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로움의 병리학 : 자아, 경계, 체계 ― 불교 번뇌론의 체계적 재해석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일상의 평범한 사람들은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을 종종 자신의 외부에서 찾는다. 불교는 이와 달리 고통의 원인을 인간의 마음 안, 특히 아상의 관념에서 찾는다. 그리고 이 아상이 말나식에서 유래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고통의 극복을 위해서는 말나식이 만들어내는 아상과 같은 관념이 허상임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불교의 <자아-무아론>을 켄 윌버는 <경계-무경계론>으로 재구성한다. 그는 진화의 순차적 단계를 따라 구성되는 다섯 수준의 의식의 스펙트럼을 상정하고, 각 수준에서 구성되는 ‘나’와 ‘나가 아닌 것’ 간의 경계들로 인해 고통이 생겨나오는 것으로 보면서, 고통치유는 경계지우기, 즉 무경계를 통해서 실현된다고 본다. 이에 반해 필자는 진화론 및 체계론적으로 재해석된 자아론의 기반 위에서 역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이 생겨나고, 순기능적 체계구조로부터 고통치유가 실현된다고 보는 가운데, 체계론적 혹은 구조기능론적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즉 불교의 <자아-무아> 고통이론, 윌버의 <경계-무경계> 고통이론에 대해 필자는 (기능 관련) <체계구조-체계재구조화>의 고통이론을 제시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체계는 인간 삶의 평화 내지 행복을 위해 요구되는 <자아-이상(가치)-실재>의 공존을 보장할 수 있는 속성을 체화하고 있어야 하는 바, 그러한 속성은 자연과학적, 심리학적, 심리치료적, 인문학적, 철학적 설명, 유불도 전통의 지혜 등 광범위한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로부터 고통치유이론 및 실천들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People in everyday life usually seek the causes of suffering outside of oneself. Buddhism, on the other hand, proposes us to seek the causes of sufferings in our own minds, especially in the ego-image that is supposed to be produced by the Manas-vijnana. Buddhism goes on to say then, we need to go beyond the ego-centrism in order to let us be free from suffering. Ken Wilbur reconstructed this Buddhist theory of <self-selflessness> in a theory form of <boundary-no boundary>. He assumes a spectrum of consciousness of five stages that ar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ive stages of evolution, and then says that sufferings are caused through boundaries between 'ego'(inside) and 'non-ego'(outside) at every each level. He goes on to say that suffering can be cured by clearing such boundaries. In contrast to this new interpretative version of the Buddhist theory of suffering, the author of this article proposes, maybe supposed to be a synthesis of those two theories, a structural-functional theory of suffering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ystem-theory. This <(function-unsensitive) structure-(function-sensitive) restructuring> model might be viewed as a rival, on the one hand, to the Buddhist <self-selflessness> model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Wilber's <boundary-no boundary> model.

