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근대 사회 윤리로서의 “신의(信義)”의 형상화 방식에 관하여

        이경림 ( Kyungrim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해조는 이인직, 최찬식 등과 더불어 신소설의 주요 작가로 익히 거론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이해조의 사상적 지향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자료인 「윤리학」 연재물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권선징악이라는 전근대적 윤리관의 서사화라는 맥락에서 이해되어 왔던 이해조 소설 일부를 재조명할 수 있는 전환점이 마련되었다고 생각된다. 「윤리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윤리학을 ‘인식’이자 동시에 ‘실천’으로 이중 규정한 데에 있다. 근대적 학문으로서 윤리학의 근본목적은 ‘인륜의 이치’를 인식하고 이를 실천으로 옮기는 데에 있다고 기술되었던 바 있다. 이 ‘인륜의 이치’에 대한 탐구는 인간의 선악을 구분하는 표준에 대한 인식인 동시에 인간성을 가늠케 하는 척도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이해조 소설의 저류에 있는 문제의식 중 하나는 이 ‘인륜의 이치’를 형상화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촉구하는 데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소설을 ‘윤리학적’ 인식의 수단으로 제시하려는 시도는 「윤리학」의 번역에 앞서부터 잠복해있던 주제이기도 했다. 그런데 「윤리학」은 주체의 외부에 존재하는 표준에 대한 인식을 촉구할 뿐만 아니라, 이 표준이 사회의 진보에 따라 급속하게 변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표준을 올바로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맞는 표준을 새롭게 창출해낼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윤리학」은 사회의 구성원을 개인으로 규정하고, 개인이 맺을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일반을 의무와 권리의 관계로 파악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계약’의 전제 위에서 묘사되는 사회적 관계는 계약 참여 당사자로서 동등한 위치에 있는 개인, 자유의지를 가진 주체의 이미지를 동반한다. 이러한 주체는 신분질서에 근거한 전근대적 도덕질서의 바깥에 존재하므로, 이들은 계약을 통해 발생한 의무와 권리의 질서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해조는 결혼을 계약으로 묘사하고, 결혼을 그것을 포함한 근대적 사회관계 일반에 대한 제유로 사용했다. 예컨대 『홍도화』에 나타난 심상호와 이태희의 결혼은 계약 당사자의 상호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계약으로 성립한다. 그러나 『홍도화』에서의 결혼이 「윤리학」에서 묘사되었던 것과 같이 긍정적인 정념을 동반하고 공익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계약으로 나타났던 것에 비하여, 『화의혈』에 나타난 선초와 이 시찰의 결혼은 이러한 이상을 결여하고 있어, 의무-권리의 공인을 요구하는 법적 관계로서의 계약의 본질적 성격을 노출한다. 그러나 이해조의 문제의식은 계약이라는 새로운 관계 형태에 놓인두 개인 사이에 적용될 수 있는 윤리의 형상화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해조는 이를 ‘신의’로 형상화하였는데, 이는 사회적 교제에 요구되는 사회도덕으로서 그 요체는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사욕을 좇아 약속을 파기하지 않는 데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화의 혈』이나 『화세계』에 그려진 여성인물의 행동을 신의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수정과 선초의 서사를 통해 형상화된 것은 사욕을 억누를 수 있는 힘을 가진 사회도덕으로서의 신의이며, 이는 주체를 ‘인간’으로 거듭나게 할 수 있는 표준으로 제시된다. 이처럼 소설 창작에 투사된 이해조의 ‘윤리학적’ 문제의식을 고려할때, 1910년이라는 단절의 저변에 흐르는 사상적 연결점들을 드러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Lee Haejo has been well recognized as a writer devoted to Sinsoseol along with Lee Injik and Choi Chansik.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developed a remarkable research on his translation Yullihak,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major reference to understand his early thoughts and intentions to write Sinsoseol. This text can be expected to make a shift in existing interpretation paradigm which regards Lee Haejo’s works as accepters of premodern ethics orientations. The most interesting point in this text is that it explains Ethics as recognition and practice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Ethics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is regarded as to recognize the standards which divide good from evil, which make human a human. One of Lee Haejo’s major themes is to capture this standards in his works and present it to his readers. However, Yullihak requires not just to recognize the pre-existing standards but to understand that these standards can be changed as society changes rapidly. Consequently, to create new standards which can be fitted to the changed society rises as a major project. Yullihak defines that society is a collective of individuals. And it recognizes various social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s a contract. The concept of contract creates an image of subject who can be regarded as equal to the others, who have a free will to agree to the contract. This kind of subject appears beyond the pre-modern social or moral system. They can be regulated by their own contracts, not by premodern ethical regimes. Lee Haejo tried to plant this idea into marriage which can be represented as a synecdoche of other social relations. He has depicted an ideal contract in Hongdohwa, and also revealed its crucial nature in HwaoeiHyul. If a contract cannot achieve its ideal form, it can only be depicted as a legal contract. However, Lee Haejo tended to carry contracts beyond its own legal nature. His concern was to impose a moral nuance on these relations. He crystallized it as a Trust. In this context, trust is social morality required among the society. It requires to suppress selfishness when circumstances around the contract change, and to keep their promises as they made.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reconsider some behaviors of female characters in Lee Haejo’s works. Because trust can be achieved by actual performance of keeping promises, the contents of promise can be regarded as minor factors. Female characters who kept trust can achieve their human quality by their own.

