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동기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윤중오,이은철,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on cognitive load. For the purpose, study 1 and study 2 were conducted. The first study examined how cognitive load can be affected by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carrying out an unstructured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nothing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ve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1, self-efficacy was converted into scientific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converted into instruction material motivation, which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ask in the study 2. As a result, scientific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level of difficulty of task among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And, instruction material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ve sub-variables of cognitive load. The findings of these two studies indicate that intrinsic variables of learners related to cognitive load are task related self-efficacy and motivation rather than general self- efficacy and motivation. It implies that task-related self-efficacy and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instructional design to reduce cognitive loa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동기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1, 2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비구조화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내적동기가 인지부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두 독립변인 모두 인지부하의 다섯 가지 하위변인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 분석을 토대로 자기효능감을 과제 관련 효능감인 과학적 자기효능감으로 바꾸고, 내적동기도 과제동기에 초점을 두어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인지부하의 하위요인 과제 난이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과제동기는 인지부하의 다섯 하위 변인(육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지각된 과제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의 용이성)과 유의미관 관계를 보였다. 이 두 연구를 종합하면, 인지부하와 밀접하게 관련된 학습자 내적 변인은 일반적인 수준의 자기효능감과 내적동기라기 보다는 과제와 구체적으로 관련된 과제특수 자기효능감 및 과제동기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습자 내적 변인을 고려한 교수 설계를 할 때 과제 특수 자기효능감 및 과제 관련 동기의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