      • KCI등재

        깨달음의 본질, 기제 그리고 전략: 깨달음의 일상적 적용을 위한 시론

        이기흥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1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needs to have a multi-faceted approach to it, not a single approach. At first, I considered the enlightenment as a multi-faceted meaning of awakening, realizing, awareness and enlightenment. Accordingly, I handle the issue of enlightenment or awakening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such as epistemology, subject theory, the ontology of consciousness, the theory of thought, and relational attitude theory. From these perspectives, I will introduce various ideas concerning enlightenment. Then I will extract some points concerning the essence, mechanism, and strategies of enlightenment that appear in these enlightenment ideas. My conclusion is that the essence of enlightenment lies in the qualitative sublation or rehabilitation of the problematic ego, and its effects can lead to a qualitative advancement of society. The path of thequalitative advancement of the ego to the Self can be largely divid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way the ego removes the veil of thoughts and becomes the true Self, and the other is the way the biased ego is transformed into the non-biased ego or big Ego. About the former, the issues such as the turning the deluded mind into wisdom and enlightenment, the perception of the true light of the mind through contemplation, disidentification, and detachment are discussed. With reagard to the latter, some strategies of inversion, such as turning the mind, positions, and attitudes into opposite or not yet considered directions are discussed. The former is the path of awakening known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the latter is in the western tradition, s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that I present in this article is a kind ofsynthesis of ego-enlightenment and self-awakening on the one hand and of eastern and western enlightenment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article, I will introduce a strategy that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above mentioned intuitively. 필자는 깨달음의 이해에는 단일한 접근이 아니라, 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 함께 깨달음을 일단 깨침, 깨어남, 깨어있음, 알아차림, 계몽 등의 의미복합체로 보고, 깨달음의 문제에 인식론, 자아론, (의식)존재론, 생각이론, 관점이론 등 다각도에서 접근한다. 그리고 이들 깨달음 담론들에 나타나는 면면과 공통점들로부터 깨달음의 본질, 기제, 전략을 추출해낸다. 깨달음의 핵심은 에고의 질적 상승 내지 초월에 있고, 그것의 효과가 사회의 질적 상승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 이때 에고의 질적 상승 내지 초월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에고가 생각의 너울을 걷고 참나로 전환해가는 길, 즉 <에고→참나>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편향적인 에고가 온전한 에고로 전환되는 길, 즉 <소아→대아>이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전식득지, 회광반조, 탈동일시, 탈지향성 등이 논의되고, 그리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생각, 관점, 입장, 처지 등을 반대방향 내지 알려지지 않은 방향으로 돌리는 전환의 방법이 논의된다. 전자는 동양전통이, 후자는 서양전통이 걸어간 깨달음의 길이기도 하다는 의미에서 필자가 제시하는 깨달음 개념은 참나와 에고를 통합하고 그리고 또 동서양 깨달음 전통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글의 말미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전략 하나가 소개된다.

      • KCI등재

        지ㆍ정ㆍ의 통합 마음공부론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3 No.-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은 분노, 화, 짜증, 우울, 걱정, 과민반응 등 다양한 실존적 괴로움을 겪는다. 그러한 것들의 생성소멸에 신체, 무의식, 의식, 사고, 정서, 행동, 환경, 영성 등이 다양한 비율로 개입되어 있는데, 이 모든 것들은 인간의 실존활동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연관되거나 조직된다. 그래서 실존활동의 차원에서 마음병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유법을 개발하는 것은 곧 통합적 마음치유 및 마음공부법의 구성을 위한 한 대안일 수 있다. 이러한 류의 인문학적 마음공부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실존적 사건들이 구성되는 데 개입하는 심리적 맥락, 실존구성의 활동 그리고 실천적 맥락, 이 세 가지 층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괴로움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각 차원에서의 문제해결법을 마음공부 내지 마음치유론으로 연결한다. 이 마음공부 내지 마음치유론은 첫째, 요란한 마음을 안정시키는 정서적 방향의 마음공부, 둘째, 부정적 정서와 행동을 야기하는 잘못된 생각과 태도를 수정해 괴로움을 치유하는 지성적 방향의 마음공부 그리고 셋째, 역지사지의 전략을 통해 타자와의 갈등을 방지하는 의지적 방향의 마음공부를 포함하는, 지·정·의 통합 마음공부론이자 동양 전통의 정·혜·계 마음공부, 정·중·동 마음공부와 친화적인 마음공부론 그리고 유·불·도 통합 마음공부론의 일종이기도 하다. People routinely undergo a number of existential torments such as anger, irritability, depression, fear, worry, etc. Through out various traditions of somatic,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herapies it is well known that in the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existential torments many factors such as unconsciousness, consciousness, thought, emotion, spirituality, behavior, environment, etc. are involved in a complex way. They appear and are organized altogether in and via human being's activities. Therefore if we want to build an integrative theory of spiritual healing or mind study, we can begin with this existential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theory of spiritual healing or mind study from such a existential perspective. For that purpose, the author diagnoses, in the first place, the existential torments as functional results of problems which arise in each one of three operational dimensions of human's existential activities, i.e. in emotional or affective context (or internal context), in construction of existential activities (through a combination of purpose, reality and ego), and in practical or social context (or external context). Then, the author proposes to integrate the techniques and methods which can be used to resolve such problems in three operational dimensions of human's existential activities into a general theory of spiritual healing. Discussion on methods of spiritual healing proceeds at three levels. At first level, to introduce a special form of meta-mind (mindfulness)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irritable mind. At second level, to turn around thoughts and attitudes in order to correct the wrong thoughts and attitudes that produce negative emotions and behaviors. At third level, to stand in someone else's position in order to overcome and to prevent conflicts with others. Each phase corresponds to each concept of Jeong-hye-gye(定慧戒) or of stillness-encompasses-movement(靜中動) and each concept of spiritual healing from the Buddhism, the Taoism and the Confucianism. For that reason the theory is called theory of spiritual healing or mind study of Jeong-hye-gye or stillness-encompasses-movement.