      • KCI등재

        서사의 창조에 의한 자기 정위(定位)의 원칙: 최인훈의 『회색인』론

        이경림(Lee, Kyungrim)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2

        『회색인』은 독고준이 자기 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정을 서사의 중심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소설이다. 독고준의 자기 정체성 정립 과정은 그가 사유를 전개하는 과정과 긴밀하게 얽혀있으므로, 그의 사유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이 주목한 바는 독고준이 기성의 윤리를 거부하는 사유 속에서 종교의 비유가 두드러진다는 점, 그리고 독고준의 자기 정립 과정에 픽션 속 인물을 매개로 하는 메타서사적 특성이 현저하다는 점이다. 『회색인』에서는 종교, 예술, 이데올로기가 종교의 비유라는 동일한 수사학에 의해 서술됨으로써 동일한 층위에서 작동한다. 이 표상들은 모두 세계 속에 놓인 인간의 행동을 조직하는 원리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윤리의 환유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윤리의 창조가 “자기 원인으로서의 자유”에 토대해야 한다는 것이 독고준이 보여주는 문제의식의 핵심이다. 독고준에게 윤리의 환유로서 처음 포착된 것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이며, 이에 대한 거부는 월남으로 표명된다. 월남 후 남한을 규율하던 기성 윤리들 중 독고준이 거부하는 것은 기독교와 가족주의이다. 독고준은 이들을 부정함으로써 외부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자신을 구성할 토대를 얻게 된다. 이처럼 기성 윤리를 환유하는 공산주의, 기독교, 가족주의 표상 등은 피의 모티프를 통해 텍스트 내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또한 독고준의 정체성 정립은 자신을 픽션 속 인물에 비유하고 그 인물의 서사를 전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타서사적 특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특성은 소설의 주인공 독고준을 서술하고 있는 작가 최인훈에 겹쳐보게 한다. 두 경우 모두 글쓰기, 즉 서술을 통한 자기 정체성 확보가 문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독고준이 현호성의 집에 들어간다는 플롯 상의 전환을 전후하여 주체적 윤리를 모색한 인물들인 라스콜리니코프, 카프카, 드라큘라가 연속적으로 등장한다. 이 인물들은 독고준이 모방하는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정체성 정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라스콜리니코프와 카프카를 거쳐 자신이 베스의 자리에 위치해 있음을 직시한 독고준이 마지막으로 자기를 의탁하는 표상은 드라큘라다. 기독교와 가족주의를 단번에 역전시키는 이 급격한 전위는 독고준의 자기 정립에서 가장 핵심적인 순간을 보여준다. 독고준의 자기정립은 자기의 서사를 스스로 창출하는 행동자가 됨으로써 완수된다. The main structure of Hoisaekin is Dokgojun’s identity building process. When we recognize this process as a key factor to interpretate this work,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ain character’s identity. This process is interwoven with his own thoughts.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his thoughts, I tried to depict the various phases of his identity building. Religious rhetoric is evident in his notional fight against the pre-existent ethics, and meta-fictionality is apparent in his identity building process. Dokgojun imitates the characters of fiction and tries to possess their narratives as his own. In this text, there are three signifier directing ‘the ethics’. Religion, ideology and art are the principles to organize human behaviour in the given world, therefore these can be regarded as metronomes of the ethics. These are depicted by religious rhetoric altogether, and indicates the power of pre-existent principles regulating the given world. The main theme of the text is that a person has to create his own ethics as a free man. In the first phase of his identity building, Dokgojun tries to reject all the pre-existing principles. In his childhood, he confronts the North Korean communism as one of these and rejects it by defecting to South Korea. But thesouthern society has its own pre-existing principles like christianism and familism. These principles form the strictly determined world and are also depicted by religious rhetoric. Dokgojun rejects christianism because it has came from the outside, the western world. He rejects familism also because he has no family in the south. In doing so, he earns the ground ro build himself which is regulated by not the outside but only himself. Communism, christianism and familis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ymbol of blood. In the second phase of his identity building, he compares himself with the fictional characters and appropriates their narratives. Dokgojun tries ro write a novel in this time. This fact needs a special attention because it makes Dokgojun and Choiinhun overlapped. For both, identity building by writing is an urgent project. But in the case of Dokgojun, he regards art as a counterpart of the politics so he cannot finish his novels. At contrary, Choiinhun does nor seize ro write ro build his own world. In tis phase, he imitates the other characters like Raskol’nikov, Kafka and Dracula. They share a certain feature which is that they have their own principles to act. They play key roles in Dokgojun’s identity building because he uses these characters as a mirror image. When Dokgojun realizes that his position is exactly like a dog, Beth, he identifies himself with Dracula. This scene subverts christianism and familism at once, and presents the very moment of him being born newly. At last, he finishes his identity building process by signaturing his own name to the action.

