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이중원관의 냉각과정에 미치는 과냉각의 영향

        윤정인,김재돌,Yun, Jeong-In,Kim, Jae-Dol,Kato, Toyofumi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10

        A fundamental study in cooling and solidification process focused on ice storage was performed, including the interesting phenomena of density inversion,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A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for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in the cooling and freezing processes with supercooling in a space between double cylinders. When water was cooled under the freezing point by a cooling wall in a cavity, solidification was not started at once, but a subcooled region was formed near the wall. Especially, when the cooling rate was low, subcooled region extended to a wide area. However, after a few minutes, supercooling is released by some triggers. Dendritic ice is suddenly formed within a subcooled region, and a dense ice layer begins to be developed from the cooling wall. Due to the difficulties, most previous studies on solidification process with numerical methods had not treated the supercooling phenomena, i.e. the case considering only the growth of dense ice. In this study, natural convection and ice formation considering existence of supercooling and dendritic ice were analyzed numerically with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boundary fixing method.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were well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SCOPUSKCI등재

        수중 하베스트형 빙축열 시스템의 운전특성 실험

        최인수,김재돌,윤정인,Choe, In-Su,Kim, Jae-Dol,Yun, Jeong-In 대한기계학회 200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5 No.5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 for making and separating ice in-water and saving floated ice by installing an evaporation panel in an ice storage tank. The new method shows very good heat transfer efficiency than that of the convectional method. It is because the evaporation panel is directly contacted with water in the storage tank.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varying inlet and outlet refrigerant temperatures of its evaporato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in-water harvest-type ice storage system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t each point of the ice storage system and power required to operating compressor respect to the changes of the inlet and outlet refrigerant temperature of evaporator. It can be think that defrost frequency decreased and heavy ice created as the refrigerant temperature of evaporator outlet and defrost setting temperature is low so gotten result can effect to release efficiency. Also, consumption power, condensing heat quantity, refrigerating capacity and performance efficiency decreased as time goes by.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for system optimiz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other fields.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1) - 카메라 기능 제대로 알아야 사진과 친해진다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0 No.-

        사진의 디지털화와 대중화라는 말이 새삼스럽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사진은 너무도 친숙한 일상이 되었다. 똑딱이(콤팩트 디지털카메라) 카메라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DSLR(렌즈교환식 디지털카메라)의 보급률도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을 비추어보건데 카메라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줄 아는 이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 추측된다. 필자 역시 사진에 대해 깊이 몰랐을 적에는 항상 '자동(AUTO)모드'로만 촬영을 했다. 이후 자치구 문화원에서 사진에 관한 평생학습과정을 수료하고 사진동아리 활동과 함께 일주일에 한번정도 계속적으로 촬영에 나서면서 사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게 되었다. 사진학과도 나오지 않은 필자가 초보자를 위한 촬영 가이드를 요청받았을때 부끄럽기도 했으나 '과부 심정 홀아비가 안다'는 속담처럼 사진을 배우는 입장에서 다른 초보자들도 필자와 같은 궁금증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용기를 내어 필자가 촬영현장에서 느꼈던 경험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에 대해 알아가면 갈수록 사진은 빛으로 쓰는 언어라고 감히 정의를 내려본다. 이번호부터 필자와 함께 빛을 찍는 사진의 세계를 같이 탐구해 보도록 하자.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촬영 기초강좌(5) -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한 '테크닉'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4 No.-

        세상에는 사진만으로 구사할 수 있는 언어가 있다. 사진에서 차지하는 구도는 사진 제작에서 본질적인 것이며 매우 중요성을 갖는다. 구도의 본질은 구성이고 그 목적은 주제를 강조하고 시각적으로 가장 유효적절하게 나타내려는 것이다. 좋은 구도는 눈을 즐겁게 하면서 관심을 끄는 한편 시각적으로 잘 표현된 사진은 단순한 사물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소이다. 사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구도까지 공부했으니 이제는 왕초보에서 '왕'자를 떼어내고 초보 사진가로서 세상의 보이는 모든 것들을 지휘해보자.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 강좌 (2) - 매뉴얼만 익히면 사진촬영이 즐거워진다 -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1 No.-

        지난호에 필자는 '카메라 매뉴얼을 최소한 10번은 정독하고서 촬영을 나가자'고 강조했다. 장소와 빛에 따라서 조리개와 셔터속도 조절로 인한 노출에 대해서 개념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이에 덧붙여 ISO등 노출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다. 조리개, 셔터속도, ISO 등 세 가지만 이해하면 사진촬영의 모든 것을 다 배운 것과 같다. 그래도 개념이 잡히지 않는다면 지금까지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고 실습해 보자, 특히 디카 사용자라면 각각의 셔터와 조리개 변경에 따른 사진의 변화를 바로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만 읽으면 어렵게 생각될 수도 있으나 직접 실습해 본다면 정말 금방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확신한다.

