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사이의 연관성

        김석원,정승필,이근미,권재현,윤정금,이혁기 대한가정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5 No.10

        Background: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CV) risk factors according to waist-to- height ratio (W/Ht ratio) in adult obese women to ensure the importance of abdominal obesity and determined the usefulness of W/Ht ratio as a index of abdominal obesity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90 adult obese women who visited an obesity clinic from August, 2001 to Januar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BMI<30, W/Ht<0.6, Group 2; BMI<30, W/Ht≥0.6, Group 3; BMI≥30, W/Ht<0.6, and Group 4; BMI≥30, W/Ht≥0.6. In each group, we compared the prevalence and odds ratio for CV risk factors. Results: In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group 1. In high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systolic hypertension (P<0.01),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cholesterolemia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5), and high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4 than group 3. When odds ratio for each group with reference to group 1 were compared after adjusting for age, high blood glucose (4.48), and hypertriglyceridemia (6.10) in group 2, and systolic hypertension (2.69), high blood glucose (3.02), and hypertriglyceridemia (4.00) in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CV risk factors were likely to be increased in higher W/Ht group independently to BMI. W/Ht ratio can be a simple, useful index for abdominal obesity and its related risk factors not only in adult males but also in adult obese women. 연구배경: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을 평가하여 복부비만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성인 비만 여성에서 복부비만의 지표로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8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일개대학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성인 비만 여성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혈청 지질대사치, 체성분검사를 측정하였고 대상자를 1군; 체질량지수 <30, 허리둘레/신장비<0.6, 2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 3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 <0.6, 4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의 네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의 차이와 제1군을 기준으로 한 교차곱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은 1군에 비해 2군에서 고혈당(P<0.01), 고중성지방혈증(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3군에 비해 4군에서 수축기고혈압(P<0.01), 고혈당(P<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1), 고중성지방혈증(P<0.05), 위험범위의 저밀도 지단백 (P<0.05)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군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을 보정한 각 군에서의 교차비는 2군에서는 고혈당(4.48), 고중성지방혈증(6.10), 4군에서는 수축기고혈압(2.69), 고혈당(3.02), 고중성지방혈증(4.00)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허리둘레/신장비는 성인 남성에서뿐만 아니라 성인 비만 여성에서도 간편하고 실용적인 복부비만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체질량 지수와 상관없이 허리둘레/신장비가 높은 경우에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관련 질환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