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ㆍ청소년의 행복

        이기범(Lee Gi-Beom)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행복 추구가 교육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되어야 하는 정당성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행복감을 저해하는 요소로 한국의 교육문화를 분석하고 비판함으로써, 행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의 조건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합리적 인간은 행복을 원하므로, 교육은 행복의 의미를 파악하고 추구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학습을 증진해야 한다. 한국의 교육문화는 아동과 청소년의 특성과 차이를 무시하고, 학업과 삶에서 단일한 성공 모델만을 추구하게 요구함으로써 행복을 왜곡하고 있다. 행복을 증진하기위하여 주관적 행복감은 물론 의미 있는 삶을 지향하는 규범적 성격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행복역량’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아동과 청소년들이 원하는 필요성(needs)이 충족되고 다름과 차이가 존중되어야 한다. 또한 행복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교육문화와 학교문화가 변화되고, 학습과 교육과정이 재조직되어야 한다. 행복 학습은 지역사회와 결합되어야 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we must take happiness seriously as a goal of education, presenting some practical suggestions to expand happiness through education. Korean society tends to believe that it is neither plausible nor possible to enhance happiness through education. One viable factor conducive to this trend is an educational culture which ignores the authenticity and differences of children and demands them to conform to a largely one dimensional and monolithic model of success in school and work. This educational culture contributes tremendously to decreasing the feeling of happiness among children. To ameliorate this situation, Korean education must set the goal not only of promoting the feeling of happiness but also to develop “the happiness competences” of children. Happiness competence is more than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happiness. It is a disposition and a skill to investigate and pursue one's own version of happiness in a way that extends the public good. In order to encourage it, educational culture must be transformed so as to respect and accommodate the diverse needs and wants of children. The curriculum must also be reorganized to allow children to experience happiness in making a home, parenting, cherishing a place,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interpersonal growth, finding work that one loves, and participating in the democratic wa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唐代 論書詩에 나타난 비평 양상 고찰

        이기범(Lee Gi beom)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8 No.-

        본고는 詩의 나라라고 불리는 唐代에 있어서, 詩를 통하여 書藝를 비평하는 문화를 살펴 본 것이다. 詩가 가장 주요한 문학적인 표현 수단이었고, 書가 인재등용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했던 唐代는, 이러한 詩와 書는 문인 · 묵객들의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자 일상의 생활이었다. 그들은 일상의 주요한 관심 대상을 詩로 표현하기를 즐겨 하였고, 그러한 詩는 또 서사를 통하여 표현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 시인이자 서가였던 그들은 詩的 흥취를 書의 필체를 통하여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 그들은 그러한 글씨 자체를 詩를 통하여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作詩와 書寫, 그리고 그에 대한 비평은 매우 일상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논서시를 통한 비평은 당연히 생활 속에서 우러나오는 진솔한 비평이었다. 필자는 唐代 논서시에 나타난 비평관을 形勢論 · 骨氣論 · 通神論 · 資質論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평관을 토대로 한 논서시 비평의 특징은 첫째, 논서시 비평은 대체적으로 자기가 현재 직접 보고 있는 글씨에 대한 비평으로, 다른 사람과의 우열을 가리는 것에 비중을 두지 않고 글씨를 보고 느끼는 흥취, 곧 개인적인 情感의 전달에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상대방의 글씨에 대한 비평 속에서 은연중에 자신의 書藝觀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논서시 비평의 세 번째 특징은 隱喩的 비평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시의 특정일 수도 있겠으나, 다양한 사물의 비유를 통하여 글씨 감상에 있어서 그 풍미를 더욱 깊이 있게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네 번째 특징은 초서에 관한 것이 절대적으로 많아 전체 논서시의 60% 정도나 된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의 성당의 狂草문화나 불교의 禪宗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This study is what examined the culture of criticizing calligraphy through poetry in Tang Dynasty(唐代), which is called a state of poetry. In Tang Dynasty(唐代) that poetry was the most major literary expression method and that writing(書) was ever an important element in appointing talented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these poetry and writing were the primary concerned object and the daily life of literary people and calligraphers. They enjoyed expressing the primarily daily interesting object with a poem. Such poem couldn t help being expressed through narration as well. Hence, they, as those who had been mostly a poet and a writer, also showed poetic excitement through the handwriting of Seo(書). In addition, they ever evaluated such handwriting itself through a poem. A series of composing a poem(作詩) and writing(書寫), and criticism on it in this way were very ordinary. Thus, the criticism through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was naturally the honest criticism of coming from the inside of life. A writer figured out the view of criticism, which was shown in Nonseosi of Tang Dynasty(唐代), by dividing it into form theory(形勢論) · Golgiron(骨氣論) · Tongshinron(通神論) · Jajilron(資質論)論.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ism on Nonseosi based on this view of criticism, first, as the criticism on Nonseosi is generally the one on handwriting of being directly seen now by oneself, it is what focuses on delivering a joy of being felt with seeing handwriting, namely, a personal emotion, without giving weight to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pers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what implicatively reveals own view of calligraphy amidst the criticism on the counterpart s handwriting.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criticism on Nonseosi is what there are many metamorphical criticisms. This can be a characteristic of a general poem, but has a significance in having made its relish deeper in terms of appreciating handwriting through comparing diverse things. The fourth characteristic is what it becomes 60% enough of the whole Nonseosi(s) because there are absolutely many things on a cursive script(草書). This is closely related even to wild cursive style(狂草) culture of cathedral or to Zen sect(禪宗) of Buddhism in those days.

