간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질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During the previous half-centur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Japa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have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nd successful social development. However, going through lowest-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since 1980s, they stand at the crossroad of the serious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they haven’t experienced.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following changes of the labour market which take place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similar historical/cultural backgrounds in the dem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we analyzed the future economic and social ripple effects using the concept of ‘demographic dividend’ which means that Baby-boom generation who ha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can become a considerable burden by their retiremen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aging of population needs to be followed by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labour market in that it results in the aging of labour force as well as a decrease of productive population; besides, it is a common problem for East Asian countries to solve. In addition, as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becomes longer because of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undamentally.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labour market of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females, the elderly and modifying the old-age security system can reduce negative effects of population aging. Second, qualitative changes to enhance the institutional coherence between labour market and old-age security system should be accompanied.

      • KCI등재

        공무원재해보상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진수 ( Kim Jinsoo ),정창률 ( Jung Changlyul ),이다미 ( Lee Dahmi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Civil Service’s Accident Compensation(CSAC), suggesting ration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syste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coverage in the CSAC, the legal scope of civil servants does not correspond to coverage in the Civil Service’s Pension law. Second, the death on public duty in the CSAC are divided into the death on duty and the death on dangerous duty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danger, thus differentiating the level of compensation and causing unfairness between civil servants. Third, while the individual benefits under the CSAC tend to be low, shortage of coordination in relation to double benefits can cause over-compensation for the civil servants. Fourth, comparing between the CSAC and occupational injury compensation, the former is more unfair and irrational in the benefit structure and level. On the basis of those findings, the paper suggests that the CSAC should augment the long-term livelihood protection for the civil servants and improve benefit system for fair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