      • KCI등재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 마음인문학의 토대정립을 위한 하나의 발견적 모델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2 No.-

        실천적 마음학을 지향하는 마음인문학의 정초를 위해서는 마음의 구조와 기능 (구조학 혹은 정학) 그리고 마음의 구조가 내외적 환경과의 관계에서 일으키는 작용을 (동력학) 논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이 기반 하에서 마음의 병이나 건강의 양상을 논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에 따른 처치의 방법과 기술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음인문학은 기존하는 동서고금의 마음 관련 담론들을 두루 살펴, 해당 자료들을 발굴하고 해석·재구성하는 가운데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기본 골격을 구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설정했다. 필자가 보기에 마음인문학의 이러한 목적에 기초적인 차원에서 부합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 중 하나가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이라 사료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의 이론적 골격을 재구성적으로 소개하면서 이를 마음인문학의 정초문제와 연계하는 가운데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마음인문학 정립을 위한 발견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마음인문학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마음의 구조, 기능, 작용의 문제와의 관련 하에 아사지올리의 정신통합이론 중에서 실천부분보다는 이론적 골격에다 두었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아사지올리의 마음모델로부터 마음인문학의 정립에 필요한 마음모델을 최소한에서나마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의 이론에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만큼 해당 학습은 앞으로 다른 심리통합이론들과의 관계에서도 좀더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마음인문학의 이론적 정립의 기본방향이 예시될 수 있기를 바란다. For a scientific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that study the practical Mind in a practical orient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first of all to determine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While the task itself is already a serious and very important job, thereafter there is another task to diagnose diseases and health of mental function, by being abl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mind, which he produced in the framework of internal and external surrounding world conditions. Finally, Mind humanities, trying to resolve the such diseases and to make the mind still healthier,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techniques that must be used to treat them. Theses are all the sorts of aspects or tasks that must be fulfilled for an establishment of Mind humanities. To achieve these tasks, Mind humanities must do first of all the things like searching, finding, 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the already existing major materials of all times dealing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ith mind. Finally Mind humanities must can design their own conceptual model of the mind. One example is here. It seems to me that the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sioli would be a good theory suitable for such a purpose.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his theory of psychosynthesis in its core reconstructively and then evaluate cri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foundational issue of Mind humanites.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questions of the structure, the function an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mind, as long as it is an urgent task for Mind humanites first and foremost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my estimation, Mind humanites can learn a great deal from the mind-model that Assagioli had submitted.