      • KCI등재

        루소의 도덕교육에서 정념, 이성과 동정의 상호작용

        이기범 ( Gi Beom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루소는 근대적 형태의 이성이 타자 의존적 ‘인정 투쟁’과 이기심을 증폭시켜 자유와 평등을 왜곡시킨다고 비판한다. 루소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호존중과 공통이익에 헌신하는 인간을 양성할 수 있는 도덕교육을 제시한다. 도덕교육의 핵심은 자연 상태인 ‘완전가능성’의 조건에서 도출된 정념을 마음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정념이 이성에 의하여 인도되고 동정에 의하여 변화되어 도덕으로 일반화되도록 발달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성은 정념의 발달에 필요한 판단, 추론과 성찰 기능을 제공하여 보편적 도덕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루소의 도덕교육은 최소한 세 가지 목표를 갖는다. 첫째, 자애심의 발달을 감각 발달과 함께 도모하여 후속 발달의 기초를 만든다. 둘째, 공감과 동정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인간의 마음이 개인적 차원을 벗어나 사회적 차원에서 ‘구체적 타자’를 존중할 수 있도록 도덕적 추론을 발달시킨다. 셋째, 이성의 조력에 의하여 공감, 동정과 추론을 일반화하여 상호존중의 대상을 인류라는 ‘추상적 타자’로 확대함으로써 보편적 도덕과 정의를 형성한다. 이러한 교육은 공동체적 정체성이 매우 강한 시민을 요구하는 루소의 시민교육과 구분된다. 루소가 제시하는 도덕교육과 시민교육의 적정한 연계에 관한 논의에 참고할 수 있도록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Rousseau, modern society has been on the moral decline due to excessive egoism and other-dependence aggravated by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o remedy this kind of distortion, Rousseau proposes moral education. In this education, passion, drawn from the ideal of perfectibility, plays a central role while being guided by reason and transformed by pity. For a passion-centered moral education, passions such as amour de soi and amour-propre do not need to be suppressed or restricted and they rather require direction to their proper end in the form of universal morality and justice. In this process, the sentiment of pity and the intelligence of reason serve passion for expanding its concern from the concrete others to the generalized and abstract others. This paper focuses on how passion, reason and pity interact each other for further moral development into justice. The unity of passion and reason is what makes informed moral beings and allows them to pursue the reciprocal recognition and common interest among equals. This paper finally examines the ways to connect moral education to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Rousseau`s framework.