      • KCI등재

        ‘근대’의 체감 : 『귀의 성』의 수용미학적 연구

        이경림(Lee, Kyungrim)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이인직의 신소설 『귀(鬼)의 성(聲)』(1907)의 ‘근대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당대의 ‘문명’·‘개화계몽’ 담론을 지시하는 ‘근대성’이나 이론적·사적(史的) 차원에서 구성된 ‘근대성’에 비교하여 볼 때, 이 논문이 초점을 맞춘 ‘근대성’은 『귀의 성』을 통해 당대 독자가 획득하게 된 세계의 변동에 대한 성긴 인식과 감각, 느낌을 포괄하는 영역에 있다. 수용미학 이론은 이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논문은 이로써 『귀의 성』이 비근대적·전근대적이라는 일반적 결론을 수정하고 해석 지평을 확장하려 하였다. 이 논문은 『귀의 성』의 주요인물 길순과 점순을 분석하기 위해 야우스가 구축한 인물-독자 동일시 모델을 활용하였다. 먼저 독자와 길순의 사이에는 카타르시스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고소설(특히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귀의 성』 초입부터 길순을 선한 주인공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길순 서사가 익숙한 지평을 따라 전개될 것, 즉 여러 중대한 고난을 겪게 되겠지만 결국 끝에는 행복해지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익숙한 가정소설 구조를 따라 진행되던 서사는 길순의 참혹한 죽음이라는 뜻밖의 결말을 맞는다. 이 충격적 결말에 의해 독자는 길순에 대한 감정적 동일시를 넘어, 기대가 좌절된 상황 자체를 문제로 인식하는 미학적 반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독자는 길순이 상징하던 구 도덕·세계관·사회 질서의 붕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자신이 알던 견고한 세계로부터 쫓겨나 갑자기 ‘중간과 끝’을 새롭게 모색하도록 내몰리는 경험을 획득한다. 이는 ‘유동적 근대’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개인적인 감각적 경험이다. 한편 독자와 점순의 사이에는 불완전한 아이러니적 동일시가 성립한다. 악비(惡婢) 점순은 전형적인 악인형 주요인물로, 역시 가정소설에 대한 선지식을 가진 독자는 점순 서사의 전개와 결말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길순을 해하려는 의도는 좌절되고 징벌받으리라는 기대다. 그러나 길순의 죽음과 동시에 서사가 마치 점순이 행복해질 것 같이 진행하는 시점에서 독자의 기대는 또다시 배반당한다. 기대가 부정된 독자는 기존의 인식을 지탱하던 세계관을 의문시할 수 있는 관점을 얻는다. 독자는 점순을 통해 경제적 부를 축적하고 지위 상승을 도모하는 근대 특유의 욕망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발견함으로써 독자의 참조점은 자신이 처한 전환기의 조선 사회 전체로 확장되고, ‘바람직한 중간과 끝’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하도록 인도된다. 텍스트는 점순을 살해하여 서사적 패배를 안겨주고, 결론적으로 익숙한 미학과 그 배면의 도덕적 세계를 아슬아슬하게 연장한다. 그러나 『귀의 성』의 독서 동안 독자는 기존의 기대를 배반하는 결정적 형식들과 여러 차례 대면한다. 구(舊) 세계는 분명 붕괴하고 있지만, 이를 대체할 새로운 세계의 상은 모호하다. 이 혼란 속에서 독자는 변화의 전모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확실히 세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피할 수 없다는 감각, 전통적 모범이 쓸모없어졌으므로 무언가 새로운 삶의 형태를 모색해야만 한다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귀의 성』의 ‘근대성’은 이와 같은 수용자의 종합적 반응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odernity of Lee Injik’s Kwiŭi sŏng(1907) from an receptive aesthetic perspective. Compared to the concept modernity, which is composed at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level, or modernity, which directed to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of the time, the “modernity” in this paper focused on the sense of the world acquired by readers of the time. This paper attempted to revise the general conclusion that Kwiŭi sŏng is non-modern or pre-modern narrative an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horizon. This paper utilizes the hero-reader identification model established by Jauss to analyze the receptive aesthetics of main character Gilsoon and Jeomsoon. First, cathartic identif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ader and Gilsoon.