      • KCI등재

        리벳실험의 대안적 해석 ― 리벳 이후의 뇌 과학적 발견들과 자유의지

        이기흥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1980년대에 발표된 논문들에서 벤자민 리벳은 행위를 하고자 하는 행위결심이 의식되기 이미 0.35초 전에 뇌에서 신경학적 변화(준비전위)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다. 이의 해석을 두고, 리벳 및 의지결정론자들은 인간의 행위를 결정하는 것은 자유의지가 아니라 뇌에서 일어나는 무의식적 과정들이라 해석하면서, 자유의지 개념 혹은 그러한 류의 느낌은 근거가 없거나 혹은 허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후 철학자만이 아니라 심리학자, 뇌 과학자 등이 결정론자, 자유의지론자 그리고 양립론자 등으로 갈려 혼란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방향에서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현재의 자유의지 논쟁의 실정이다. 이 와중에서 리벳실험에 대한 저러한 결정론적 해석은 여전히 건재할 뿐 아니라 이의 배경에서는 또한 뇌 과학이 인간의 마음을 해킹할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본고는 리벳실험 이후 자유의지 문제와 관련해서 수행된 몇몇 주목할 만한 뇌 과학적 실험 및 데이터들을 논거로 끌어들이는 가운에, 리벳실험에 대한 결정론적 해석들에 스며있는 ‘해석적’ 오류들을 지적하고 또한 그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해석을 제시한다. 이는 지금까지의 논의의 중심에 서있는 ‘행위결심’의 문제 외에도 ‘행위계획’의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환기시켜, 준비전위(RP)를 행위결심이 아닌 행위계획과 연계해 이해하는 대신, 행위결심은 준비전위 아닌 측면준비전위(LRP)와 연계해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새로운 제안은 리벳실험을 포함한 뇌 과학적 발견들을 자체적으로 정합적이게 할 뿐 아니라, 우리의 자유의지 이념과 모순을 일으키지 않게 함으로써, 더 나아가 뇌 과학과 자유의지 이념 그리고 철학 간의 새로운 관계정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필자는 기대한다. In 1980s the neurophysiologist Benjamin Libet and his colleagues have published groundbreaking articles which show a astonishing phenomenon that, when you try to move your hand, neurological changes in your brain (readiness potential: RP) precede your conscious decision by about 0.35 seconds. The determinists, including Libet, interpret this experimental result such that body movements such as hand movement must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unconscious brainprocesses, but not as a result of the free will. From this they infer further a thesis that the idea of free will that people feel during the execution of normal everyday actions, is a false belief or an illusion. Meanwhile, reactions to this interpretation have been fierce ones. A variety of arguments and debates on the nature of the action-production mechanisms and on the causal status of free will have been produced among philosophers, psychologists and neuroscientists, etc. and as a result of it several interpretations of Libet‘s experiment haven been brought about. Nevertheless, the naturalistic interpretation that was previously once installed, still firmly in the seat.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esent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o the naturalistic interpretation, while he uses a few but important neuroscientific findings of recent times as evidences of argument. The author proposes this time to consider the meanwhile totally neglected perspective of action-planning, which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must have. In next step, the author suggests, on the one hand, to relate the RP not with the the willing of hand-moving, but with the act of the pre-planning of hand-mov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late the LRP (lateralized readiness potential) with the voluntary act of the hand-moving.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new proposal,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dea of free will, will guide not only the arena of debates on the Libet's experiment but also the question of the relevance of the neuroscientific findings to our idea of free will to a new direction.

      • KCI등재

        참나로 가는 오솔길 ― 자아의 스펙트럼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사람들은 행복하게 살고 싶어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고통과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보고자, 사람들은 불행의 원인을 각자 분석하다. 사람들은 불행의 이유나 원인을 보통 자신의 바깥에서 혹은 외적 요인에서 찾는다. 그것이 성공적일 때조차, 그것은 응급처치 정도의 의미는 있어도,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과는 거리가 멀다.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은 밖이 아닌 안쪽, 즉 ‘나’의 변화에 있다. 본고는 주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 ‘나’의 ‘변화’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두 개의 서로 다른 자아, 즉 표층의 나와 심층의 나, 비본래적이 나와 본래적인 나, 에고와 셀프를 구분한다. 번뇌와 고통은 보통 전자를 참나로 착각하면서 생겨난다는 것이 정설이다. 고통으로부터 빠져 나와 행복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 ‘나’가 변해야 한다고 할 때, 그것이 바로 에고 기반의 삶에서 셀프 기반의 삶으로 옮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이 과정을 총 일곱 단계에 걸쳐서 소개한다. 이것이 필자가 제시하는 참나로 가는 오솔길들이다. 여기서 참나는 기본적으로, 형이상학적 혹은 존재론적 시각에서 이해되는 참나 개념과 달리, 고통이나 괴로움에서 벗어나 개인 및 인류의 평화와 행복으로 나아가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나’ 혹은 그러한 부류의 이상적인 ‘나’와 관련해서 이해된다. People want to live happily, but reality is often not so. To live a peaceful and happy life free from pain and suffering, people analyze each cause of their own misfortunes. Humans generally look for reasons or causes of misfortune outside of themselves, in external factors. Even if it is successful, it means just a degree of first aid, but it is far from solving a fundamental problem. The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 lies not in the outside but in the inside, that is, in the change of 'I' to a new one as this paper argues. To discuss the change of the 'I', I first distinguish between two different selves: the surface-I and the depth-I, the authentic self, the inauthentic self, the ego and the self. According to orthodoxy of mind practice, people mistakenly hold the former (ego) among the two for their real subject, and they suffer as a result of such selection. Suffering usually results from the confusion of the ego for the true/authentic self. To live a happier life it is necessary to change my attitude and the axe of my being. That is to say that to change myself to get out of suffering and move on to the path of happiness, means moving from an ego-based life to a self-based life. This process consists of seven steps that I identify in this article. This path might be thought of as a possible way to the real/authentic self and living. Unlike the self concept which is understood from the metaphysical or ontological perspective, the real self here is main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self that knows and has the ability to move away from suffering to peace and happiness, or in relation to such an methodologically ideal 'I'.

