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위상 변화 시기의 지역화 교육 실행 사례 연구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1

        이 연구는 지역화 교육의 구현물인 사회과 보조교과서 ‘사회과 탐구(지역화 교과서)’의 위상이 변하는 시기에 현장 교사들이 지역화교육을 어떻게 실행하는 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지역화 교과서 대신 ‘교수·학습 자료집’을 제작했거나 동학년 교사들과 사회과 4학년 수업을 재구성하여 운영한 사례를 탐구하며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지역화 교육을 보다 내실있게 실행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며, 실행에 기반한 실천적 지식을 추구하고, 동료교사들과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다. 교사들은 지역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장체험 답사와 우리 지역 지도 작성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대상지역을 학생들의 일상생활경험의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행정구역 단위로 설정하는 것과 지역화 교육을 모든 사회과 교과 내용에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무리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지역화 교육을 지원하는 지역교육청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 등 행정 및 재정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The status of ‘Social Studies Inquiry (local textbook),’ a subsidiary textbook for social studies used in localized education, is changing.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practice localized education in these situ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who had produced a teaching-learning resource book’ instead of a local textbook and lectured in fourth-grade social studies classes that were reorganized jointly with fellow teachers. They improved their literacy skills in their curriculum, pursued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implementation, and operat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with fellow teachers to effectively implement localized education. They adopted methods such as field-experience surveys and drawing map of their reg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gion. The teachers point out that it is unreasonable to set the learning target area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that does not match the scope of the students' daily life experiences and to mechanically apply localized education to all social studies topics. They als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securing the expertise of the person in charge of supporting localized education in a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地域에 대한 學習 內容 構成에 관한 硏究

        윤옥경(Okkyong Yoon)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에 따라 진행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이 가지는 문제점과 지역에 대한 개념형성에 작용하는 학생들의 지역인식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지역학습 내용을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학습을 원활하게 이루기 위해 우선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지역개념의 변화 경향을 검토하고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고려하여 지역학습의 주요 요소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지역학습의 주요 요소는 셋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역의 정의, 지역의 형성, 지역의 체계이다. 지역학습이 이러한 요소를 중심으로 중간적 수준의 학습지역을 설정하여 이루어질 때 학생들은 지역에 대한 보다 의미있는 이해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지역학습을 위한 적절한 지역범위 선정에 있어 스케일 개념을 어떻게 적용하는가에 따라 효과적 학습내용 구성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음을 확인하였다.<br/> This study begins with the interests of the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under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geography field and the perceptions on the region which affects students' formation of regional concep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and to construct a new content for learning a reg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tudent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n a region in order to effectively learn a region.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how concepts on a region have changed and selects important elements in learning a region by considering a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 important elements selected in this study are the definition of a region, the formation of a region, and the system of a region. By learning a real region established as a 'region for instruction' of a medium scale, students can reach an appropriate level of meaningful understanding of a region. This study found that an appropriate selection of scale in choosing the extent of a region was critical in success of effectiv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br/>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에서 교사의 자기주도적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PDS 구축 연구 - 대학과 현장의 협력 PLC 활동을 사례로-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2

        이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지역화교과서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다룬다.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해 초등 교사들은 전문성향상을 꾀하고 자기주도적 교수역량을 강화하며, 이는 대학과 학교 현장의 협력을 통한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구축의 시도라 하겠다. 초등 교사들은 지리적 지식과 기능 관련 내용으로 구성된 `지역화 교과서`로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의 수준에 비추어 다소 어려운 내용, 복잡한 기능 익히기 등을 학생들의 수준에 비추어 적정한 수준으로 바꾸는, 직접 교재를 재구성하는 경험을 하였다. 초등 교사들은 체계적인 지리 지식의 부재로 인해 교과지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해 동료 교사들과 연대감을 가진 것에 만족하였으며, 앞으로도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발전시켜 나가고자 했다. This study finds out the difficul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teaching the localized textbook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which is performed to overcome it. By PLC,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ke progress in professionalism and reinforce self-directed teaching competencies. This is an attempt of collabor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e and elementary school to estab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PDS). Wh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aught social studies textbook published in the local community, they tried to do re-constructing the materials by themselves. They remodeled the deep geographic knowledge and geographic skills so that they could optimize the contents` level for students. Alth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some troubles in teaching social studies textbook published in the local community because they didn`t have enough geographic knowledge which is systematic, they were satisfied with doing together and mak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with colleagues through PLC, and they were looking forward to pursuing of developing PLC.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교양과목에서 장소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This study analyzes required course activities carried out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the course titled ``Man and Environment`` while fulfilling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Project``. Place-based education implements school activities in ways that truly conjoin school with community and provides students further opportunities for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ims students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bility through their experiences at a particular place and to find meaningful solutions for environmental issues tied with the place by actively engaging in the issues. By completing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projec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sit the place, learn sense of place by providing diverse and dynamic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place, engage in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take action to put their solution into practice. It is a meaningful results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ider the scale of the place with the environmental issues and its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laces when finding practical solutions to the issues.

