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OXML형식을 사용하는 MS 파워포인트 파일에 대한 편집 이력 조사 방법

        윤지혜,박정흠,이상진,Youn, Ji-Hye,Park, Jung-Heum,Lee, Sang-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9 No.4

        개인 및 기업의 업무 처리 시 컴퓨터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각종 문서 파일들이 디지털 형태로 생성되고 이메일, USB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동, 복사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면 문서 작업 중 발생한 편집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복합문서 파일 형식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새로운 OOXML형식에 대해서 파일의 작성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저장되지 않은 파일을 찾거나 내부 작성 순서를 추적하고 서로 다른 문서 파일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향후 OOXML형식 디지털 문서의 사용이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편집이력 추적 연구는 문서 파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OOXML형식 문서에 대해서 포렌식 관점을 가지고 문서파일의 내부 작성순서를 분석하고 파일 간 연관성을 추적하는 조사 방법을 제시한다. Today, individuals and businesses are a lot of paperwork through a computer. So many documents files are creating to digital type. And the digital type files are copied, moved by various media such as USB, E-mail and so on. A careful analysis of these digital materials can be tracked that occurred during the document editing work history. About these research are on the compound document file format, but has not been studied about the new OOXML format that how to analyze linkages between different document files, tracking an internal order, finding unsaved file for identify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ile. Future, the use of OOXML format digital documents will further increase, these document work history traceability in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would be a big help. Therefore, this paper on the new OOXML format(has a forensic viewpoint) will show you how to track the internal order and analyze linkages between the files.

      • KCI등재

        위치기반서비스에서 개인의 궤적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그리드 기반 궤적 클로킹 기법

        윤지혜,송두희,채천원,박광진,Youn, Ji-hye,Song, Doo-hee,Cai, Tian-yuan,Park, Kwang-jin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5

        최근 LBS(Location-based Services)기술의 발달로 사용자의 위치를 보호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LB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LBS 서버에게 공개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위치를 서버에게 공개하면 서버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서버에게 공개 된다면 질의자의 이동 궤적 또한 노출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TC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기법을 제안한다. GTC 기법은 사용자가 목적지 까지 경로와 사용자가 원하는 프라이버시 레벨 수준 (UPL : User's desired Privacy Level)의 그리드로 분할 한 뒤 클로킹 영역을 설정해 랜덤으로 질의한다. GTC 기법은 순차적인 궤적 k-익명화기법 보다 질의 처리 비용을 줄였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알 수 없는 궤적을 생성해 궤적 노출 확률을 줄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LBS (Location-based Services) technology, approaches of protecting user's location have gained tremendous attentions. For using LBS, users need to forward their real locations to LBS server. However, if the user sends his/her real location to LBS server, the server will have the all the information about user in LBS. Moreover, if the user opens it to LBS server for a long time, the trajectory of user may be released. In this paper, we propose GTC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method to address the privacy issue. Different from existing approaches, firstly the GTC method sets the predicting trajectory and divides the map into $2^n*2^n$ grid. After that we will generate cloaking regions according to user's desired privacy level. Finally the user sends them to LBS server randomly. The GTC method can make the cost of process less than sequential trajectory k-anonymity. Because of confusing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LBS server could not know the user's trajectory any more. Thus, we significantly improve the privacy level. evaluation results further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ur GTC method.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효율적 검색과 사용자 정보보호를 위한 향상된 그리드 기반 궤적 클로킹 기법

        윤지혜 ( Ji-hye Youn ),송두희 ( Doo-hee Song ),채천원 ( Tian-yuan Cai ),박광진 ( Kwang-ji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8

        스마트폰, GPS 네비게이션과 같은 위치 응용프로그램이 발달함에 따라 위치 및 궤적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위치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서버에게 공개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 위치의 공개는 서버에게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궤적까지 노출하게 되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서버에게 요청한 정보는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정보(위치에 대한 사진, 리뷰 등)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서버가 처리해야 하는 비용 및 사용자가 받아야하는 정보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EGTC (Enhanced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기법을 제안한다. EGTC 기법은 기존 GTC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기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궤적을 사용자가 원하는 프라이버시 레벨(UPL: User’s desired Privacy Level) 수준으로 그리드를 분할하여 클로킹 영역을 생성 한 후, 랜덤한 질의 순서를 정한다. 다음 단계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서브 그리드 셀을 c<sub>(x,y)</sub>로 간주해 필요한 정보를 색인으로 구성해 받는다. 제안 기법은 기존 GTC 기법과 같이 궤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 사용자가 청취해야 하는 정보의 양을 줄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applications such as smart phones and GPS navigation,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otect location and trajectory privacy. To receive location-related services, users must disclose their exact location to the server. However, disclosure of users’ location exposes not only their locations but also their trajectory to the server, which can lead to concerns of privacy violation. Furthermore, users request from the server not only location information but also multimedia information (photographs, reviews, etc. of the location), and this increases the processing cost of the server and the information to be received by the us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he EGTC (Enhanced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technique. As with the existing GTC (Grid-based Trajectory Cloaking) technique, EGTC method divides the user trajectory into grids at the user privacy level (UPL) and creates a cloaking region in which a random query sequence is determined. In the next step,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received as index by considering the sub-grid cell corresponding to the path through which the user wishes to move as c(x,y). The proposed method ensures the trajectory privacy as with the existing GTC method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 user must listen to. The excellence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proven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효율적인 더미 생성