      • KCI등재

        교육의 유형에 비춰본 인지아키텍처의 재구성적 이해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인지과학의 중핵 과제 중 하나가 인지아키텍처의 문제를 해명하는 일이다. 그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는 것은, 다양한 분야의 인지과학적 연구들이 그러한 인지계아키텍처 모델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통일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또 그에 터해 더 나아간 연구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인지과학이 태동한 이래 지금까지 계산주의, 연결주의, 체화주의, 행위주의 인지과학 등이 출현했고 그리고 각자가 자신의 인지아키텍처 모델들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주요 관심사는 이런 것이다. 특정 인지성취를 내보일 수 있는 인지아키텍처를 디자인하는 과제는 어떤 원리를 따라 진행되는가? 인지과학자들, 특히 인지아키텍처를 모델링하는 작업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 솔깃한 물음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인지과학에 대한 과학사적 시각에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아 보인다. 인지아키텍처를 구안하는 아이디어들은 그저 역사적 우연이나 천재들의 재주에 위임되어온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위 물음에 대한 답은 오히려 인지과학의 ‘밖’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은 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 필자는, 인지계를 모델링 하는 문제가 마치 지적 능력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는 교육문제와 유사해, 인지아키텍처를 모델링하는 문제는 지적 능력을 가진 인간을 양성하는 교육방법을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개진한다. 가령 계산주의 인지계는 주입식 교육, 연결주의 인지계는 민주적 교육, 체화주의 인지계는 경험 중심 교육, 행위주의 인지계는 자기주도 교육과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각 인지과학이 제시하고 있는 인지계의 모형들은 범용용도가 아닌 제한된 특수한 용도를 갖는다는 것이 또한 필자의 생각이다. 그러면 범용의 인지계를 모델링하는 문제는 어떻게 다뤄야 하나?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본고의 범위를 넘어서지만, 이 물음에 대한 대답 역시 교육론적 지혜에 귀 기울일 때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훌륭한 인간 혹은 전인의 육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유형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해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처럼, 범용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인지과학이 제시하는 다양한 인지아키텍처 유형들을 적절히 조합할 필요가 있다. One of the core tasks of cognitive science is to model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cognitive systems. This task is important,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sciences can be integrated in such a model and further research topics can be extracted from this model systematically. Since the advent of cognitive science different cognitive theories have been published, such as computer-theoretical approach, connectionist approach, approach of embodied cognition and enactive approach etc. Each of these approaches with its own model of cognitive architecture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udy of mind. But what are the principles with the help of which we can design the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This question can be interesting for cognitive scientists, especially for those people who are concerned with modeling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s. However, seemingly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a correct answer to this question out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Since it seems that the ideas about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s occur by chance or to be a personal achievement of gifted geniuses. An answer to the question, I think, could not be found within, but "outside" of cognitive science.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show the way how to resolve the task to model the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in light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educating a person to a whole-person. Since the task of how to model a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 is similar to the task of how to educate a person. For example, for the (re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computationalist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we can refer to the type of cramming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ist architecture the type of democratic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rchitecture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 kind of experience-based education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enactivist architecture the type of self-directed education. In my opinion, models of the cognitive system which cognitive sciences have suggested, have a special limited purpose, but no universal purpose. How can you deal with the modelling problem of the cognitive system for universal use? Detailed discussion about this topic is out of the scope of this paper. But you could give even a short answer to this question, when you again listen to the wisdom of education. Just as we can educate a whole person through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we can combine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architecture that the cognitive sciences have supplied in order to model a cognitive system for universal use.

      • KCI등재
      • KCI등재

        ESG와 기업권력의 문제 및 사회적 책임

        이기흥,이준호,최유화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4

        As corporations grow in size, corporations exert a very wide influence on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as they fail to take responsible corporate actions to use their influence, giant corporations are often criticized as irresponsible social organizations that cause great social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between ESG and corporate power as a fundamental background that caus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corporate activities, and stud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su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discussed in the business and social fields. 기업의 규모가 증대하면서 기업은 사회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나, 반면 자신의 영향력에 상용하는 책임있는 기업행동을 하지 못함에 따라 거대기업은 커다란 사회문제를 야기시키는 무책임한 사회조직으로 비난받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활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근본적인 배경으로서 ESG와 기업권력과의 문제를 검토해 보고, 기업과 사회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논의되어 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문제에 대해 연구한다.