      • KCI등재

        해양 교육의 중요성과 지리 교육의 역할

        윤옥경(Okkyong Yoon)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4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자원으로서 해양의 중요성과 육지와 해양 중간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위치적, 국제 정치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해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해양교육의 방향을 해양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소양을 넓히는 것으로 설정하고 해양교육의 틀을 해양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영역(영토)교육, 경제교육, 자원 및 환경교육 등으로 구성하였다. 현실적으로 해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우선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해양교육 관련 내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외국의 교육과정에서는 해양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명시적으로 드러난 해양 관련 내용은 비중이 적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해양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 시, 또는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 시 해양교육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소재의 활용이 가능하며 본고에서는 지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해양 관련 소재를 통해 해양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리과는 특히 지역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해양을 다루고 있으며, 해양 관련 소재는 해수욕장, 어촌, 항구, 임해산업단지, 항구도시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상생활과 연결된 친숙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ocean as a present and future resource and the Korean peninsular location, it is strongly urged to develop renewed recogn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n ocean, so as to respond properly to the newly emerging political changes surrounding the country. By setting up the purpose of marine education as engendering greater interests in and knowledge of ocea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frame of marine education can be founded appropriately on four educational sub-categories: humanity education, territory education, economy education, and resources and environment education. At an operational scale,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zed oceanrelated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substantial ways for strengthening marine education. The study simultaneously compared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with the curriculum of marine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and founded that explicit ocean-related contents in the 7th curriculum were significantly limited. Yet, the study alternatively points ou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and apply them for writing textbooks or developing teaching-learning curriculum. I provide some of the ways for strengthening marine education by using marine-related themes in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Marine is not simply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e discipline of geography. But, more importantly, I suggest that geography is particularly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and familiar themes such as swimming beach, fishing villages, ports, marine-bound industrial district and port cities into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미국 지리교육자의 한국에 대한 지식과 주권교육 중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윤옥경(Yoon, Okkyong),최종남(Choi, Jongna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미국 지리교육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을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영토관련 쟁점들을 세계시민교육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미국 지리교육자의 한국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과 주권교육의 중요성 및 주권교육이 추구하는 하위가치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했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이들의 한국에 대한 지리 지식수준은 한국에 대한 문화 지식수준에 비해 높았고, 한국에 대한 교육 이수 경험과 한국 방문 경험이 이들의 한국에 대한 지리 및 문화 지식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 국 지리교육자의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의 높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지리교육에서 주권교육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세부적으로 주권교육이 추구하는 하위 가치로서 영토의 경제적 가치와 지역갈등 해결능력 등 실질 적, 실용적 요소보다는 애국심이나 세계시민교육을 중시한다. 또한, 이들의 주권교육에 대해 중요성에 대한 인식수준 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수준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한편, 한국방문과 한국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이 이들의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리교육자를 교육함으로써 한국과 한국의 영토관련 쟁점들에 관한 홍보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각종 국제 홍보전략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is study examin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familiarity and knowledge of Korea, their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and their knowledge on Korea’s sovereignty issues using the survey conduc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NCGE)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and 2012. This study also analyzes how much these knowledge and perception influence on values of sovereignty education and Korea’s sovereignty issues and further investigates proper educational approaches on territorial issues in Northeast Asia.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of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is higher than their knowledge on Korean culture. Both experiences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about Korea and visiting Korea further enhance their knowledge on the geography of Korea and Korean culture. They agree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and believe that sovereignty education should promote students’ sense of patriotism and encourage students to be global citizens who promote public interests. However, they value less on teaching on the economic value of their own country’s territory and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territorial conflicts with other countries. American geography educators’ perception on sovereignty education improves their familiarity with and knowledge of Korean territorial issu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Korea and Korean territorial issues can maximize geography educators’ accessibility to Korean territorial issues, regardless of their interest in territorial issues. These findings help Korean government develops better strategies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future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practices for Korean territorial issues.

      • KCI등재

        초등지리환경교육 지도학습을 위한 스마트 교실용 학습환경 설계와 스토리텔링 인터랙티브 맵 에디터 개발

        윤옥경 ( Okkyong Yoon ),김현진 ( Hyeonjin Kim ),남광우 ( Kwang Woo Nam ),한정혜 ( Jeonghye Ha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실수업을 위한 스마트학습환경을 설계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 맵 에디터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육과정 분석과 학교현장의 요구분석과 학생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한 설계를 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초등학교 3학년 과정에 등장하는 지도학습 내용을 배우면서 공간인지, 도해력 및 지도그리기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아동의 생활세계 중심의 스토리텔링과 감성을 고려한 지도그리기 활동용 맵 에디터(지오스토리텔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오스토리텔러 커뮤니티와 맵 쉐어 센터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학습 환경을 통한 지도학습은 학생들의 개별적 공간인지와 장소감을 확인하고 학생들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 학습환경 설계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desig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geographic education, including the Map Editor applet. We designed th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need analyse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 Reconstruc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enabled students to enhance their spatial cognition, the ability to draw maps, and graphic literacy (graphicacy). We also developed the Map Editor (GeoStoryTeller) for the emotional storytelling which is based on student’s life and perspective in the world map. GeoStoryTeller Community and Map Share Center are also developed for students to record and share their products. In result of implementation, students indicated individual spatial cognition and sense of place. Also, the learning environment allowed students to learning together.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design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지리 교육 교재로서 지리교과서와 사회과부도의 상호보완성에 대한 연구