      • 포토클리닉 -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3)

        윤정인,Yun, Jeong-In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2 No.-

        사진을 결정하는 것은 노출 구도 초점 이라 했다. 이 3박자가 완벽하게 되면 정말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구도와 초점은 정해진 법칙이 있어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선천적으로 감각을 타고나기도 하지만 노출만큼은 누구도 쉽게 가르쳐줄 수 없을 정도로 정말 영원한 숙제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열정을 가지고 정말 끊임없이 사진에 시간을 투자하여 많은 사진을 찍어봐야 한다. 노출 구도 초점에다가 '빛'을 보는 시각을 익힌다면 그야말로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빛의 방향에 따른 빛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 정당설립의 자유 - 정당등록제도와 등록요건, 정당등록취소제도의 위헌성 검토

        윤정인(Yun Jeong In) 헌법이론실무학회 2016 헌법연구 Vol.3 No.1

        한국의 정당은 1945년 광복 직후 미군정기에 이미 300개나 생겨났는데, 이는 오늘날 민주주의가 고도로 발전한 영국이나 프랑스에 400여 개의 정당이 존재하는 것과 비슷한 숫자이고, 140여개의 정당이 존재하는 독일보다도 훨씬 많은 숫자이다. 그러나 70여년이 지난 현재 한국의 정당은 20개 남짓 존재하며 하나의 정당이 유지되는 기간도 평균 3년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당이나 유력한 제3당이 거의 발생하지도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오늘날 한국에 국민의 다양한 의사를 수렴할 수 있는 정치적 매개체로서 정당이 충분히 존재하지 못하게 된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헌법 제8조 제1항에서 보장하고 있는 정당설립의 자유의 현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 논문은 우선 정당설립에 대하여 한국 헌법과 법률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그 법제사적 배경과 정당관련조항의 보장내용과 변천사를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에서 정당설립의 자유가 충분히 보장되고 있지 못한 요인에는 크게 법제도적 요인과 정치문화적(규범외적) 요인이 있다고 보이는바, 이 논문에서는 법제도적 요인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현행 헌법과 법률을 통해 보장되는 정당의 자유의 해석과 적용과 관련하여, 건전한 정당정치를 구현하고 정당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논의의 전제로서, 정당관련 제도의 바람직한 해석기준을 4가지 제시하였다.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정당은 핵심적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정당이 다종다양한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고 매개하는 정치적 도구로서 유효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정당이 자유롭게 발생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국가가 정당 설립단계에서부터 과도하게 개입하거나 제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점을 전제로, 정당설립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여 제도적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현행 제도들 - 정당등록제도와 엄격한 등록요건 및 등록취소제도 - 의 위헌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there were about 300 political parties emerged which were comparable with the number of parties in UK, France and Deutschland these days. But 70 years later, there exist just 20 parties and the average life span of the parties is about 3 years. Worse, new parties or relevant third parties are hardly enter the scene. This article examines why we cannot have enough political parties in political sphere and we cannot choose a certain party to support accordingly. First of all, I searched the content of party clauses in Constitution and Political Party Act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concerning establishment of political parties. The reason why guarantee of the freedom of establishing political parties sufficiently were consisted of institutional factors and non-institutional factors and I tried to focus on the former in this article. Then, To guarantee the freedom of establishing political parties enshrined in Article 8 in Korean Constitution and to promote robust party politics, I propose four premises to interpret and apply the clauses. As everyone knows the political parties play a key role in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competition among various parties should be protected. Therefore, the State should not intervene the party politics excessively and should not interfere the establishment of parties. If the State do so, it results in distorting normal competition among the parties and recession of democratic mechanism. In this perspective, the system of registration, rigid requirements of registration and revocation of registration of political parties under Political Party Act is highly likely unconstitutional, or at least infringement of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seriously.

      • KCI등재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인가

        윤정인(Yun, Jeong-In),김선택(Kim, Seon-Tae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5 공법학연구 Vol.16 No.1