      • KCI등재

        ‘마음’ 연구 방법의 변천 논리 고찰

        이기흥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영미권을 위시로 마음을 사실론적 측면에서 혹은 경험과학적 시각과 방법을 가지고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급부상하고 있다. 과거 때와는 사뭇 다른 경향이다. 서양 고중세의 영혼, 정신 등에 대한 논의는 주로 우주론적 논의 맥락에서의 사변형이상학적 성격을 띠었으며, 근세의 정신/마음의 연구는 주로 인간의 내면세계와 관련한 주관주의적 (혹은 제1자적 시각에서 진행된) 작업이었다. 이러한 주관주의적 정신 이론은 그러나 그후 철학에 도입된 언어적 전회와 함께 다소 객관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음에 대한 언어론적 혹은 의미론적 접근조차 마음/정신의 연구를 위해서는 아직 충분치 못한 것으로 이해되면서, 급기야는 오늘날과 같은 경험과학적 혹은 자연과학적 방법에 의한 마음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를 오늘날의 철학자들은 ‘마음의 자연화 프로그램’이라 칭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이러한 마음 연구 방법론들의 각 핵심 테제들을, 메타론적 시각에서, 약술하는 가운데, 과거부터 현재까지 마음 연구 방법들이 그 연구 대상의 객관화 혹은 자연화를 향해 변천해 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것이 마음의 과학화 전략의 일환으로 이해되는 것이라고 한다면, 글의 말미에서는 이 연구 전략에 대한 짧은 비판적 언급이 첨가될 것이다. Ein Forschungsprogramm, Geist zu naturalisieren, ist heute u..a. in den angelsächsischen Ländern in Hochkonjunktur. Sicherlich ist dies, im Vergleich mit den traditionellen Versuchen, ein neuartiges Vorgehen in die Geistesforschung. Schon in den altgriechischen und mittelalterlichen Zeiten wurden Aussagen über Seele bzw. Geist in verschiedener Weise gemacht. Die waren meistens einer spekulativen sowie metaphysischen Art, während die Anwendung der Begriffe “Seele” oder “Geist” sogar auf übermenschliche bzw. außerirdische Zusammenhänge hin reicht. Erst seit der Neuzeit setzte sich eine Tendenz in die Szene ein, Überlegungen über Seele oder Geist auf den Bereich des menschlichen (bzw. tierischen) Geistes zu begrenzen. Die Methode der Geistesforschung war dabei Introspektion. Aber die dadurch vermittelten geisttheoretischen Aussagen waren mit der gängigen Forderung schwerlich vereinbar, daß die wissenschaftlichen Aussagen intersubjektiv prüfbar sein müssen. Dieses Probem der subjekttheoretischen Erkenntnistheorien wollte eine Gruppe der Erkenntnistheoretiker dadurch vermeiden, die Geistesfunktion als sprachbeladene Operation zu betrachten, während Sprache ein Medium der sozialen Kommunikation ist. Wenn auch Geist dadurch ein objektiv erforschbares Phänomen werden kann, war dieser sprachtheoretische Zugang zur Geistesfunktion aber nicht problemlos. Da diese Sprachtheorie die Verifikationsmethode der epistemischen Aussagen selbst nicht vermitteln konnte. Es scheinte für andere, daß die Verifikationsaufgabe der epistemischen Aussagen semantiktheoretisch nicht mehr bewältigt werden kann. Angesichts dieser Lage der Geistesforschung bildet sich endlich das Forschungsprogramm heraus, Geist empirie-wissenschaftlich bzw. naturwissenschaftlich zu erforschen. Dieses Programm versteht sich philosophisch als Naturalisierungsforschungsprogramm des Geistes. In diesem Aufsatz versucht der Autor, mit den metatheoretischen Vokabularen, hauptsächlich die Frage zu explizieren, unter welchem philosophischen Geist oder woraufhin Hauptströmungen der (westlichen) Geistestheorien gesteuert wurden. Nur noch wird es am Ende zu dieser zu explizierenden Tendenz der Geistesforschung kritisch aber kurz kommentie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