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윤정아(Jeong-A YU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은 전문적 학습환경 및 교사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고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즉, 전문적 학습환경은 교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문적 학습환경의 지원과 함께 교사교육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were conducted for 293 teachers from kindergarte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has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petency, and indirectly affects teacher efficacy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along with support for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teacher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활용 협력학습을 통한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와 장애학생의 쓰기능력 변화 분석

        윤정아(Yun, JungA),이영주(Lee,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SNS활용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협력학습을 통한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변화와 장애학생 쓰기능력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K중학교 2학년 비장애학생 6명과 학생 3 명을 대상으로 SNS활용 협력학습을 7차시 수행하였다. 비장애학생의 장애이해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쓰기능력은 SNS 게시글의 분석을 통하여 변화과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비장애학생은 ‘염세주의-절망’, ‘손 상된 성격 고정관념’, ‘동정적 사회적 고정관념’, ‘행동오해’, ‘낙관주의-인권’의 장애이해 하위 차원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태도 중 행동적태도 요소가 인지적, 정서적 태도 구성 요소에 비해 증가하였다. 한편, 장애학생의 쓰기능력은 글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글의 구성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글의 정확성은 뚜렷한 변화과정이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NS의 속성인 신속성, 친목성, 즉각적 피드백 등을 반영하여 학습 환경을 구성해야 하며 협력학습의 과제는 장 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촉진되는 과제를 제공할 때 장애학생의 동기와 흥미가 독려될 수 있고, 장애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 towards 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riting skills by analyzing an interaction in SN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etween non-disabled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We offered seven sessions of SNS-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six non-disabled students and three disabled students in second grade of K Middle School in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 towards disabled students, we conducted the interveiws. We analyzed the changes of writing skills of disabled students by the examination of their writings on the SNS postings. As the result, positive changes of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 were found in Pessimism-Hopelessness, Derogatory Personality Stereotype, Benevolent Social Stereotype, Behavioral Misconception and Optimism-Human Righ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behavioral attitude components of negative attitude had been increased more than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disabled students writing skills, the length of writing became longer and their organizing abilities of writing had been improved. However, no clear changes in the accuracy of writing were observe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in order to promote disabled students’ motivation, it is a necessity of learning environment, which reflects immediacy, friendly sociability and immediate feedback of SNS, and assignments of collaborative learning should be designed to promote a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

        윤정아(Jeong-A YUN),이아름(Ah-Rem LEE)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소진은 전문성, 소명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전문성과 소명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소진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소명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과 함께 소명감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교사교육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신념이나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burnout.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420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First,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rofessionalism and calling, whereas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ll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and burnout, the calling was completely mediated. In other words, the professionalism does not directly affect burnout, but it was shown that it indirectly affects burnout when calling is used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lling along with professionalism to reduce the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effective methods for enhancing the belief and value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Yun, Jeong?A),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리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이 중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효과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하고 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reflective thinking,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whereas i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lain 45% of the inplementation process. The teaching flow has the most influence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anxiety in order.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and reduce teaching anxiety to effectively improv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유아 수 연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윤정아 ( Yun Jeong A ),이분려 ( Lee Bun Ryeo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 수 연산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대상으로 종단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수 연산과 관련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를 보면 수 연산 연구는 2000년 이후에 관심이 높아져 지속적인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2011∼2015년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주제 중 ‘수 연산 능력의 향상’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 연산 능력의 발달의 경향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중 연구대상은 혼합연령보다 단일연령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단일연령 중 대부분의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수 연산 관련 주제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calculation in Korea published from 1993 to 2018. This study’s significance figured out the flows of the period of research, the topics of research, and trends of research methods in young children’s calcul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as follows: 1)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eriod of research was in 2011∼2015, 2) The most frequent content was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alculation ability, 3) most of the studies targeted a single age group of five years old and many kinds of research were the quantitative metho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omestic research on young children’s calculation have limits in methodology. The researcher gives thre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various topics about the contents of young children’s calculation need to be further research. Secon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ubject groups to 4 years old, 3 years old, and the differences of the various age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researches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 SCOPUSKCI등재
      • 1ㆍ2ㆍ3세대 간 교류 활동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아동의 사회적 지지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윤정아 ( Yun Jeongah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5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5 No.-