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recognize Gilsoon as a good character from the beginning of the text. Therefore, the reader can expect that Gilsoon’s narrative will unfold along the familiar horizon, that is, various serious hardships, but eventually become happy in the end. However, the narrative, which follows the familiar structure, has an unexpected ending to Gilsoon’s tragic death. By this shocking ending, the reader can move beyond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of Gilsoon to the aesthetic reflection stage, which recognizes the situation in which expectations are frustrated as a problem. At this stage, readers can recognize the collapse of the old moral, worldview, and social order that Gilsoon symbolized. Through the reading, the reader gains the experience of being kicked out of the solid world he knew and suddenly being forced to seek a new “middle and end.” This is a direct and personal sensory experience of fluid modernity. Meanwhile, an incomplete ironic identification between the reader and Jeomsoon is established. Jeomsoon is a typical villainous character whom readers with knowledge of traditional narratives can easily predict the development and ending. The intention to harm Gilsoon is expected to be frustrated and punished. However, the reader’s expectations are betrayed again when the narrative progresses as if she will be happy as soon as Gilsoon dies. Readers whose expectations are denied gain perspectives that can question the worldview that supported existing perceptions. Readers can find a modern desire to accumulate economic wealth and climb up a social ladder. By discovering the common desire which the reader and Jeomsoon can share, the reader’s interpretive repertories extends to the society in rapid transition he is in, and is guided to think about what “desirable middle and end” is in this time. Text kills the villain and accordingly protects familiar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moral world behind it. However, during the reading, the reader faces several decisive forms that betray the original expectations related to them. The old world is clearly collapsing, but a new world to replace it is still vague. In this confusion, the reader can not only know that the significant change is going on, but feel that collapse of the old world is inevitable, and that traditional examples have become absolete. So they are driven to seek new forms of life suitable for the world coming on. From a receptive aesthetic point of view, the modernity of Kwiŭi sŏng can be found in this overall response of the readers.

