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 적용의 효과: 고등학교 화학 I을 중심으로
조희,최애란,Jo, Hui,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 writings of claim and evidence after group and class discussions; changes in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students' perceptions on an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Seventy two grade 11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en chemistry activities using the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Claim scores for 9 topics and evidence scores for 10 topic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group discussion.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im scores for 7 topics and evidence scores for 10 topics after class discussion. Participant students responded to an open-ended survey that group discussion helped them to figure out the problem context and class discussion guided them to provide with more sufficient evidence.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ub-scores of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after the intervention. 본 연구는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조별 논의 후와 학급 논의 후에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변화,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화학 I의 10개의 주제에 대하여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을 하였다. 조별 논의 후에 주장 점수는 9개 주제에서 증거점수는 10개 모든 주제에서, 학급 논의 후에 주장 점수는 7개 주제에서 증거 점수는 10개 모든 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설문에서 학생들은 조별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이해하게 되어 주장과 증거를 만들 수 있었고, 학급 논의를 통해 충분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 또한 이를 뒷받침한다.
텐세그리티(Tensegrity)모듈을 적용한 테이블 융합 디자인 연구
조희,이성원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The study began with thinking about problems of furniture design, including lack of innovation, waste of materials, difficulty in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inefficiency in structural design. The purpose is to apply triplex to tensegrity to explore the table's design through experiments in structure, form, material, etc. It is to supplemen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furniture designed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ensegrity. Thus, a prior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at could be applied to furniture products by organiz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ensegrity. Then applied to the table and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in structure, form, material,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 First, it organized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tensegrity and selected the simplest Triplex. Second, it shows the method of combining struts and cables is very diverse when the Triplex of tensegrity is applied to the table. Once the struts are fixe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ables can realize the change in height and volume. For the table's form, the circular and square are suitable, but the rectangle is not, and the circle is the most suitabl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material emotional properties, stainless steel is the best material for struts, wire is the best material for cables, and wood is the best material for desktop.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ensegrity can be applied to furniture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new ideas and references for future furniture design. 이 연구는 가구 디자인에서 혁신의 부족, 재료의 낭비, 수납과 운반의 어려움, 그리고 구조적 디자인의비효율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사고에서 시작되었다. 텐세그리티의 장점을 활용하여 가구 디자인의 발전을 보완하고 추진하며, 텐세그리티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여 가구 디자인에서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새로운 디자인 마인드를 제공하는 것이 본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텐세그리티의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여 가구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점을 찾아내는 것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텐세그리티의 개념과 구조를 정리하고 테이블 디자인의 특성을결합하여 가장 단순한 3-스트럿 단위 모듈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스트럿이 고정되면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높이와 부피의 변화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았다. 셋째, 텐세그리티를 적용한 테이블 윗면의 실험 결과, 직사각형은 적합하지않고 원형과 정사각형이 적합하며 압축력을 받을 때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원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알게 되었다. 외관 디자인 수요에 따른 소재 감성적속성 평가결과, 스트럿의 소재로는 스테인리스강이 가장 좋고 케이블의 소재로는 와이어가 가장 좋으며, 케이블 윗면의 소재로는 나무가 가장 좋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텐세그리티가 가구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가구 디자인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참고를제공하는 것을 기대한다. 새로운 소재의 계속 등장함에 따라 더 많은 뛰어난 소재를 선택하여 실험하거나디자인하는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