        윤옥경(Yoon, Okky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1

        지리교과서는 부도(atlas)와 함께 공인된 지리 교육 교재로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책자 형태의 인쇄자료이다. 특히 부도는 지리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교재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과서 검정체제하에서 발행되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와 부도의 상호보완성이 어떻게 구현되며 이와 관련된 문제점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지리 교과서와 사회과 부도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되는데 저자들과 제작자들의 교육과정 해석, 교육적 신념과 관심 등에 따라 검정본을 완성하여 제출한다. 검정과정을 통과한 교재는 비로소 교육현장에 배포되어 지리 학습에 활용된다. 교과서와 부도 두 교재의 내용구성은 하나의 교육과정 진술에 대해 다양한 자료가 제시되고 두 교재에 제시된 자료는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때로는 각각의 교과서에 유사한 자료가 제시되거나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와 사회과 부도 내용상 구성이 중복되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현재와 같은 교과서 검정 제도하에서 두 교재가 효율적으로 지리 학습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Geography textbooks and atlases are typical printed materials broadly used in the classroom and the public education as certified materials. The students’ atlas, as supplementary materials, is useful in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in the classroom. This study examines and evaluates the supplementary role of the students’ atlas in the institutional and pedagogical perspectives. The textbook and the atlas were written by different writers and publisher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he pedagogical beliefs and interests. The textbook is submitted to be certificat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n the textbook and the atlas which is passed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can be distributed to schools to use in the classroom. Most maps and materials are supplied in the textbook and the atlas variously depended on the authors’ interpret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which are designed complementally. But, that maps and materials of respective book of even different author are similar and duplicated. Sometimes maps and materials of textbook and atlas are independent, not mutual complement. It needed that geography textbook and student’s atlas take a efficient role supplementarily in these certification system of textbook.

      • KCI등재

        모바일기기 활용 초등학교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인지 기반 학습과정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남광우 ( Kwang Woo Nam ),한정혜 ( Jeonghye Han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현장학습은 탐색적이고 맥락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잠재성을 보여주지만, 학습자들이 어떻게 학습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바일학습에서 학생들은 교실기반 학습과는 다른 위치기반의 활동과 위치기반의 이해를 한다. 이러한 모바일학습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담화와 비담화활동을 포함하며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분산인지의 틀은 모바일학습 과정을 이해하기에 유용한데, 분산인지에서 학습이란 학생과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주체들 간의 분산된 인지의 공유와 조정의 과정으로 본다. 이 연구는 분산인지 관점에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1) 인지적 체제로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 간의 공유는 어떠한 양상을 보여주는가 2)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의 공유를 통해 학습의 증거로서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지식의 표상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6개의 모둠으로 구성된 12명의 학생과 교사이며, 각 모둠별 녹화된 비디오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주체간 표상의 공유는 학생-학생-패드(SS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의 증거로서 지식의 표상 내용은 ‘위치의 기술적 이해’와 ‘위치기반 개념의 협력적 이해’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산인지기반, 학습자 중심 테크놀로지 학습에서 담화와 비담화 분석을 포함한 학습과정 연구 사례가 될 것이며, 관련 학습환경 설계에도 시사점을 줄 것이다. While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presents the potentials for inquiry and contextual learning,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learners learn in this situation. Mobile learning includes location-based activities and understandings, different from desktop-applied learning, and its learning process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both discourse and non-discourse activities. The framework of distributed cognition is useful to analyze mobile learning in that according to distributed cognition, learning is the process of sharing and coordinating representations of participating agents in a cognitive system as a unit of analysis. This analysis enables to understand how mobile devices as artifacts contribute to learning. The current study as a cas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es of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Research questions include:1) what aspects are observed when distributed cognition is shared during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as a cognitive system? 2) what are knowledge representations of learners as learning evidence through cognition sharing in the collaborative field trip with mobile device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include twelve 4th graders and a teacher, consisting of 6 groups. A description for recorded videos is a primary data source. In result, sharing representations among student-student-artifact (SSA) indicates highest. The knowledge representations as the evidence of learning include ‘technical understanding of location’ and ‘collaborative understanding of location-based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 case of the discourse and non-discourse analysis for learning processes in the distributed cognition, learner-centered, technology learning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 of relevant learn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