        오랫동안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수호자’라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 존재해왔다. 이 글에서는 헌법재판소가 민주주의에 실제로 기여하는가, 민주주의의 수호자로서 제도적ㆍ기능적으로 당연히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헌법재판소는 위헌적 권력행사에 대한 통제, 인권의 보장, 비민주적 악법의 제거나 과거청산을 통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국가권력에 대해 적절한 비토 플레이어 역할을 하지 못하거나 위헌적 권력행사를 정당화해주는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비교법적으로 봤을 때 민주주의 선진국이 항상 발전된 헌법재판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문제의 사법화’ 현상이 만연함에 따라, 고도의 정치성을 띄거나 민주적 공론의 장에서 결정되어야 할 사안들이 헌법재판소에 넘겨짐으로써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반대로, 민주주의로의 이행은 다수의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헌법재판소의 설립과 위헌법률심사제도의 도입에 계기가 됨으로써 헌법재판소가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성숙하고 안정된 민주주의 속에서 헌법재판소도 그 존립을 위협받지 아니하고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음을 경험적 증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민주주의의 수호자라고 불릴 자격을 얻기 위하여는, 헌법재판소 스스로 헌법재판소를 낳고 양육한 민주주의 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헌법적 가치에 충실한 결정을 내리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헌법재판소가 본연의 헌법해석 임무에 충실하지 않고 부분적 이익에 봉사하거나 정치적인 권력게임의 일원이 될 경우, 민주주의의 후퇴를 야기할 것이며 결국에는 국민의 신뢰를 잃고 그 존재가치마저 부정당할 수도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For long, the these: “constitutional court is a guardian of democracy” has been a kind of conventional wisdo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whether constitutional court could contribute to the transition to and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ctually and could be justified as a guardian of democracy normatively from the point of institutional and functional view. On the one hand, constitutional cour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rough the control of unconstitutional exercise of political power, judicial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removal of undemocratic laws enacted in the period of authoritarian regimes, etc. However, constitutional court occasionally tends to avoid its role as a veto player in political games or make decisions justifying the exercises of political power, whose constitutionality are very suspicious. Comparatively, the constitutions of established western democracies don’t always have the constitutional court system. And owing to the recently widespread phenomena of judicializing (mega-)politics, the problems with highly political character, which have to be resolved in the public sphere, are handed over the constitutional court. As a result,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s to be delayed or obstructed.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democracy in the new democratized countries made the introduction of constitutional review and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al court possible. The historical evidences teach us that only in stable and mature democracies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fulfill its functions faithfully. In order to be qualified as a guardian of democracy, constitutional court has to make sincere efforts to consolidate democracy, which gave birth to and brought up constitutional court. Above all, constitutional court has to make a decision faithful to constitutional values. If constitutional court serves partial interest or makes efforts to gain the favorable position in the political power game, the court will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ecession of democracy. In the end, the court will lose the trust from the people and even its raison d’etre.

      • KCI등재

        대표의 민주화 - 지속가능한 민주주의를 위한 헌법적 조건 -

        윤정인(Jeong-In Yun)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2-2

        한국헌법이 채택한 민주주의는 국민이 대표를 선출하여 구체적 의사결정을 위임하고 정당화하는 대의제 민주주의이다. 그러나 대표는 개념본질적으로 민주주의와 조화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경우 피대표자를 제대로 대표한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처럼 형식화된 대표기능이 자유위임원칙으로 정당화되어 ‘대의제’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민주화 이후에도 정체를 면치 못하고 있는 한국의 민주주의가 현재의 상태를 벗어나, 지속가능한 수준 내지 질적으로 더 높은 단계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국회와 같은 대표기관의 대표기능과 이들과 국민을 매개하는 정당과 같은 중개기관의 중개기능을 실질화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표가 피대표자를 ‘실질적으로 대표한다’고 인정하기 위한 조건이 필요할 것인데, 그 핵심은 대표자가 피대표자에게 반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 선제적 조건으로 대표자의 활동이 투명성을 띠어야 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형성된 피대표자의 의사에 대해 대표자가 반응하여야 하며, 대표자가 피대표자의 의사와 지나치게 유리되어 더 이상 신임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책임을 물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대표의 투명성-반응성-책무성이 확보될 때, 대의제 민주주의의 지속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헌법상 대의제를 구성하는 요소인 개인적 대표로서의 대통령의 대표기능, 집단적 대표로서의 의회의 대표기능, 그리고 국민과 대표의 중개자로서의 정당의 중개기능을 실질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form of democracy adopt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is a representative democracy in principle. Yet, it is nonsense to deem representative democracy functions sufficiently even when the representatives do not truly represent the constituents. When it comes to combining the free mandate theory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state of democracy becomes more questionable. Korean democracy has remained in stalemate even after the democratic transition in the late 1980s. To make a breakthrough and upgrade the Korean democracy in light of sustainability, a key solution would be actualizing a representative function of the representatives such as the President and the parliament and an intermediary function of the political parties who intermediate between the representatives and the people who are represented. To ensure that, the representatives should work on a transparent basis and should be responsive to the will of the represented, which was formed by enhanced transparency. When the representatives deviate too much from the represented and therefore lose trust granted by them, the representative body or person should be accountable. In this way of ensuring transparency, respons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the representatives, i.e. democratizing the representation, we can look for sustainability in our democracy. In this paper, I revisit the free mandate theory and then explore the institutional way to actualize the representative function performed by the President as an individual representative and the parliament as a collective representative in place, and the intermediary function by the political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