        채천원,윤지혜,송두희,박광진,Cai, Tian-yuan,Youn, Ji-hye,Song, Doo-hee,Park, Kwang-jin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5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이하 LBS)를 제공 받기 위해서 LBS 서버에게 사용자의 위치와 질의 내용을 공개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분, 위치 등이 노출될 수 있다. 최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더미를 이용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더미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더미 생성 시 장애물과 더미간의 거리 등을 고려해야만 프라이버시 보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더미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최근 기법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For enjoying the convenience provided by location based services, the user needs to submit his or her location and query to the LBS server. So there is a probability that the untrusted LBS server may expose the user's id and location etc. To protect user's privacy so many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Recently, the approaches about using dummy are getting popular.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things to consider if we want to generate a dummy. For example, when generating a dummy, we have to take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between dummies into account so that we can improve the privacy level.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fficient dummy generation algorithm to achieve k-anonymity and protect user's privacy in LBS.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ivacy level when it was compared with others.

      • Theraplay-Based Group Therapy for Juvenile Delinquents : A Randomized and Controlled Trial in Korea

        한지혜(Ji-hye Han),임유리(Yooli Lim),윤지혜(Jihye Yun),윤미원(Miwon Youn),강제욱(Je-Wook Kang),김봉석(Bongseog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8 사회정신의학 Vol.23 No.2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범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으로써 치료놀이 기반 그룹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 법 : 2016년 1월에서 4월까지 서울 소년원의 재소중인 소년범들 중 ADHD와 세 가지의 공병질환이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치료놀 이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치료군에는 치료놀이를, 대조군에는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을 21세션 제공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한국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소아용 삶의 질 검사(PedsQL), Barratt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 자기통제력 척도(self-control rating), 자기 자존감 척도(self-esteem scale), 소아우울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에 답하였다. 결 과 : 프로그램 전 후 변화에서 학업수행점수(p=0.043)는 치료놀이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으며, 자아존중감 점수의 경우 치료군에서는 상승한 반면(p<0.001), 대조군에서는 하락하였다(p=0.036). 치료 전후 그룹간의 변화에서는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순서대로 p<0.001, p=0.023, p=0.023). 결 론 : 치료놀이를 시행한 소년범에서 학업수행 점수와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추후 여자 소년범을 포함하고 보다 다양한 범위의 정신병리를 포함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raplay-based group therapy with juvenile delinquents. Methods : From January–April 2016, 30 participants of Seoul Reformatory who ha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ith three other comorbiditi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heraplay treatment group or a control group. Every participant completed pre- and post-test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include the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a self-control rating, a self-esteem scale, and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We offered 21 Theraplay session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offered recreational play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test period. Results : Only the Theraplay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s in school functioning (p=0.043). The Theraplay treatment group improved in their self-esteem scores (p<0.001)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se scores (p=0.036). A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changes from baseline to endpoint scores for certain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elf-esteem, delinquent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p<0.001, p=0.023, p=0.023,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adolescents who received Theraplay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school functioning and self-esteem score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future studies include female adolescents and a more diverse range of psychopathology.

      • KCI등재

        대학생 단기 해외자원활동 경험의 의미 -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

        안지연(Ahn Ji Youn),윤지혜(Yun Ji Hye),옥채원(Ok Chae Won),박정민(Park Jung M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2

        본 연구는 단기 해외자원활동에 참여하여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한 대학생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 명의 연구 참여자는 7박 9일 동안 캄보디아 씨엠립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데칼코마니, 그림책 만들기, 노래와 율동, 운동회 등의 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자원활동 참가자의 신청서, 일지, 수기집, 개인 인터뷰, 단체 인터뷰, 참여관찰 등 다원화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자원 활동 참가자이자 연구자인 연구 참여자와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단기 해외자원활동은 첫째, 문화 예술 활동의 가치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둘째, 자기를 발견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역할의 중요성을 알고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대학생 단기 해외자원활동이 갖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참가자에게 더욱 의미 있는 해외자원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short-term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ree research participants visited a primary school in Siem Reap, Cambodia for seven nights and nine days during their summer vacation. The volunteering work involv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ch as Decalcomanie, Picture-Book Making, Songs and Chants, school athletic meeting. In order to successfully complete and analyze the program applications of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nts' reflective journals, individual interview,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realizing the value of arts and culture, having the opportunity of self-discovery and self-development, reconsidering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roles. This study confirm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hort-term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 and also discusse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programs.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