      • KCI등재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의 불가능성

        이경림(Lee, Kyungrim)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5

        본 논문은 『인간문제』에 나타난 사랑의 역학과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이 소설이 결과적으로 사회주의적 전망 안에서 사랑을 축출하고 있음을 규명하려고 했다. 이 논문은 『인간문제』가 사회주의적 감정으로서의 사랑을 모색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위에서 사랑의 가능성을 숙고한 텍스트라 보았다. 『인간문제』에는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 기획이 함축되어 있다.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사랑이 제기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편적 감정으로서 사랑은 사회주의 운동과 불화하기 쉽다. 두 번째, 사랑의 특수한 종(種)인 ‘연애(戀愛)’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개인주의라는 ‘적’의 진영에 속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그러나 사랑은 사회주의 운동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자원적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문학은 사랑을 사회주의적 목적에 친화적인 것으로 ‘등정’시키는 기획을 시도해왔다. 그 기획은 다음의 세 가지로 도식화할 수 있다. 사랑의 ‘하강’: 사랑을 사적 영역에 가두고 그 역할을 제한한다. 사랑의 ‘등정’: 사랑을 공적 영역에 포섭하되 동지애의 차원을 포함한 것으로 승화시킨다. 사랑의 ‘제거’: 사랑을 공적 영역·사적 영역 모두에서 축출한다. 『인간문제』에서는 위의 세 가지 기획이 모두 고려되며, 그 궤적은 을 지양하고 를 모색하지만 그 불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에 도달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인간문제』는 사회주의적 여성 주체의 형성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을 지양한다. 의 가능성을 살피면서 『인간문제』는 사랑이 주체를 나약하게 만들고 운동을 와해시킬 위험성을 면밀하게 숙고한다. 『인간문제』는 이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랑을 동지애로 승화시키려 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 모색을 통해 『인간문제』는 사랑과 동지애 사이의 변경불가능한 구조적 차이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인간문제』는 사회주의적 주체에서 사랑을 축출한다는 의 기획을 택한다. 『인간문제』는 사랑 대신 동지애와 분노를 사회주의에 적합한 감정으로 표상한다. 동지애와 분노에서는 공통적으로 사회주의적 앎에 의해 함양된다는 ‘사회적 구성’의 차원이 도드라진다. 동지애는 사회주의의 정치적 이상을 공유함으로써, 분노는 개인의 분노를 전체 공동체의 분노로 확장함으로써 유효한 사회주의적 감정이 된다. 결론적으로 둘 중 『인간문제』가 더 중시하는 감정 자원은 분노다. By analyzing the dynamics and structure of love shown in Inganmunje(Human Problems), this paper sought to establish that the novel was eventually ousting love within the socialist outlook. This paper viewed the novel as a text that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love on the premise that love as a socialist emotion should be sought. Inganmunje contains various plans of ‘socialist climb’ project of love. From a socialist point of view, the issues that love raises are as follows. First, as a universal emotion, love is liable to conflict with the socialist movement. Second, the special species of love, ‘Yeonae’, is considered to belong to the ‘enemy’ camp of capitalist economic systems and individualism. Third, however, love has the potential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socialist movements. To solve this dilemma, socialist literature has attempted to tame love to be friendly for socialist purposes. The project can be divided into three plans. [1] Down of Love: Confines love to a private area and limits its role. [2] Climb of Love: Includes love in the public domain, but sublimates it to include the dimension of camaraderie. [3] Removal of Love: Removes love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areas. The three plans above are considered in Inganmunje. The trajectory is summarized as reaching [3] by rejecting [1] and seeking [2] but confirming [2]’s impossibility. Inganmunje rejects [1] by paying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socialist female subjects. Examining [2], this novel carefully considers the danger that love will weaken socialist subjects and disrupt the socialist movement. Inganmunje tries to turn love into camaraderie to eliminate this danger. Paradoxically, however, this novel confirms the irrevocabl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love and camaraderie eventually. As a result, Inganmunje chooses plan [3] to expel love from socialist subjects. Inganmunje represents camaraderie and anger in place of love as a suitable emotion for socialism. In camaraderie and anger, the ‘social composition’ which cultivated by socialist knowledge stands out. By sharing the political ideals of socialism, camaraderie becomes a valid socialist emotion. And by extending one’s anger to the anger of the entire community, anger becomes a valid socialist emotion. In the end, anger is the most valid emotion that Inganmunje cons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