        본 연구에서는 세대갈등 예방과 세대통합을 목적으로 1ㆍ2ㆍ3세대가 모두 참여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하였다. 탁구와 만화더빙 프로그램을 아동만 참여하는 방식과 1ㆍ2ㆍ3세대가 모두 참여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두 가지 방식에 참여한 아동만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검사를 사전ㆍ사후로 진행하고 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 집단별 아동의 사회적지지 합계 점수 변화 결과는 E1-탁구동아리(38.6점 상승)〉E2-우리동네 애니스타(28점 상승)〉C1-탁구동아리(21.25점 상승》〉C2-우리동네 애니스타《12.65점 상승〉〉E3-물리적 공간만 함께 사용한 탁구동아리 (8.75짐 상승)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진행방식에 있어서 사회적지지 합계 점수 변화 걸과는 아동만 참여한 통제집단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15.87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며 향상되었고, 1ㆍ2ㆍ3세대가 모두 참여한 실험집단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26.59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며 향상되었다. 두 집단 모두 아동의 사회적지지 점수가 향상되었고 통제집단 보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10.72점 더 상승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4개 하위영역별 점수 변화 결과는 정서적지지(8.83점 상승)〉정보적지지(6.29점 상승)〉 평가적지지(6.12점 상승)〉물질적지지(5.35점 상승)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1ㆍ2ㆍ3세대가 모두 참여하는 프로그램 진행방식이 또래집단만 참여하는 경우보다 아동의 사회적지지 점수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만화더빙 프로그램 보다는 탁구가 아동의 사회적지지 점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기회만 제공하기 보다는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할 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새대교류 프로그램은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척도 하위영역 중에서 정서적지지와 정보적지지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 척도점수 향상 외에도 1ㆍ2ㆍ3세대 간 교류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되었다. 1세대 어르신들의 경우에는 세대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되면서 삶의 활력소를 찾게 되고 자기 효능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었다. 2세대의 경우 자녀들과 상호작용하고 소통하는 창구로써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기회의 장을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3세대의 아동들은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자신이 닮고 싶은 어른상의 롤모델을 발견하고 그와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동들은 긍정적 정서지지와 롤모델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ㆍ2ㆍ3세대 간 교류 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일부 어른세대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한 아동은 아직 경험하지 않은 어른세대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효과가 있었음을 사회적지지도 점수 향상으로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ree generational conflict prevention and integrate all practical purposes 1.2.3 generations to develop three integrated programs were involved. Only way to join a table tennis and children`s programs and cartoons dubbed 1.2.3, three were conducted in two ways to participate in both.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only two ways forward target social support scale test in advance. Post and analyzed the change in the sco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total score for each group of children chang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c El- table tennis club (38.6 point rise)> E2- our neighborhood Annie Star (28 points upward)> Cl- table tennis club (21.25 point rise )> C2- our neighborhood star Annie (12.65 point rise)> E3- was a table tennis club (8.75 point increase) net used only with physical space. Second, social support total score change results in the program proceeding method of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child was improving seems to 15.87 point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experi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first and second and third generation of experimental groups all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than experimental after improved 26.59 point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were all improved social support scores of children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as 10.72 points more elevated. Third, the four subregions scores chang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motional support (8.83 point increase)> informational support (6.29 point increase)> evaluative support (6.12 point increase)> material support (5.35 point increase) were the order. Suc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program goes way haebomyeon 1.2.3 All three are involved only the peer group showed more effective than improving social support scores of cases involved children. In addition. Table Tennis, rather th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ll cartoon dubbing the program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upport scores of children. Showed a more effective and simple to program accompanying the generation of alternating current rather than providing only the opportunity to use a combination of the physical space. Finally, the three exchange program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the social support scale sub―area children perception. In addition to improvements in children`s social support scale scores 1.2.3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s were found in various aspects of the program. In the case of the first generation of seniors while expanding their social role through the generation exchange programs and find the lifeblood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self-efficacy. In the case of second-generation hayeotdago children can see and interact and that provided a venue for exchange programs have three opportunities to act as a window to communicate. Children of the third generation had found a role model they wish to resemble the adult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ree exchange programs and to acquir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him. Children were able to get through this provide opportunities for social learning through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role models. 1.2.3 In addition, the program can be seen as part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activities for adults and three for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positive interaction with social support positive action has yet to recognize the effect that there was for the adult generations have not experienced scores improved through the involvement there wa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연구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를 중심으로 -

        송대헌 ( Song Dae-heon ),윤정아 ( Yun Jeong-a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연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연어 교육 내용을 주제별로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어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고, 어휘를 확장하여 실제 의사소통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초급, 중급, 고급에 따라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각각의 교재별로도 제시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용 연어를 선정하고, 선정한 연어 항목을 등급별, 범주별로 배열하여 한국어 연어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용 연어를 9개의 주제로 선정하고 이들 주제를 소주제로 세분화한 후 학습용 연어들을 배열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주화된 주제 중 `일상생활`과 관련된 연어들에 교육 등급을 부여하기 위해 등급화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연어의 등급을 매겼다. 이렇게 주제별 등급별로 배열된 연어 항목들을 조직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said to Collocaition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Korean learners. And depending on the subject by constructing a Collocaition training content is the goal of finding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Collocaition education of Korean learners. The Collocaition is composed of two words.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can not easily predict Korean learners. Therefor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s to learn the meaning of Collocaitions, suffer from a lot of trouble going to extend the use of the Collocaitions. And if they do not learn the correct meaning of Collocaitions from beginner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produce Collocaitions use the error reached an advanced stage. This paper was selected for this purpose for the study Korean language learning Collocaition and Collocaition were organized and selected topics to the array. Thus `Daily life`, `Leisure`, `health`, `thoughts and feelings`, `collective life`, `interpersonal`, `economic activity`, `society and culture`, nine theme of `nature` was selected. Sub-themes of this subject , and an array of learning Collocaition. Finally, the categorization of topics related to the `life` in order to give the standard for Collocaitions grad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