      • KCI등재

        北宋 초기 論書詩에 나타난 顔眞卿 書에 대한 비평

        이기범(Lee, Gi-Beom) 동서미술문화학회 2015 미술문화연구 Vol.7 No.7

        이 논문은 두 가지 관점에서 작성되었다. 그 첫 번째는, 대체적으로 여러 서론서에서 안진경을 성당(盛唐)을 대표하였던 서예가로 기술하고 있는데, 과연 이것이 옳은 문제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는 북송시대 안진경의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 졌으며, 그것은 논서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의 문제였다. 먼저 첫 번째 문제는, 안진경이 살았던 동시대와 이후의 서론과 논서시를 살펴봄으로써 파악할 수 있었다. 안진경은 적어도 그가 살았던 성당과 중당(中唐)의 시대 서론서(書論書)에는 훌륭한 서예가로써 거론된 것이 없고, 그에 관한 논서시(論書詩)도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는 그의 글씨가 전혀 당시 사람들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를 성당 혹은 중당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대표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후대에 의하여 평가되어진 그 시대의 가장 뛰어난 서예가였다. 두 번째는,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소식, 황정견, 미불의 서론을 중심으로 안진경의 서예에 대한 수용을 살폈다. 그 수용이란 서론에 ‘인품(人品)’을 수용하는 것이었고, 또 안진경의 ‘신의(新意)’를 수용하는 것으로, 이것은 그들이 주장하는 ‘상의(尙意)’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수용들은 소식에 이르러 시작된 것이 아니라 북송 초기 매요신(梅堯臣) 등 여러 학자들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안진경에 대한 평가는 소식에 이르러 서예사에 왕희지 다음가는 사람으로 확고해졌지만, 그의 이론은 사실상 대부분 북송 초기 학자들의 이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었다. This study was prepar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ly, Yan Zhenqing is being described as a calligrapher who had stood for the high Tang(盛唐) generally in many introducing books. It is a point on which is it a right problem indeed? Secondly, it was a problem on how the acceptance of Yan Zhenqing(顔眞卿) was made in the northern Song period and on how it is reflected in Nonseosi(論書詩:discussible poetry). Above all, the first problem could be grasped by examining the introduction and Nonseosi in the same age and after this when Yan Zhenqing had lived. It could be known that Yan Zhenqing was never mentioned as an excellent calligrapher in the introducing book in the period of the high Tang and the mid-Tang(中唐) that he had lived at least, and that Nonseosi(論書詩) on him isn"t left. This shows that his handwriting was not an object of concern from the contemporary people at all. Thus, it is thought to be problematic to give him representative nature as a calligrapher who stands for the high Tang and the mid-Tang. He was the most superior calligrapher in the period who was evaluated by future generations. Secondly, the existing researches figured out the acceptance on Yan Zhenqing’s calligraphy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Sosik(蘇軾), Hwangjeonggyeon(黃庭堅), Mibul(米芾). Its acceptance was what accepts ‘character(人品)’ in the introduction and is also what accepts Yan Zhenqing’s ‘loyalty(新意).’ This came to be shown as ‘Sangui(尙意)’ on which they insist. By the way, these acceptances are not those that were begun with reaching Sosik(蘇軾), but is a point that has been gradually formed through many scholars such as Maeyoshin(梅堯臣) in the early northern Song. The evaluation on Yan Zhenqing came to be positive as a person who is next to Wang Xizhi in the calligraphy history with reaching Sosik(蘇軾). But his theory was what mostly accepted scholars’ theory literally in the early northern Song in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권리의 보편성과 다원 문화의 구성적 긴장

        이기범 ( Lee Gi-beom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1 아동과 권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다양성과 아동 권리의 보편성이 갈등과 상호수렴을 통하여 서로를 발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고 그 실천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다원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 가치, 의미, 관점이 공존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학문적·실천적 입장을 가리킨다. 이 입장에 의하면 문화의 다양성은 현실일 뿐 아니라 타당성을 갖고 있으므로, 권리의 보편성이 그것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수용해야 한다. 문화의 다양성과 권리의 보편성의 갈등을 이해하고 상호수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다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이 필요하다. 다름에 대한 존중의 형태는 대개 제약으로서의 존중, 불간섭주의, 성찰의 계기로서의 존중 그리고 헌신으로서의 존중으로 이야기된다. 본 연구는 사회간 문화의 차이 그리고 세대, 가치, 취향 등 사회집단간 문화의 차이에 관한 사례를 해석하고, 위 다름의 존중이 어떻게 적절하게 수용되어야 아동 권리의 보편성이 수정되고 확대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러한 사례 해석을 바탕으로 문화와 권리의 긴장을 통하여 서로를 발전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실천 원리를 제시한다. 첫째,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권리의 보편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이상을 공유하되, 실제 의사소통을 통해 이를 실현하는 상호작용적 보편주의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의 공통참조점으로 UN 아동권리협약을 적극 활용한다. 셋째, 위에 언급한 문화적 차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존중을 의사소통에 적절하게 적용한다. 넷째, 상호호혜성, 개방성, 부정성, 전도성 등의 덕목이 계발되고 의사소통에 발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갈등, 오해, 좌절을 의사소통 과정의 일부로 생각하고, 의사소통을 지속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파악해야 한다. A wide-ranging multiculturalism demands the children's rights to respect cultural differences in their own terms. It underscores those differences as the resources of moral perspective indispensable to interpret and implement the not ion of children and rights. Yet the universalizability of rights must be maintained. Facing this tension, this study intends to: 1) establish a workable balance between diversity of culture and universalizability of children's rights; 2) ex amine the possibility of forming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 between them; an d 3) suggest practical orientations to build up those relations. This study provides four modes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respect as constraint, respect as laissez faire, respect as cultural reflection, and respect as committment. After discussing the cases of inte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ra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develops five principles that can lay the ground for the formation of constitutive relations between culture and rights. Those principles are: 1) while sharing the ideal of universality of rights, to realize it through actual and ongoing communication between cultural differences; 2) to actively utilize the CRC as the common reference point in undertaking communication; 3) to properly arrange and employ four modes of cultural respect; 4) to promote the communicative virtues such as reciprocity, openness, negativity, and reversibility; and 5) confronting the limits of cultural communication, to try to accommodate it as more communication is wan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